논문

十干과 十二支에 대하여- 권상호 편

十干과 十二支에 대하여

塗丁 權相浩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민속에서 十干과 十二支를 순차로 배합하여 육십 가지로 배열한 순서를 六十干支 또는 六十-*甲子라고 한다. 甲子․乙丑․丙寅․丁卯 …… 癸亥 등의 순서로 배열하고, 年․月․日에 붙여서 사용하며, 60회가 되면 다시 甲子로 되돌아오므로 이를 回甲․還甲․華甲․一甲․周甲이라고 한다.

이 六十甲子의 윗부분을 이루는 요소를 天干이라 하고, 아랫부분을 이루는 요소를 地支라고 한다. 天干과 地支를 그 개수에 따라 각각 十干과 十二支라고 일컫기도 하며, 약칭 干支라고 한다.

十干과 十二支를 짜 맞춘 六十干支는 중국 殷나라 때부터 있었던 것으로 날짜를 세는 데 쓰인 것이 기원이다.

 

干支

天干(十干)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地支(十二支)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六十甲子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甲戌

乙亥

丙子

丁丑

戊寅

己卯

庚辰

辛巳

壬午

癸未

甲申

乙酉

丙戌

丁亥

戊子

己丑

庚寅

辛卯

壬辰

癸巳

甲午

乙未

丙申

丁酉

戊戌

己亥

庚子

辛丑

壬寅

癸卯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庚戌

辛亥

壬子

癸丑

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

 

干支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송나라 司馬光 등이 편찬한 <資治通鑑>의 續撰인 劉恕의 <通鑑外記>에 보인다. 이 책에 의하면 天皇氏 의 12인이 각각 1만8천년씩을 다스린 뒤 盤古氏가 그 뒤를 잇게 되었는데, 천황씨 때부터 干支를 세우고 曆數 상에 배열하였다고 한다. 이때의 간지는 古甲子이다. 古甲子는 주로 <爾雅>의 釋天에 나온 것을 사용하고 있으나 <史記>의 曆書에 나온 것도 더러 사용하고 있다.

또, <通鑑外記>에는 반고씨 다음 대를 이은 黃帝 때에 황제가 大堯에게 五行의 원리와 천도의 운행을 살피게 하고 六甲을 창제하였다고 한 기록이 있다.

 

古甲子天干

干名

書名

爾雅釋天

(이아석천)

閼逢 (알봉)

旃蒙 (전몽)

柔兆 (유조)

强圉 (강어)

著雍 (저옹)

屠維 (도유)

上章 (상장)

重光 (중광)

玄黓 (현익)

昭陽 (소양)

史記曆書

(사기역서)

焉逢 (언봉)

端蒙 (단몽)

游兆 (유조)

疆梧 (강오)

徒維 (도유)

祝犁 (축리)

商陽 (상양)

昭陽 (소양)

橫艾 (횡애)

尙章 (상장)

 

古甲子地支

支名

書名

爾雅釋天

(이아석천)

困頓

(곤돈)

赤奮若

(적분약)

攝提格

(섭제격)

單閼

(단알)

執徐

(집서)

大荒落

(대황락)

敦牂

(돈장)

協洽

(협흡)

涒灘

(군탄)

作噩

(작악)

閹茂

(엄무)

大淵獻

(대연헌)

史記曆書

(사기역서)

困頓

(곤돈)

赤奮若

(적분약)

攝提格

(섭제격)

單閼

(단알)

執徐

(집서)

大荒落

(대황락)

敦牂

(돈장)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