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만사 마음먹기 나름서예를 하다가 보니, 자연스럽게 자(字)와 호(號)에 대한 대화를 자주 나누게 됩니다.
자(字)와 호(號)는 전통적으로 사용된 이름의 일종으로,
각각 다른 의미와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둘의 차이점은
자(字)가 성인이 되었을 때 본명을 대신하여 예의를 갖추어 부를 수 있도록 지은 이름이라면
호(號)는 자신의 인생관, 취미, 성격 등을 반영하여 지은 이름으로,
특정 시기에 정해진 규칙 없이 사용합니다.
이러한 전통적인 이름 짓기는 오늘날에도 일부 문학, 예술 분야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자(字)
의미:
자는 본명 외에 부여되는 이름으로, 주로 성인이 되었을 때 사용됩니다.
이름을 소중히 여겨 함부로 부르지 않았던 관습이 있어서
흔히 관례(冠禮) 뒤에 본이름 대신으로 불렀습니다.
언제 짓나요:
자는 보통 남자가 20세, 여자가 15세가 되었을 때 지어집니다.
이는 성인식을 기념하는 의미도 있습니다.
예시:
중국의 유명한 학자 공자의 본명은 공구(孔丘)였고, 자는 중니(仲尼)였습니다.
호(號)
의미:
호는 본명이나 자 외에 허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지은 이름입니다.
이는 주로 자신의 인생관, 취미, 성격 등을 반영하여 지어집니다.
언제 짓나요:
호는 특정 시기에 정해진 규칙 없이, 자신이 원할 때나 주변 사람들이 지어줄 때 사용됩니다.
이는 주로 성인이 된 후, 자신의 업적이나 성격을 반영하여 지어집니다.
예시:
조선 시대의 학자 이황의 본명은 이황(李滉)이고,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였습니다.
또, 소생의 본명은 권상호(權相浩)이고, 자는 청지(聽知), 호는 도정(塗丁)입니다.
박경애(朴京愛)의 호는 지허(芝虛)입니다.
이임연(李林娟)의 호는 이반(怡伴)입니다.
김윤구(金潤九)의 호는 화정(和亭)입니다.
서남규(徐男圭)의 호는 노올(老兀)입니다.
신민식(申敏植)의 호는 세일(世逸)입니다.
최상용(崔尙龍)의 호는 선각(仙覺)입니다.
김갑성(金甲性)의 호는 이연(以然)입니다.
황주현(黃周顯)의 호는 이경(二頃)입니다.
강나운(姜奈賱)의 호는 다정(茶庭)입니다.
이상경(李相景)의 호는
임진석(林鎭錫)의 호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