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홍 윤 표 (전 연세대)
1. 한글에 대한 인식
⃝ 국어학계 : 의사소통의 도구로서 인식
⃝ 국문학계 : 작가의 심상을 전달하는 도구로서 인식
⃝ 서예계 : 선을 통해 내용과 형식을 조화시켜,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도구로 인식
⃝ 디자인계 : 이미지 전달의 도구로서 인식
⃝ 출판계 : 의사와 감정을 시각적으로 전달하며, 책을 장식하는 도구로 인식
⃝ 무용계 : 한글의 아름다움을 선과 율동과 음악을 통해 인식
⃝ 컴퓨터계 : 0과 1의 2진수로 배열된 코드로 인식
2. 말ㆍ문자와 문화의 관계
화자 |
방식 |
매개체 |
청자 |
시대 |
개인 |
본래적 방식 |
말 문자 |
개인 |
개인전달 시대 (~19세기) |
기계적 방식 |
전화기(말) 녹음기(말) 팩스(문자) | |||
개인 대중 |
본래적 방식 + 기계적 방식 |
확성기, 라디오(말) 신문(문자) TV(말, 문자, 動畵像) |
개인 대중 |
매스컴 시대 (20세기) |
개인 대중 |
디지털 방식 |
컴퓨터(말, 문자, 動畵像) |
개인 대중 |
정보(화) 시대 (21세기) |
전달자 1인 : 수신자 1인 |
전달자 1인 : 수신자 다중 | ||
공간적 제약 극복 |
시간적 제약 극복 | ||
말 |
확성기,전화기 |
녹음기 |
라디오 |
문자 |
팩스 |
제약 없음 |
신문, 잡지 |
말‧문자‧동화상 (멀티미디어 방식) |
컴퓨터 |
TV |
민족 문화를 창조하고 전달하는 중요한 도구의 하나가 말과 글이어서, 한글은 우리 민족 문화의 생명줄이다. 그래서 한국어는 무형문화재 국보 특호이며, 한글은 유형문화재 국보 특호이다.
3.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문자생활
차자표기(借字表記) : 이두, 구결의 사용
讀 … 音讀
音
假 … 音假
漢字 借字體系
讀 … 訓讀
訓
假 … 訓假
부호 구결: 고려 중기(11~13세기)
석독 구결: 고려 중기(12~13세기)
음독 구결: 고려 후기(14c)~조선말
한글 구결: 한글 창제(15c)~조선말
이두 : 5세기초 ~ 조선말
4. ‘훈민정음’의 의미
① 문자 이름
② 문헌 이름 : 훈민정음 해례본(국보 70호) 훈민정음 언해본
5. 훈민정음의 창제자
‘世宗御製訓民正音’의 의미 :
① 어제(御製) : 세종이 친히 지었다는 뜻 (어제(御製), 어정(御定), 어찬(御撰))
② 훈민(訓民) : 임금만이 사용할 수 있다.
③ 정음(正音) : 正字, 正文이 아님
6. ‘훈민정음’ 창제의 목적
(1) 정치적 목적
敎民正音 : 訓民正音의 차이
(2) 언어적 목적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서, 우리나라 말이 한문구를 써서 말하는 것과 서로 통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까닭으로 한문을 모르는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할 바가 있어도 한문을 모르니 능히 말할 수가 없다
訓民正字 ,訓民正文 : 訓民正音
7.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象形而字倣古篆
1) 象形
(1) 象形
자음자: 발음기관을 상형
五音 |
基本字 |
象形 內容 |
牙音 |
ᄀ |
舌根閉喉之形 |
舌音 |
ᄂ |
舌附上月+咢之形 |
脣音 |
ᄆ |
口形 |
齒音 |
ᄉ |
齒形 |
喉音 |
ᄋ |
喉形 |
모음자: 天地人 三才를 상형
陰陽別 |
基本字 |
字形 |
象形內容 |
陽 |
|
天圓 |
象乎天 |
陰 |
ㅡ |
地平 |
象乎地 |
ㅣ |
人立 |
象乎人 |
(2) 加劃
基本字 |
가획자 |
異體字 |
ᄀ |
ᄏ |
ᅌ |
ᄂ |
ᄃ ᄐ |
ᄅ |
ᄆ |
ᄇ ᄑ |
|
ᄉ |
ᄌ ᄎ |
ᅀ |
ᄋ |
ᅙ ᄒ |
(3) 합성
初出字 |
製字基準 |
ㅗ |
與ㅡ合而成 |
ㅏ |
ㅣ與合而成 |
ㅜ |
ㅡ與合而成 |
ㅓ |
與ㅣ合而成 |
再出字 |
製字基準 |
ㅛ |
與ㅗ同而起於ㅣ |
ㅑ |
與ㅏ同而起於ㅣ |
ㅠ |
與ㅜ同而起於ㅣ |
ㅕ |
與ㅓ同而起於ㅣ |
(4) 병서와 연서
合成의 方向 |
名稱 |
分類 |
子音의 屬性 |
合成된 글자수 |
例 |
各 글자의 크기 |
左右 |
竝書 |
各自竝書 |
同一한 글자 |
二字合用 |
ᄁ ᄄ ᄈ ᄊ ᄍ ᅘ |
크기 同一 |
合用竝書 |
相異한 글자 |
二字合用 |
ᄭ ᄯ ᄲ ᄶ ᄠ ᄧ |
크기 同一 | ||
三字合用 |
ᄢ ᄣ |
크기 同一 | ||||
上下 |
連書 |
相異한 글자 |
二字連書 |
ᄫ ᅗ ᄬ ᄝ |
下字가 上字의 半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