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자료

 ​사자성어(四字成語) 신년길어(新年吉語)



​사자성어(四字成語) 또는 신년길어(新年吉語)로 새해맞이

만사형통(萬事亨通)

모든 일이 뜻대로 잘 이루어지기를.

유의어:

백사여의(百事如意)


복덕원만(福德圓滿)

이익과 행복이 늘 가득하길


​승승장구(乘勝長驅)

승리의 여세로 계속 나아가길


​심기일전(心機一轉)

어떤 계기로 마음을 완전히 바꾸시길


​운수대통(運數大通)

운명과 운수가 크게 트여 이루어지길.

인간의 능력을 초월하는 천운(天運)과 기수(氣數)가 크게 트여 이루어짐.


​일취월장(日就月將)

나날이 자라고 다달이 발전하기를.

출전, 시경(詩經).

유의어:

刮目相對(괄목상대)

日將月就(일장월취)


​전화위복(轉禍爲福)

안 좋은 일이 외려 좋은 일이 되기를.

유의어:

反禍爲福(반화위복)

塞翁得失(새옹득실)

塞翁爲福(새옹위복)

塞翁之馬(새옹지마)

塞翁禍福(새옹화복)

禍轉爲福(화전위복)

존체금안(尊體錦安)

몸이 아주 편안하고 평안하길.


​파사현정(破邪顯正)

사악한 것을 부수고 바르게 하기를.

출전, 삼론현의(三論玄義).

유의어:

衛正斥邪(위정척사)

破顯(파현)

闢邪衛正(벽사위정)


근하신년(謹賀新年)

삼가 새해에 복 많이 받으시길.

유의어:

恭賀新年(공하신년)

恭賀新禧(공하신희)


만사여의(萬事如意)

만사가 뜻과 같이 이루어지길.

호시우행(虎視牛行)

정확하게 판단하고 끈기 있게 행동하길.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가족 화목으로 모든 일이 잘 이뤄지길.

《대학(大學)》에서

격물(格物)·치지(致知)·성의(誠意)·정심(正心)·

수신(修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

를 8조목으로 삼아 집안의 다스림을 강조.

격물부터 수신까지는 개인적인 것이고,

제가부터 평천하까지는 공동체를 말하는 것으로,

가정을 화목하게 하는 것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말이다.

《명심보감(明心寶鑑)》 치가(治家)편에도

"자효쌍친락 가화만사성(子孝雙親樂 家和萬事成)"

'자식이 효도하면 양친이 즐거워하고,

가정이 화목하면 만사가 이루어진다는 말이 나온다.

조상이 덕을 쌓은 집안에는 반드시 후손에게 경사가 따른다는 뜻의 한자성어

'적덕지가 필유여경(積德之家 必有餘慶)'

역시 가화만사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밖에도 가정의 화목과 관련된 고사나 글 등은

유교 경전이나 서적에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효백행지본(孝百行之本)'

이라 하여 효를 모든 행실의 근본으로 보는 것도

가화만사성이 그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반증한다.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

날마다 새롭고 또 날마다 변하기를.

일신일신우일신(日新日新又日新)이라는 표현으로도 자주 쓰이는데,

이는 은나라 시조인 성탕(成湯) 임금의 반명(盤銘)에 새겨져 있는

다음 글귀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구일신(苟日新) 일일신(日日新) 우일신(又日新)’

반명이란 대야에 새겨 놓고 좌우명으로 삼은 문장을 말한다.


견인불발(堅忍不拔)

굳게 참고 견뎌서 마음이 흔들리지 않기를.

뜻을 변(變)치 아니함. 즉, 굳은 의지(意志)를 나타냄.


고당만복(高堂萬福)

귀댁에 온갖 복이 가득 깃들길

​마부위침(磨斧爲針)

힘든 일도 끈기 있는 인내로 이루시길.

鍼(침 침)도 같은 글자이나, 의료용일 때 주로 쓴다.

유의어:

磨斧作針(마부작침)

磨斧作鍼(마부작침)

磨鐵杵而成針(마철저이성침)

面壁九年(면벽구년)

山溜穿石(산류천석)

水積成川(수적성천)

十伐之木(십벌지목)

愚公移山(우공이산)

積小成大(적소성대)

積水成淵(적수성연)

積塵成山(적진성산)

積土成山(적토성산)

點滴穿石(점적천석)

鐵杵成針(철저성침)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