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자료

고려조 한문학론

고려조 한문학론

  고려 시대에 접어들면서 나타난 특징적 현상은 한문 문학이 크게 발달한 점이다. 고려의 제4대 임금임 光宗 때부터 실시된 과거 제도는 儒學 경전에 대한 학식과 한문 문학 능력을 기준으로 삼아 관료를 선발하는 것으로서, 자연히 한문 문학의 활발한 창작을 촉진하게 되었다. 그 결과 고려 시대에는 한문 문학에 뛰어난 문인, 학자들이 연이어 배출되고, 풍부한 문학적 성과가 축적되었다. 김부식, 정지상, 이인로, 이규보, 임춘 같은 이들이 특히 이름난 대표적 문인들이다.
  고려 전기의 귀족문학이 이어오다가 무신란과 몽고란을 겪으면서 문벌귀족의 몰락과 신흥사대부의 출현을 불러왔다. 이런 와중에 오세대, 임춘, 이인로 등은 죽림고회를 결성, 산수를 즐기며 고결한 문학을 표방하였으며, 이규보는 <동명왕편>을 통하여 주체적 역사의식의 표현과 민족정신의 고취하고자 했다.
  고려 후기 한문학 특징의 하나로 비평의식의 성장을 들 수 있으니, 사대시화집을 들고 있다. 이인로의 <破閑集>, 최자의 <補閑集>, 이규보의 <東國李相國集>, 이제현의 <櫟翁稗說>이 그것이다. 이러한 詩話集은 시에 관한 비평적 논의와 여러 가지 일화, 견문을 기록한 것으로서 수필과 문학 비평 양면에 걸쳐 고려 후기 문인들의 의식 세계를 보여 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破閑集>은 詩話文學書인 만큼 시화(일화, 시평)가 주류를 이룬다. 이따금 작가론이나 문학일반론까지 보태서 만들었다. 작자는 역대 名儒들의 시문이 없어질 것을 염려하여 이 책을 남기게 되었다는 사명감을 밝히고 있다. 《파한집》이라는 제목 그대로 문인의 破閑的인 文談이며, 신라의 옛 풍속 및 서경과 개경의 풍물․궁궐․사찰 등이 재치 있게 소개되어 있다. 문우들과 주고받은 이야기를 해학적인 수법으로 기록하였다는 점에서 고대소설의 태동기에 稗官文學으로서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또, 한국 최초의 비평문학서로서도 가치. 
  <補閑集>은 이인로의 《파한집(破閑集)》을 보완한 수필체의 시화들을 엮은 시화집. 아름다운 近體詩와 詩評, 거리에 떠도는 이야기, 흥미 있는 史實, 浮屠와 부녀자들의 이야기를 수록한 것으로, 당시의 사회상황을 살펴보는 데 좋은 참고가 된다.
  <東國李相國集>은 前後集의 방대한 개인 작품집으로 국문학사상 중요한 문헌이다.  그리고 영웅서사시인 <東明王篇>과 가전 <국선생전> 등이 실려 있다. 詩․賦․傳을 비롯한 각종의 문학적인 글들과 書․狀․表 등. 저자가 무신란의 와중에 태어나 전국적인 민란과 몽골의 침입 등 고려사의 격동기 속에 평생을 보냈고,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