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자료

가을과 관련한 單語 및 가을 漢詩 2首

가을과 관련한 單語 및 가을 漢詩 2

 

도정문자연구소

봄이 보는 계절이라면

가을은 가는 계절입니다.

봄이 돋는 계절이라면

가을은 아무래도 지는 계절입니다.

 

가을은 가고 디는(지는) 계절.

가을은 갑갑한 빚을 갚는 계절.

 

가ᄋᆞ멸다 > 가멸다 : 하다. 가ᄋᆞ면집(부잣집)

ᄀᆞᅀᆡ > 가ᄋᆡ > 가위

갓다(각다) > ᄭᅡᆨ다 > 깎다 : 마리ᄅᆞᆯ 갓ᄀᆞ시고(月印千江之曲, 44). 갓ᄀᆞᆯ 산() : 刪蔓(除煩), 删修(刪定 : 글의 글자나 구절을 깎고 다듬어 잘 정리함. 갓ᄀᆞᆯ 샥(), 削髮.

갓가지 : 갖갖, 갖가지, 가지가지

ᄀᆞᆺ갑다 > 갓갑다 : 가깝다

갓가ᄫᅵ > 갓가이 : 가까이

갓ᄀᆞ로 : 거꾸로 / 갓ᄀᆞ라디다 : 거꾸러지다

> . 가을엔 갚아야 한다.

 

(첫째 천간 갑; jiǎ), (갑 갑; xiá) 甲冑(갑주)> 갑갑ᄒᆞ다

各各, 各地, 各處, 客地

-----

(가을 추; qīu) : 전형적인 회의자이다. 甲骨文에서는 메뚜기 자체 또는 메뚜기를 불로 태우는 모습이다. 인간과 메뚜기떼와의 싸움은 일찍이 시작되었나 보다. 인간은 나면 로 싸운다. 로써 해야 하지만, 그렇지 않으면 를 초래할 뿐이다.

金文에 와서는 를 더하여 볏잎에 앉은 메뚜기로 나타냈다. 戰國文字에서는 收穫ᄋힹ 의미가 강해져서 벼를 말린다는 의미에서 를 번갈아 사용했다. 篆文, 隸書 시대까지 메뚜기가 등장한 걸 보면 메뚜기떼의 極盛은 심하였다고 볼 수 있다. 오늘날의 자는 예서 이후에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수확 때에서 다음 수확 때까지를 한 해로 보아, 자에는 한 해의 의미도 있다. 그 증거로 (해 년) 자를 들 수 있다.

(해 년; nián)甲骨文(의미부)+(소리부)’로 사람이 볏단을 지고 가는 모습에서 원래는 秋收의 의미를 나타냈다. 金文, 篆文 등에 자가 더해진 것은 벼를 수확하여 등에 지고 갈 때, 떨어지지 않도록 허리에 묶은 모습으로 판단한다. 서예를 할 때, 이체자인 자를 쓰기도 하는데, 여기서 묶음의 의미도 살리고 발음도 돕고 있다.

(끝 계; jì) 자를 보면 추수에는 막내까지 동원되었음을 알 수 있다.

 

----------

寒來暑往, 秋收冬藏 : 찬 것이 오면 더운 것이 가고, 더운 것이 오면 찬 것이 감. 가을에 穀食을 거두고, 겨울이 오면 그것을 貯藏.

 

----------

秋夜雨中(추야우중) 가을비 내리는 밤에 - 崔致遠(857~?) 47 헌안왕(?~861) 때 출생.

秋風唯苦吟(추풍유고음) 가을바람에 괴로워 애써 읊어도 *: 여기서는 비록 ~하더라도

世路少知音(세로소지음) 세상에 내 마음 아는 이 없어라.

窓外三更雨(창외삼 경우) 창밖엔 밤 깊도록 비가 내리고

燈前萬里心(등전만리심) 등잔 앞에 앉아 만 리 길 고향 그리네.

 

----------                   

山行(산행) 杜牧(두목) 중국 당()나라 때 시인.

遠上寒山石徑斜(원상한산석경사) 멀리 가을 산 위로 돌길이 비껴 있고
白雲生處有人家(백운생처유인가) 흰구름 이는 곳에 인가가 보이네.
停車坐愛楓林晩(정거좌애풍림만) 노을에 불타는 숲에 끌려 수레를 세우니
霜葉紅於二月花(상엽홍어이월화) 서리 맞은 잎이 봄꽃보다 더 붉구나.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