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자료

우리말과 한자어 사이에서...

우리말과 한자어 사이에서... 

 

우리말과 한자어 사이에서...

 

도정문자연구소

부신(符信)이란 나뭇조각이나 두꺼운 종이에 글자를 쓰고

증인(證印)을 찍은 뒤에 두 조각으로 쪼개어

한 조각은 상대자에게 주고 다른 한 조각은 보관했다가

뒷날에 서로 맞추어 증거로 삼던 물건을 가리킨다.

부신이 꼭 들어맞으면 부합(符合)이라고 한다.

이론이 실제와 부합된다라고 쓸 수 있다.

 

고유어인지 아닌지 헷갈리는 우리말이나 잠깐 살펴보자.

당장 잠깐부터. ‘잠시사이를 합친 한자어 잠간(暫間)’이 바뀌었다.

 

짐승(衆生·중생)

숭늉(熟冷·숙랭)

귀양(歸鄕·귀향)

천둥(天動·천동)

사냥(山行·산행)

 

가난(艱難·간난)

() [qióng], 贫穷[pínqióng]

(어려울 간; -17; jiān)

(어긋날 간; 거스르다, 그치다. -6; gèn) ()+().

눈이 비수에 찔렬 볼 수 있는 한계점에 도달하다의 뜻이다.

()이 들어간 글자는 그치다’ ‘끝이다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간화자는 으로 쓰고 있다.

(), (), (),

()을 간()하다, 간행(刊行): 책 따위를 인쇄하여 발행함. (),

(), 간택(揀擇), 분간하다(分揀-).

(), 간쟁(諫爭), 사간원(司諫院).

 

(제비꽃 근; -12; jǐn) 오랑캐 꽃. 진흙에 빠진 새가 빠져나오기 어려운 모습. 제물로 바치고자 손이 묶인 채 입을 크게 벌리고 고통스러워하는 사람으로 보기도 한다.

근근(僅僅): 겨우. 간신(艱辛): 가까스로. 겨우.

(어려울 난; -19; náń)

썰매(雪馬·설마)

따위가 세월 지나며 소리나 뜻이 달라져 순우리말 자리를 차지했다.

沈菜(침채)’팀채딤채짐츼를 거쳐 김치로 현란하게 탈바꿈했고.

 

아예 한자어지만 순우리말로 짐작하기 쉬운 말은?

짐작(斟酌)’이 바로 그렇다.

(술 따를 짐; -13; zhēn)

(따를 작; -10; zhuó)

어림짐작: 대강헤아리는 짐작.

서양 버선이란 뜻의 양말(洋襪),

(버선 말; -20; wà̀). () 足衣[zúyī]. 袜子[wàzi]

멸시(蔑視)(업신여길 멸; -15; miè) 수자리() 지키느라 힘들어 눈에 정기가 없는 모습이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