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자료

[한문교실-2]한문 문장의 형식

. 漢文 文章의 形式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 平敍形

 말하는 사람이 어떤 사실을 말의 순서에 따라 평범하게 말하고 끝맺는 글의 형식으로 긍정의 뜻을 나타낸다.

(1) 종결사가 붙는 경우也, , 焉 등

·仁, 人心也, , 人路也.

·舟已行矣.

·人之性, 生而有好利焉.

(2) 종결사가 붙지 않는 경우

·三歲之習, 至于八十.

·愼, 是護身之符.

* 계사(繫詞) : , , 曰등 우리말의 ∼이다로 풀이되는 글자.

 ·爾爲爾, 我爲我

 ·一曰水

 

. 否定形

 부정사 不, , , , 莫등이 쓰이어 ∼이 아니다, ∼이 없다, ∼아니하다, ∼못하다 등의 부정의 뜻을 갖는 글의 형식.

(1) 單純 否定

·一日之狗, 不知畏虎

·我未見好仁者

·我非生而知之者

·仁者無敵

·吾盾之堅, 莫能陷也

(2) 部分 否定 (부정사 + 부사)

·家貧, 不常得油

·知者, 不必有德

(3) 全體 否定 (부사 + 부정사)

·鳳鳥, 必不食死肉

·彼, 必不高潔之士

(4) 二重 否定 (부정사 + 부정사)

·城非不高也

·吾矛之利, 於物, 無不陷也

 

. 禁止形

 금지사 無, , , , 非 등이 쓰이어 ∼하지 말라, ∼하지 못한다 등의 금지의 뜻을 갖는 글의 형식.

·無欲速, 無見小利

·毋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疑人莫用, 用人勿疑

·不患人之不己知, 患不知人也

 

. 疑問形

 의문사나 의문 종결사가 쓰이어 ∼인가 ?, ∼이냐 ? 등의 의문의 뜻을 갖는 글의 형식.

(1) 의문사가 쓰인 경우

① 의문 대명사 : , , , , - 누구, 어떤, 무엇

·誰能爲我, 折花而來

·君子去仁, 惡乎成名

② 의문 부사 : , 何以, 何如(如何), 奈何 - 어찌, 어떻게,

·何以附耳相語

·當奈公何

(2) 의문 종결사가 쓰인 경우 : , , (=), (:之乎) - ∼는가 ?

·子非三閭大夫與

·以羊易之, 有諸

 

. 反語形

 어떤 문장을 강조하기 위해 거꾸로 물어 보는 글의 형식

(1) 반어 부사가 쓰인 경우 : , , , , , - 어찌

·豈可是己而非人

·子非魚, 安知魚之樂

(2) 반어 종결사가 쓰인 경우 : , , - ∼는가 ?

·敢不從將軍之令乎

·不仁者, 可與言哉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 +-()말하다

+-()기쁘다

+-()유세하다, 달래다

 * 반어형은 겉보기에 의문형의 모습을 하고 있어 의문형과 혼동하기 쉬우나, 반어형은 답을 요구하지 않는다.

 * 반어사와 종결사의 호응

·豈能獨樂哉

·王候將相, 寧有種乎

·燕雀安知鴻鵠之志哉

 

. 比較形

 비교 또는 선택의 뜻을 나타내는 글의 형식

(1) 비교 전치사가 쓰인 경우 於 (=于, )

① 우열 비교 : ∼보다 더

·苛政猛於虎

② 동등 비교 : ∼와 (∼과)

·國之語音, 異乎中國

(2) 비교형 서술어가 쓰인 경우

① 동급 : , , , 由 마치 ∼와() 같다

·學問如逆水行舟

② 비교급 : 不如, 不若 ∼만(같지) 못하다

·遠親不如近隣

③ 최상급 : 莫如, 莫若 ∼만한(∼만 같은) 것이 없다

 ·知子莫若其父

(3) 선택적 관용구가 쓰인 경우 與其A 寧B의 기본형과 여러 가지 변형이 쓰여 A보다는 차라리 B가 낫다로 해석.

與其A 寧B : A보다는 차라리 B한다

 與其A 不若(不如) : A하는 것이 B하는 것만 못하다

 與其A 孰若B : A에 대하여 누가 B만 같으리오이상 B선택

 寧A 勿() : 차라리 A할지언정 B하지 말라 A 선택

·禮與其奢也, 寧儉

·寧爲鷄口, 勿爲牛後

 최상급 비교의 관용구

① 莫∼於∼보다 ∼한 것이 없다

·養心, 莫善於寡慾

② 莫∼焉이보다 ∼한 것이 없다

·過而能改, 善莫大焉

* 比較形 文章 例

·光陰速乎矢 ∼보다

·霜葉紅於二月花 ∼보다

·世俗之人, 喜人之同乎己 ∼와

·過猶不及 ∼와 같다

·君子之交, 淡若水 ∼와 같다

·勢不若尊德 ∼만 같지 않다

 

. 使動形

 사역형이라고도 하며 주체가 남에게 어떤 동작을 하게 하는(시키는) 뜻을 나타내는 글의 형식.

(1) 사동 보조사가 쓰인 경우 : 使, , , 비∼로 하여금 ∼하게 하다

·天帝使我長百獸

·乃命老臣, 비之編輯

(2) 사역의 뜻을 나타내는 동사 : , , , (), 勸 등

·遣婢買肉而來

·命善射者, 射之

(3) 문맥상의 사동형:自動詞가 목적어를 수반하면 대개 사동형이 된다.

·動天地, 感鬼神

·死孔明走生仲達

 

* 기타 사동형 문장

·使天下無以古非今

·世宗召儒者, 讀史

·說夫差, 赦越

·臨別飮友酒

 

. 피동형

 수동형(受動形)이라고도 하며, 어떤 동작을 남에게 당하게 됨을 나타내는 글의 형식.

(1) 피동보조사가 쓰인 경우 : , , 爲∼을 당하다

·信而見疑, 忠而被謗

(2) 피동 전치사가 쓰인 경우 : (=, ) ∼에게 ∼을 당하다

·君子役物, 小人役於物

(3) 관용구가 쓰인 경우 : 爲∼所, 見∼於 ∼에게 ∼을 당하다

·先則制人, 後則爲人所制

·吾嘗三仕, 三見逐於君

 ☞ 爲A所B : A에게 B를 당하다, 이 때 爲나 所가 생략되기도 한다.

ex) ·()千人所指, 無病而死

·身爲宋國()

 ☞爲∼所의 문형을 見∼於의 문형으로 바꾸면 見B於A의 형태가 된다.

ex) ·爲人所制 → 見制於人

* ()B於A 문형도 피동보조사 見 ()나 피동 전치사 於가 생략되기도 한다.

ex)·用於國 → ()用於國

(4) 문맥상 피동형

·仁則榮, 不仁則辱

 

* 기타 피동형 문장

·卒爲天下笑

·幼被慈母三遷之敎

·不信乎朋友, 不獲乎上矣

·家畜皆爲盜所掠

·被拘於旅順獄

 

 . 假定形

 어떤 조건을 설정하고 그 결과를 예상하거나 의지를 나타내는 글의 형식.

(1) 가정 부사가 쓰인 경우 : , , , , , 使, 設 등

·春若不耕, 秋無所望

·人雖至愚, 責人則明

(2) 가정 접속사가 쓰인 경우 : A則BA이면 () B이다

·欲速則不達

(3) 문맥상의 가정형: 가정 부사()이나 접속사()이 생략된 형태이며, 특히 不∼不, 微 등의 조건 부정형이 가장 많이 사용된다.

·子雖賢, 不敎, 不明

·朝聞道, 夕死可矣

·微斯人, 吾誰與歸

 * 가정 부사의 해석

·若(), : 만약 ∼라면

·雖() : 비록 ∼ㄹ지라도

·使 : 가령 ∼하게 한다면ex) 使驕且吝, 其餘不足觀也

·設 : 설령 ∼지만

 * 기타 가정형 문장

·設未得其當, 不爲病

·一家和睦, 則生福必盛

·()忍一時之忿, ()免百日之憂

·人無遠慮, 必有近憂

 

. 感歎形

(1) 감탄사가 쓰인 경우 : 嗚乎, 於乎, 於戱, , 惡 아 !

·死生決矣, 於乎歸矣

·噫, 天喪予

(2) 감탄 종결사가 스인 경우 : , , , , ,

·逝者如斯夫, 不舍晝夜

·滄浪之水, 淸兮

 * 기타 감탄형 문장

·嗚呼老矣

·嗚呼痛哉

·惡, 是何言也

 

ⅹⅰ. 限定形

사물, 행위의 범위나 정도를 한정하는 뜻을 나타내는 문장 형식.

(1) 한정 부사가 쓰인 경우 : , , , , , 徒오직

·學者所患, 惟有立志不誠

·只在此山中, 雲深不知處

(2) 한정 종결사가 쓰인 경우 : , , , 而已, 而已矣

·昭帝立時, 年五歲爾

·隧事各得其當而已

·夫子之道, 忠恕而已矣

(3) 호응구가 쓰인 경우

·惟淡泊, 是愧耳

·直不百步耳, 是亦走也

 * 기타 한정형 문장

·便於日用耳

·不獨染絲爲然

·不獨中華也

ⅹⅱ. 抑揚形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가볍게 눌렀다가 다시 어조를 높임으로써 뜻을 강조하는 문장 형식. : 況∼乎하물며 ∼하랴 ?, 且∼安∼∼도 하는데 어찌 ∼하랴

·布衣之交, 尙不相欺, 況大國乎

·死馬且買之, 況生者乎

·臣, 死且不避, 치酒安足辭

 

ⅹⅲ. 累加形

 글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점차 뜻을 보태가는 문장형식 : 非徒∼且, 不惟∼亦, 非獨∼且 다만 ∼일 뿐만 아니라 또(), 豈徒∼又, 豈獨∼亦어찌 ∼뿐이겠는가 또()

·非徒危己也, 又且危父矣

·不惟有超世之才, 亦有堅忍之心

·豈徒順之, 又從而爲之辭

 *累加形의 형태

① 부정사 (,) + 한정부사 (,,,,) + 접속사 (,)

② 의문사(,) + 한정부사(,,) + 접속사(,)

 

. 虛字의 用法

 . (=, )의 용법

(1) 處所 : ∼에, ∼에서, ()

·李舜臣, 生於漢陽

·月出於東山之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