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동정

우편배달부 마리오와 시인 파블로 네루다

영화 Il Postino 일포스티노

사랑에 빠졌어요. 너무 아파요. 하지만 낫고 싶지 않아요.”

우편배달부 마리오와 시인 파블로 네루다

어떻게 하면 시를 쓸 수 있을까요?”

해변을 따라 천천히 걸으면서 주변을 감상해보게.”

마리오는 메타포를 찾아낸다.

영화는 환타지다.

그것을 증명해 주는 것이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이다.

 

우리의 실정

하루 평균 13시간 근무

월평균 57시간 초과근무

1인당 배달 물량 1032.

올 한해 이런저런 까닭으로 12명의 우편배달부가 세상을 떠났다.(2017)

 

누군가에게 우편물은 아련한 서정 또는 추억일 수 있지만

또 다른 누군가에게는 견디기 어려운 고통이었다.

 

그러나 이 땅에서 일하는 수많은 우편배달부는 촌각의 틈도 없다.

영화는 확실히 환타지임에 틀림없다.

 

나를 흔든 시 한 줄 - 권영걸 한샘 사장. 전 서울대 교수. - 나를 흔든 시 한 줄. 중앙일보

 

나였던 그 아이는 어디 있을까

아직 내 속에 있을까 아니면 사라졌을까?

- 파블로 네루다(1904~73. 70. 시인, 정치가, 행정가, 외교관), ‘질문의 책중에서

디자이너도 매일 혁명하는 사람이다. 새로운 사물을 창조하는 사람. 사물의 존재 이유에 대하여 끊임없이 회의하고 질문하는 사람. 사물의 존재 방식에 대하여 시비하는 사람.

가르침이란 질문을 던지는 것. 사제동행으로 답을 구해나가는 과정이 가르치는 것이다.

디자인은 즉물적으로 흐르기 쉽다. 네루다가 던지는 질문은 화석화한 뇌를 마사지한다.

생각이 막힐 때 생각의 호수를 뚫어내고자 할 때, 네루다의 시를 읽는다.

시는 쓰는 사람의 것이 아니라, 그 시를 필요로 하는 사람의 것이다.” 그러므로 네루다의 시는 나의 것이다.

어린이의 치기와 같은 것도 있고, 높은 사상가의 현묘한 세계를 느낄 수도 있다.

질문 속에 들어있는 암호를 푸느라 노력하고 있다.

시는 위대하다.

우리와 정반대편의 칠레 사람이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권상호
일상을 예술로 만드는 캘리그라피
마음을 담은 캘리그라피...

정보화시대에는 빠른 놈이 느린 놈을 잡아먹는다.

캘리그라피가 배워간 붓맛이 있는 서예,
캘리그라피를 제치고, 이기고,
이제는 예술의 허브로 떠오른 서예,
세계적이다 못해 세계를 넘어선 예술,
세계인의 감성을 열어주고 붓꼴림으로
더 큰 내일을 열어간다.
모든 예술은 획의 예술 서예에서 출발한다.
아- 생각만 해도 참 좋은 당신,
문방사우...
여기
동양의 선인 획에 서양의 색을 입혀본다.
색서랄까...
색즉시공이라지만 오늘만큼은
내 붓이
평창동계올림픽 2018을 만나러
떠납니다!!!

한글의 맵시
상큼한 손글씨
색을 입고 놀다.

우선은 글감 찾기이다.
다음은 글감 만들기.

붓놀이에 관심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글감에 맛을 들이게 해야 한다.

"토닥토닥 - 넌 지금도 아주 잘 하고 있어."
편지지 위에 쓰면 예스런 맛을 느낄 수 있다.



영원히 변함이 없는 먹을 믿고 따르는 우리 信墨會(신묵회)에서는
知性(지성)·感性(감성)·人性(인성)을 기르는 창의 수련을 합니다.
지성(사고·이해·판단)을 기르기 위해 인문학 및 서예이론 수업을
감성을 기르기 위해 캘리그라피, 서예, 문인화, 전각 실기를
인성을 기르기 위해 대화·세미나·여행을 통한 미래를 열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