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동정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한글 서체별 큰작품전' - 참가

한글, 그 끝없는 앎의 맛과 느낌의 멋 한글 서체별 큰작품전

 

아름다우면서도 지나치지 않고, 씩씩하면서도 넘치지 않는

한글 서체를 서예로 볼 수 있는 한글 서체별 큰작품전

부산에 이어 서울에서도 열린다. (소생도 참가)

()한국서체연구회(이사장 허경무-서예가, 문학박사)

한글학회(회장 권재일- 서울대 교수)와 함께,

한글 서체의 정립과 한글 세계화를 위한 특별기획전을

414()~419() 6일간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에서 개최한다.

개막식은 첫날인 414일 오후 2시에 열린다.

 

사단법인 한국서체연구회한글학회와 함께

아직 미진한 한글서체의 정립과 한글의 세계화를 위한

한글 서체별 큰 작품전

오는 ‘414일부터 19일까지

예술의 전당 서울서예박물관에서 펼친다.

 

한글서체가 단순하고 나약하고

궁체일변도의 작은 글씨라는 선입견을 불식시키고,

다양하고 활달하며 웅혼하여 남성들도 한자 서체에 집착하지 않고서도,

충분히 한글문자 예술과 한글서체의 마력에 젖을 수 있음을

체득하게 하는 중요한 전시가 될 것이다.

 

허경무 이사장이 직접 분류하고 명명한 한글 서체 7가지

해례본체, 언해본체 정자, 언해본체 흘림, 언해본체 진흘림,

궁체 정자, 궁체 흘림, 궁체 진흘림 등을 다양하게 표출한

큰 작품(가로 500~2,000cm, 세로 200~350cm)을 비롯

한글 서체별 서예작품 8(7서체 7, 국한혼합서체 1)

가로 70, 세로 200cm의 전지 약 80여장으로 구성한 작품들을 전시한다.

또한, 허 이사장이 대표로 있는 한예사를 통해 제작한

한글서체별 폰트 9

해례본체 3, 언해본체정자 2, 언해본체 흘림1, 궁체 정자 2, 궁체 흘림 1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신미경 작가가 쓴 다양한 한글서예 작품(가로 70.세로 200cm의 대전지)

전국대표작가들의 작품(가로 50.세로 140cm. 79)을 통해

한글의 서체적 다양성과 특성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 밖에 한글서체 분류표, 국한서체비교도판, 상해서예인

한글서체 강습회 체험자료, 역사자료 등

다른 전시에서는 볼 수 없었던 20여점의 각종 서체 관련 자료도 전시된다.

한글서체는 분류와 명칭을 비롯하여 정립이 안 돼 있어

학술적, 예술적 발전을 이루기 어렵고,

이로써 한글문화를 가꾸는데 어려움이 적지 않다.

주최단체 대표 인사말씀,

국회 문광위 소속 국회의원 축사,

예술의전당 사장 축사에 이어 현장에서

허경무 이사장이 직접 작품 및 한글 서체와 특성과 전시 방향을 설명할 예정이다.

한편 클린콘텐츠국민운동본부(회장 안종배 한세대 교수)

다양한 한글 서체를 통해

우리말의 아름다움과 멋스러움을 알릴 수 있는 이번 전시회를 기회로

인성 클린콘텐츠 운동의 일환인

아름다운 우리말 쓰기 확산과

한글 콘텐츠의 세계화를 위해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참여작가:

<전국 작가> 고범도 권상호 권용완 김명자 김영란 김영삼 김정묵 김진태 김향선 노중석 류지혁 리홍재 박영진 박정규 박정식 박혁남 신동엽 양상철 윤관석 윤판기 이권일 이상민 이정호 이종훈 이주형 이현종 장정영 전도진 전명옥 정수암 정숙모 정현식 조성주 조현판 채순홍 한태상 홍우기 (이상 37)

<회원 작가> 강명숙 강옥자 강종희 구경숙 김병호 김상빈 김순자 김영미 김용애 김은숙 김정열 김정원 김종순 김태완 문은숙 박희로 박희자 서해동 석형호 송소미 신미경 유충호 이범규 이숙련 이인자 임종일 장선자 장재경 전창수 정명애 정숙례 정우영 정종열 정천수 정현수 최재욱 최재현 최정강 허경무 허성락 허주란 (이상 41)

 

한글학회 임원

회장 : 권재일(서울대 교수)

부회장 : 임지룡(경북대 교수)

이사 : 구현정(상명대 교수), 김인택(부산대 교수), 김정태(충남대 교수), 김주원(서울대 교수), 리의도(전 춘천교대 교수), 유현경(연세대 교수), 이관규(고려대 교수), 이정택(서울여대 교수), 임칠성(전남대 교수)

감사 : 김차균(충남대 명예교수), 하치근(동아대 명예교수)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권상호
댓글내용 확인
권상호
댓글내용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