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동정

세계일보 문화기획- 문자로 보는 세상 55겨레의 스승 세종대왕어리석은 백성의 문맹 퇴치를 위해 훈민정음을 창제하신 겨레의 스승, 세종대왕을 기리기 위해 그의 탄신일인 5월 15일을 스승의 날로 정했다. 세종은 139...
By.권상호Views.1625
세계일보 문화기획- 문자로 보는 세상 54국가와 나 그리고 대통령 지난겨울부터 올봄까지 대한민국은 지금까지 한 번도 다녀보지 않았던 낯선 길을 걸어왔다. 그리고 매캐한 냄새가 나는 긴 터널도 통과했다. 하지만 터널의...
By.권상호Views.1683
라이브 서예 – 신라호텔 크리스탈 볼룸 / 글감同舟共濟(동주공제): 같은 배를 타고 함께 강을 건너다.虎視牛步(호시우보): 범처럼 날카롭게 보고 소처럼 당당하게 걸어가다. CEO는 소띠였다.^^深謀遠慮(심모원려): ...
By.권상호Views.2170
세계일보 문화기획- 문자로 보는 세상 53인물·정당·공약- 뭣 보고 찍을까오는 5월 9일 화요일은 이른바 장미 대선일로 임기 5년의 제19대 대통령을 뽑는 날이다. 당일 오전 6시에서 오후 8시까지, 1998년 5월...
By.권상호Views.1506
성과 사랑권상호(연맹 이사, 문학박사)안타깝게도 인생은 왕복이 없다. 편도 모노레일(monorail)을 타고 떠나는 여행이다. 단 한 번밖에 허락되지 않은 인생이기에, 인간은 서로 만나 사랑을 나누며 나를 닮은 2세...
By.권상호Views.1430
세계일보 문화기획- 문자로 보는 세상 52혁명(革命)과 가죽 4·19민주혁명 57주년을 기념하여 지난 13일에서 19일까지 서울 북한산 자락에 있는, 국립 4.19민주묘지 및 강북구(구청장 박겸수) 일원에서는 ‘깨어...
By.권상호Views.1762
​넓이는 강원도의 반이지만인구는 30만 명이 더 많은 전라북도는옛 마한과 백제의 땅이었다.전주는 이성계의 관향지전주와 나주에서 전라도(全羅道)이다도광주와 남원에서 광남도(光南道)로 불리기도 했다.정여립의 난과 갑오농...
By.권상호Views.1583
안녕하세요.4·19혁명국민문화제 운영사무국입니다.4.19혁명국민문화제 행사 참가 및 예산 집행 기준과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안내드리오니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1. 예산 집행 기준 (1) 업체와의 거래로 사업비 ...
By.권상호Views.1731
​세계일보 문화기획- 문자로 보는 세상 49그래도 배는 띄워야 한다 서울사이버대학교 교정에 있는 한옥 주련 내용 중 다음의 대구가 눈에 들었다. 당나라 때의 문필가 한유(韩愈, 768〜824)가 쓴 권학시이다. ‘書...
By.권상호Views.1716
세계일보 문화기획- 문자로 보는 세상 48中학교·重학교·衆학교 대한민국헌법은 대한민국의 최상위 법이다. 전체 10장 130조로 짜여 있는데, 제2장에서는 ‘국민의 권리와 의무’를 규정하고 있다. 그중 헌법 제31조 ...
By.권상호Views.1263
시산제(始山祭) 축문(祝文)유세차(維歲次) 단기(檀紀) 4350년 丁酉年(정유년) ○월 ○일○○ 산악회(山岳會) 회원들은 이곳 ○○산 정상(기슭)에 올라삼가 천지신명(天地神明)께 엎드려 고하나이다.지금까...
By.권상호Views.2776
세계일보 문화 기획- 문자로 보는 세상 47꽃샘바람 속에 불어온 사드 보복 역풍속담은 단순히 속된 이야기가 아니다. 예로부터 여러 사람의 생각과 지혜가 모여서 비석처럼 굳어진 민간의 살아있는 격언이다. ‘큰집 잔치에...
By.권상호Views.1698
역사 속의 인물을 영상처럼 살려내는이야기 문인화가 심관(心觀) 이형수(李亨守)황홀한 동해 절경과 천혜의 자연이 살아 숨 쉬는 곳, 그곳엔 영덕(盈德)이 있다. 영덕 출신으로 영덕의 자연과 인간을 지독히 사랑하여, 평...
By.권상호Views.2619
세계일보 문화기획- 문자로 보는 세상 46가르침의 시대는 가고, 배움의 시대가 온다 달이 바뀌었다. 2월은 보내지 않아도 가고, 3월은 부르지 않아도 왔다. 하늘에 뜬 달의 가르침 두 가지는 매일 조금씩 모양을 달리...
By.권상호Views.2377
세계일보 문화기획- 문자로 보는 세상 45바람의 노래 ‘사람은 얼마나 먼 길을 걸어야 비로소 사람이 될 수 있을까. 하얀 비둘기는 얼마나 넓은 바다를 날아야 모래 위에서 쉴 수 있을까. 얼마나 많은 포탄이 오가...
By.권상호Views.1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