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동정

세계일보 문화기획- 문자로 보는 세상 33정론(正論)과 사론(邪論)을 변론(辯論)함박근혜 대통령의 집권 3년 9개월 동안 상식 이하의 통치를 보고도, 문고리 3인방을 비롯한 최측근은 물론 여당까지도 충간한 사람이 없...
By.권상호Views.3717
세계일보 문화기획- 문자로 보는 세상 32부끄러움은 미덕이다- 부끄럼을 모르는 대통령, 부끄러워 치를 떠는 국민 -대수롭지 않은 사소한 일에도 부끄럼을 많이 타는 잔부끄럼쟁이 친구가 있다. 분명한 사실은 그는 지금까...
By.권상호Views.2360
무제(無題) 靑山塵外相(청산진외상) 청산은 티끌을 벗어난 모습이요明月定中心(명월정중심) 명월은 선정 중의 마음이어라.山河天眼裏(산하천안리) 산하는 하늘의 눈 속에 들어있고 世界法身中(세계법신중) 세계는 법...
By.권상호Views.2065
세계일보 문화기획- 문자로 보는 세상 31신중한 선택(選擇)을 위한 주도면밀한 준비(準備) 한 임금이 재위한 동안의 사적을 편년체로 기록한 것을 실록(實錄)이라 한다. 실록은 왕이 승하한 뒤, 실록청을 두고 시정기(...
By.권상호Views.1662
세계일보 문화기획- 문자로 보는 세상 30부드러움이 강함을 이긴다병신년 입동이 지났다. 겨울이 시작됐다. ‘최순실의 국정논단’과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는 대한민국으로서는 내우외환(內憂外患)이자 설상가상(雪上加霜)...
By.권상호Views.2044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Trend of Written Language​Calligrapher Sangho Kwon The reason why works of art are prec...
By.권상호Views.1805
세계일보 문화기획- 문자로 보는 세상 29음악에서 배우는 정치- 협연하는 마음으로 협치를​이른바 최순실의 국정개입 의혹이 불거지면서 10월이 시리게 지나갔다. 남은 11월과 12월은 일일[11]이 국정 시비[12]를...
By.권상호Views.1525
세계일보 문화기획- 문자로 보는 세상 28숨 쉬는 한지, 한 너머 한 우리의 종이를 가리키는 ‘한지(韓紙)’라는 말은 해방 이후에 생긴 것으로 보인다. <조선왕조실록이나 <한국문집총간은 물론 어느 고...
By.권상호Views.1533
2015년, 제1회 한중의원공무원서예전에 이어2016년, 제2회 한중의원공무원서예전(第2回 韓中議員公務員書藝展)에초대받아작품을 준비해 보았다.대만 금산(金山)에서 세계적인포교활동을 하시다가 입적하신성엄법사(聖嚴法師...
By.권상호Views.1907
4차산업혁명시대 - 우리의 생존전략 1편 -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2편 - 국민경제를 이모작하라 3편 패널토론 -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에 푹 빠져 있던 나에게 KBS로부터 연락이 ...
By.권상호Views.3889
세계일보 문화기획- 문자로 보는 세상 27자연을 닮은 한옥 이야기자연(自然)은 인간의 힘을 받지 않고 세상에 스스로 존재하거나 저절로 이루어지고 싶어 한다. 그런데 인간은 환경보호 또는 자연보호라는 이름으로 친자연적...
By.권상호Views.2049
신심자재(身心自在) 古德云(고덕운)덕이 높으신 옛 스님께서 말씀하셨다.竹影掃階塵不動(죽영소계진부동)대 그림자가 계단을 쓸어도 먼지조차 일지 않고月輪穿沼水無痕(월륜천소수무흔)둥근 달이 연못을 뚫어도 물에는 흔적이...
By.권상호Views.3777
세계일보 문화기획- 문자로 보는 세상 26말과 글 그리고 서예 서울대학교 규장각(奎章閣)에서 열리고 있는 ‘해군사관학교 기탁도서전’에 다녀왔다. 규장각의 ‘규(奎)’는 이십팔수(二十八宿) 중의 하나로 글이나 문...
By.권상호Views.1584
제4차 산업혁명과 문자권력의 추이​Ⅰ. 들어가며서예는 장르 특성상 작가의 정서적 등가물로서, 작가가 공감하고 있는 시대 정서를 문자를 통하여 즉시 표현해 낼 수 있는 첨단 예술이었다. 그 덕분에 지난 시절 서예는 모...
By.권상호Views.3187
세계일보 문화기획- 문자로 보는 세상 25문자권력 나눔을 위한 세종대왕의 비밀 프로젝트부드러움은 단단함을 이기고, 문(文)은 무(武)보다 강하다. 앞말은 노자(老子)의 말이고, 뒷말은 중학교 시절 영어 시간에 배운 ...
By.권상호Views.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