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동정

붓 맛을 찾기 위한 운필법


묵가논단

붓 맛을 찾기 위한 운필법
- 운전(運轉)과 운필(運筆)을 비교하며 -


서울에 살면서 그나마 보람이라면 붓끝을 닮은 삼각산 인수봉을 습관처럼 바라보는 일이다. 위용을 갖추었으면서도 부드러운 저 봉우리보다 뛰어난 조각 작품을 본 적이 없다. 그렇다면 인수봉은 누구의 작품일까. 날카로운 칼이나 단단한 정이 아니라 부드러운 비와 흐르는 바람의 작품이었다.
그렇다. 엄정한 사초(史草)와 강인한 생명력을 지닌 글씨를 남긴 주인공도 바로 부드러운 종이와 흐르는 붓이었다. 부드러워서 붓이라 하는가, 아니면 붙잡으라고 붓이라 하는가. 세종 때의 붓의 표기는 ‘붇’이었으니 두 가지 생각이 다 가능하다.
부드러움과 딱딱함의 싸움을 보면 당장은 딱딱함의 승리로 보이나, 세월이 흐른 뒤에 보면 언제나 부드러움의 승리였다.
붓으로 기록하는 일을 필기(筆記)라 하고, 필기할 때 사용되는 도구를 일러 필기구라 한다. 연필, 철필, 만년필, 볼펜, 샤프펜슬, 플러스펜, 매직펜, 분필, 보드마커(칠판펜) 따위의 다양한 필기구가 있지만, 여기서는 서예 용구 중에 가장 중요하면서도 다루기 힘든 모필(毛筆) 곧, 붓만을 이야기 대상으로 삼기로 한다.

자동차를 모는 것을 운전(運轉)이라 하듯이 붓을 운용하는 것을 운필(運筆)이라 한다. 자동차 운전을 위해서는 면허증이 필요하듯이, 붓을 다루기 위해서는 운필법(運筆法)을 알아야 한다. 다시 말해 붓의 움직임의 원리를 이해하고 수련하지 않고서는 붓을 제대로 사용할 수 없다는 말이다. 일단 운전면허증을 따면 도로 표지판과 노면 표시에 따라 길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마음껏 달릴 수 있듯이, 운필법을 알면 어떤 서체든 마음껏 써 내려갈 수 있다. 발음으로는 자동차도 붓도 ‘지면’ 위를 달린다는 점에서는 똑같다.  
그런데 엄밀히 말하자면 자동차는 평면이동에 그치지만, 붓은 평면이동에 상하이동을 더한다. 다시 말하면 붓글씨를 쓰는 동안 붓은 드론과 같이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공간이동을 한다. 그래서 대개 서예는 어렵다고들 한다. 볼펜이나 연필 등과 같은 경필(硬筆)은 평면이동에 그치지만 유연한 모필은 굴신성(屈伸性)으로 인하여 상하이동이 추가된다. 알고 보면 붓털 하나하나가 굽혀졌다 펴졌다 하는 이 굴신성 덕분에 서예가 예술로 탄생할 수 있었다고 본다.
붓이 이동하다가 멈춰 섰을 때의 모습은 마치 아프리카의 귀여운 동물 미어캣(meerkat)이 오뚝 서서 주변을 살피는 모습과 같다. 붓털 굴신의 묘기가 서예를 낳았다면, 신체 굴신의 묘기는 발레(ballet)를 낳았다고 볼 수 있다.
차량도 길에 따라서는 상하운동이 있다. 이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서 차에는 흔히 쇼바라고 하는 완충기(shock absorber)가 있다. 그러나 붓에는 완충기가 없으므로 일일이 매 순간 손으로 충격을 주기도 하고 완화하기도 하며 운필해야 한다. 바로 이런 점 때문에 서예는 많은 연습과 노력이 요구된다.
게다가 주유(注油)에 해당하는 호에 먹물 주입은 끊임없이 셀프로 해야 하므로 시간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 여기에 먹 가는 일까지 추가되니 서예는 어쩔 수 없는 슬로우 아트(slow art)이다. 서예의 결과물은 언제나 공간예술이지만 과정은 어디까지나 음악이나 무용처럼 과정이 중시되는 시간예술이다.
여기에서 서예를 위한 꿀팁 하나를 보탠다. 운전은 잘못하면 목숨을 잃을 수 있지만, 운필은 잘못해도 그럴 염려는 없으니, 운필 노하우가 부족하더라도 그냥 즐기면 된다는 사실이다.
그래도 서예를 좀 더 품위 있게 즐기기 위해서는 운필의 평면이동과 상하이동에 대한 과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영자팔법(永字八法)’을 획의 모양보다 동작으로 이해해야 하듯이 모든 운필법도 어디까지나 동작으로 접근해야 한다. 좀 더 심각하게 말한다면 붓의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상관관계로 먹을 다루어야 한다는 말씀이다.  
운필법을 말로 설명하기란 쉽지 않지만, 용어는 알아야겠기에 평면이동과 상하이동으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한다.

화선지 위에서 이루어지는 붓의 평면이동 방향은 전후좌우 사방팔방 등 경계가 없다. 다만 평면이동의 연습은 장봉(藏鋒)과 노봉(露鋒), 중봉(中鋒)과 편봉(偏鋒), 방필(方筆)과 원필(圓筆), 전필(轉筆)과 절필(折筆) 등의 네 가지의 상반된 붓 운동법을 익히면 된다. 여기에서 편의상 붓의 평면이동을 구분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붓을 대거나 들 때는 어느 정도의 상하이동이 가미될 수밖에 없음을 밝혀둔다.
우선 기필(起筆)하거나 수필(收筆)할 때 붓끝의 자국을 획 안에 감추는 필법은 장봉(藏鋒), 붓끝의 자취가 획 밖으로 드러나도록 쓰는 필법은 노봉(露鋒)이라 한다.
그리고 행필(行筆)할 때의 붓끝이 중심을 잃지 않게 쓰는 필법은 중봉(中鋒), 붓끝이 획의 가장자리를 지나가게 쓰는 필법은 편봉(偏鋒)이라 한다.
또 획의 처음과 끝이 모난 형태로 쓰면 방필(方筆), 둥근 형태로 쓰면 원필(圓筆)로 구분된다. 대게 방필은 장중하고 날카로운 느낌, 원필은 우아하고 부드러운 느낌이다.
마지막으로 행필 과정의 곡직(曲直)에 따라 전필(轉筆)과 절필(折筆)로 나뉜다. 이를 운전에 비유하자면 전필은 S 코스나 주행코스를 달리는 것과 같고, 절필은 L 코스나 T 코스를 지나가는 것과 비슷하다 하겠다.

다음으로는 서예를 예술로 승화시켜주는 붓의 상하이동에 대하여 생각해 보기로 한다. 상하이동의 필법으로는 제필(提筆)과 안필(按筆) 두 가지가 있다. 여기에서 ‘제(提)’ 자는 ‘위로 끌어올리다(提高)’의 뜻이고, ‘안(按)’ 자는 이와 반대로 ‘편안히 누르다(壓筆)’의 뜻이다. 따라서 제필은 ‘붓을 끌어올려 세우는 필법’이고, ‘안필은 붓을 지그시 눌러 호를 구부리는 필법’이다. 다시 말하면 제필은 구부러진 붓에 탄력을 주어 수직으로 일어나게 힘을 주는 필법이고, 안필은 세워진 붓을 편안히 종이 위에 눌러 호를 휘게 하는 필법이다.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제안(提按) 시에 붓이 절대로 미끄러져서는 안 된다. 자동차 타이어나 신발 바닥에 요철(凹凸)이 있듯이, 붓은 털 하나하나가 끝이 바늘처럼 뾰족하기 때문에 잘 미끄러지지 않는다. 그런데도 자동차가 빙판(氷板) 위를 달리거나 포장도로라도 수막현상(水膜現象)이 일어나면 타이어가 미끄러져 큰 사고가 날 수 있듯이, 붓도 호작질을 하거나 미끄러운 양지 위에다 쓰면 호가 잘 미끄러져 글씨를 망치기 쉽다.
요는 붓을 일으킬 때는 꼭 필봉(筆鋒)으로 딛고 일으켜야 한다는 점이다. 묵객들이 수시로 ‘붓은 세워야 맛이다’라는 말을 우스갯소리로 하는데, 이 말은 객담이나 유머가 아니라 실로 서예의 금언(金言)이자 진리(眞理)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한 획의 시작을 시필(始筆)이라 하지 않고 굳이 ‘일어날 기(起)’ 자로 ‘기필(起筆)’이라 하는 것을 보면 붓을 세움, 곧 제필(提筆)이 먼저이고 행필(行筆)은 그다음임을 알 수 있다. 앞서 말한 대로 일단은 붓을 미어캣처럼 우뚝 새웠다가 이어서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여야 한다.
한글에서 훈민정음 해례본체나 한자에서 전서체는 획의 굵기에 변화가 거의 없다. 하지만 이 외의 모든 서체는 끊임없는 획의 변화가 요구된다. 여기에 요구되는 것이 지금까지 설명한 제필과 안필이다. 획을 긋다가 굵게 쓰고 싶으면 조금씩 안필하면서 그어나가면 되고, 다시 가늘게 쓰고 싶으면 조금씩 제필하면서 그어나가면 된다. 알고 보면 사람도 붓도 먼저 벌떡 일어선 다음에 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점에서는 똑같다.
발레리나(ballerina)가 발끝으로 서거나 발바닥으로 서거나 중력(重力)에는 변화가 없다. 글씨도 기본적으로는 제필이든 안필이든 오지(五指)로 붓을 누르는 필압(筆壓)이 있어야 붓이 쓰러지지 않는다.
제필과 안필을 자동차 운전에 비유하자면 제(提)는 기어를 넣은 상태, 안(按)은 중립 상태라 할 수 있다. 제필과 안필의 연속을 인체 비유하자면 유문괄약근(幽門括約筋) 운동과 같다. 유문괄약근은 숙변(宿便)을 가둬두었다가 배출하는 기능을 하듯이, 제안은 먹을 가둬두었다가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붓의 상하이동인 제안(提按)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금종(擒縱)과 돈좌(頓挫)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서예에서 점획의 변화는 끝없이 다양하지만 모두 제안(提按), 금종(擒縱), 돈좌(頓挫)와 같은 운필법을 피할 수 없다.
금종(擒縱)에서 ‘사로잡을 금(擒)’ 자는 붓을 잡으며 수렴(收斂)함을, ‘풀어놓을 종(縱)’ 자는 붓을 풀며 방종(放縱)함을 뜻한다. 다시 말하면 금종이란 시종일관 붓을 꼭 잡고 있으라는 뜻이 아니라 붓대를 쥐었다 풀었다 하며 글씨를 유연하게 쓰라는 얘기로 본다.
금종(擒縱)은 종금(縱擒)이라 해도 좋다. 금종은 칠종칠금(七縱七擒)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칠종칠금이란 제갈량(諸葛亮)이 맹획(孟獲)을 일곱 번 놓아주고 일곱 번 사로잡았다는 고사에서 생긴 말로, 상대방을 마음대로 다룸을 이르는 말이다. 묵객에게 상대방이란 붓이라 할 수 있다. 서예를 처음 시작할 때에는 지실장허(指實掌虛), 오지집필(五指執筆) 등을 운운하면서 붓을 꼭 잡으라 하는데, 실은 골프채든 붓이든 강약이 있어야 한다. 금종은 결국 붓을 마음대로 다루는 데 필요한 집필법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돈좌(頓挫)에서 ‘조아릴 돈(頓)’ 자는 획을 그어나가다가 멈추고 서서 고민함을, ‘꺾을 좌(挫)’ 자는 획이 나아갈 방향과 길이가 결정되었으면 호를 꺾어 나아감을 뜻한다. 어쩌면 우리가 걷다가 방향을 바꿀 때, 발끝으로 찍고 턴하는 것과 같은 이치로 볼 수 있다.

붓과 종이가 만나면 운명적으로 먹 자국 곧, 묵흔(墨痕)이 남게 마련이다. 붓을 종이에 당당하게 들이대야 묵흔(墨痕)도 선명하게 남는다. 접필이 흐지부지하면 나중에 필적(筆跡) 감정(鑑定)에서 어려움이 발생할 수도 있다. 운필(運筆) 원칙은 강직(剛直)하면서도 유연(柔軟)해야 한다. 그러면서도 먼저 획의 장단(長短)·후박(厚薄)·언앙(偃仰)·향배(向背)를 잘 살피고 붓을 움직여야 한다. 먼저 붓을 움직이고 나중에 획을 살피면 낭패하기 십상이다. 험준함은 마치 산악과 같아 반걸음도 숨을 고르며 나아가고, 평온함은 잔잔한 호수와 같아 잠자리가 꼬리를 스쳐도 흔적이 나타나게 해야 한다. 필봉(筆鋒)의 날카로움은 창칼과 같지만 때로는 그 부드럽기가 솜과 같아야 한다.
붓털의 노장(露藏)·굴신(屈伸)의 변화는 영활(靈活)하면서도 듬직하다. 때론 신출귀몰하듯 하면서도 언제 그랬냐는 듯이 숨죽이고 붓걸이에 매달려 있다.
붓털로도 감정 표현이 부족할 때에는 숫제 붓대를 끌거나 밀기도 한다. 운필에는 인간의 모든 동작이 깃들어있다. 때론 붓대를 밀고 당기기도하고, 때론 들었다 놓았다 하기도 한다. 물론 그때마다 필봉의 크기와 붓털의 탄력에 따라 붓 맛은 사뭇 다르게 느껴진다.
인수봉 위에 구름 한 점이 흐른다. 인수봉이 썼나 보다. 인수봉의 붓 맛은 어떨까.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