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동정

시 - 대입수능일 아침에

사진 : 강북구 번동 두부마을


행복누림권

 

대개

네 잎 클로버의 꽃말이 ‘행운’이란 사실은 잘 알고 있으나

세 잎 클로버의 꽃말은 ‘행복’이란 사실은 잘 모르고 있다.

 

문제는

하나의 네 잎 클로버를 따기 위해

많은 세 잎 클로버를 밟고 다닌다는 사실.

하나의 행운을 얻기 위해

많은 행복을 밟으며 살아간다는 현실.

 

행운은 좋은 운수(運數)이기 때문에

행운을 빌거나 행운을 따라야 한다.

찾는다고 다 얻을 수 있는 게 아니다.

행운은 요행(僥倖)의 선물일 뿐이다.

 

행복은 욕구의 충족과 만족에서 오는 기쁨이므로

행복에 젖거나 행복을 누릴 일이다.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다 얻고 누릴 수 있다.

행복은 행복(行福)하면 된다.

 

행복의 앞글자 幸(다행 행)자는 辛(고생 신)자를 깔고 있다.

고생을 많이 한 만큼 행복의 키도 커간다.

‘어려서 고생을 모르고 자랐다.’라는 말은 칭찬이 아니다.

‘젊어서 고생은 사서라도 한다.’라는 말은 덕담이다.

 

내게 주어지는 고생은 겪을 게 아니라 즐길 일이다.

‘고생 끝에 낙이 온다.’라고 하지 않았는가.

 

행복의 뒷글자 福(복 복) 자는

하늘이 내리는 복[示(보일 시)]에

내가 짓는 복[畐(가득할 복)]을 더한 글자이다.

 

하늘이 내리는 복[示]은

하늘[亠]에서 햇빛·달빛·별빛[小] 삼광(三光)으로

보이고·알리고·가르칠 뿐이다.

 

내가 짓는 복[畐]은

스스로 생각하고[一]·말하고[口]·일궈야[田] 한다.

그 끝은 모두[宀] 부자[富] 되는 신나는 세상이다.


복은 빌 것이 아니라

지금부터 여기서부터 나부터

반드시 지어야 할 성스러운 일이다.


행복은 존엄하다. 그런데...

누군가 건드리나 보다.

행복추구권(幸福追求權)이 헌법으로 보장된 걸 보면.

 

행복은 복된 자리다.

용서와 배려의 두 손잡이가 달린 회전의자이다.

행복누림권은 생래적 마음법이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권상호
BCD란
Birth부터 Death까지 Choice를 잘하란 뜻인데
대개 대입수능 마친 뒤에 찾는 것은
Bear와 Cigar와 Date가 아닌가?
권상호
잡식동물의 딜레마 – 마이클 폴란
Omnivore’s Dilemma - Michael Pollan
잡식동물의 축복은 자연에 있는 아주 많은 것들을 모두 먹을 수 있다는 데 있다. 반면 잡식동물의 저주는 그 가운데서 먹어도 안전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면서 많은 부담을 져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