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동정

독서 메모 - 열하일기


열하일기 - 연암 박지원

1780525~1027. 40대 중반의 연암. 삼종형 박명원이 건륭황제의 만수절(70세 생일) 축하사절로 가게 되면서 개인 수행원 자격으로 연암을 동반.

5월에 떠나 10월에 돌아오는 장장 6개월의 대장정’ - ‘접속의 과정, ‘발굴의 현장, 예기치 않은 담론들이 범람하는 생성의 장.

압록강에서 연경까지 2300여 리. 요동벌판 지나 성경(지금의 심양). 연경에서 열하까지 700. 판첸라마 접견, 열하일기의 하이라이트 夜出古北口탄생. 꼬장 부리다가 6일 만에 연경으로 되돌아온다. 쓸쓸한 귀환, 열하일기의 긴 여정은 여기서 막을 내린다.

연암 - 호기심 제왕, 타고난 배가본드. a vagabond habit 방랑벽. 가공할 만한 관찰력과 기억력.

, 좋은 울음터로구나. 크게 한번 울어볼 만하구나!’ 이름하여 好哭場論. 충격을 역설적으로 표현한 것.

봉상스(상식)의 기반을 와해시키는 패러독스의 그물망을 던진다. 그러고 그 서사와 역설의 기저에는 늘 유머가 수반되어 있다.

산해관에 들어서서 연암을 옥전현이라는 작은 마을을 지나게 된다. 한 점포의 벽에 쓰여진 기이한 문장을 베껴 쓴다. 이 문장이 바로 그 유명한 虎叱이다. 유머, 에피소드의 보고.

이용후생 설파. - 벽돌, 수레, 온돌 등

그의 유머에는 언제나 기존의 사유를 뒤흔드는 전복적 상상력이 내장되어 있다.

우정- 당대 집권세력인 노론 명문가 출신. - 홍대용, 박제가, 이덕무 등 18세기 지성사를 빛낸 스타들이 이른바 연암그룹의 핵심 멤버였다. 매일 밤 지식과 우정의 향연을 펼쳤다. ‘웃어라, 온 세상이 너와 함께 웃을 것이다.’

길 위에서 사유하고, 사유하면서 길을 떠나는 그는 노마드(유목민)’이다.

보리출판사 북한판 완역본이 나왔다.

편년체 방식에 독자적으로 쓰여진 기사체 글들이 공존한다.

영인본으로 잘 알려진 박영철본을 대본으로 함.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권상호
각 권의 내용
<도강록>은 압록강으로부터 랴오양(遼陽)에 이르는 15일간의 기록으로 성제(城制)와 벽돌 사용 등의 이용후생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성경잡지>는 십리하(十里河)에서 소흑산(小黑山)에 이르는 5일간에 겪은 일을 필담(筆談) 중심으로 엮고 있다.

<일신수필>은 신광녕(新廣寧)으로부터 산하이관(山海關)에 이르는 병참지(兵站地)를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다.
<관내정사>는 산하이관에서 연경(燕京)에 이르는 기록이다. 특히 백이(伯夷)·숙제(叔齊)에 대한 이야기와
<호질 虎叱>이 실려 있는 것이 특색이다.

<막북행정록>은 연경에서 열하에 이르는 5일간의 기록이다.
<태학유관록>은 열하의 태학(太學)에서 머무르며 중국학자들과 지전설(地轉說)에 관하여 토론한 내용이 들어 있다.
<구외이문>은 고북구(古北口) 밖에서 들은 60여 종의 이야기이다.

<환연도중록>은 열하에서 연경으로 다시 돌아오는 6일간의 기록으로 교통제도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금료소초>는 의술(醫術)에 관한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옥갑야화>는 역관들의 신용문제를 이야기하면서 허생(許生)의 행적을 소개하고 있다. 뒷날에 이 이야기를
<허생전>이라 하여 독립적인 작품으로 거론하였다.

<황도기략>은 황성(皇城)의 문물·제도 약 38종을 기록한 것이다.
<알성퇴술>은 순천부학(順天府學)에서 조선관(朝鮮館)에 이르는 동안의 견문을 기록하고 있다.
<앙엽기>는 홍인사(弘仁寺)에서 이마두총(利瑪竇塚)에 이르는 주요명소 20군데를 기술한 것이다.

<경개록>은 열하의 태학에서 6일간 있으면서 중국학자와 대화한 내용을 기록하였다.
<황교문답>은 당시 세계정세를 논하면서 각 종족과 종교에 대하여 소견을 밝혀놓은 기록이다.
<행재잡록>은 당시 청나라 고종의 행재소(行在所)에서 견문한 바를 적은 것이다. 그 중 청나라가 조선에 대하여 취한 정책을 부분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반선시말>은 청나라 고종이 반선(班禪)에게 취한 정책을 논한 글이다.
<희본명목>은 다른 본에서는 <산장잡기> 끝부분에 있는 것으로 청나라 고종의 만수절(萬壽節)에 행하는 연극놀이의 대본과 종류를 기록한 것이다.
<찰십륜포>는 열하에서 본 반선에 대한 기록이다.

<망양록>과 <심세편>은 각각 중국학자와의 음악에 대한 토론내용과 조선의 오망(五妄), 중국의 삼난(三難)에 대한 것을 기록한 것이다.
<곡정필담>은 주로 천문에 대한 기록이다.
<동란섭필銅蘭涉筆>은 가악(歌樂)에 대한 잡록이며,
<산장잡기>는 열하산장에서의 견문이다.

<환희기>와 <피서록>은 각각 중국 요술과 열하산장에서 주로 시문비평을 가한 것이 주요내용이다.
≪열하일기≫는 박제가(朴齊家)의 ≪북학의 北學議≫와 함께 “한 솜씨에서 나온 것 같다(如出一手).”고 한 평을 들었다.

주로 북학을 주장하는 내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있고, 당시에 정조로부터 이 책의 문체가 순정(醇正)하지 못하다는 평을 듣기도 하였으나 많은 지식층에게 회자된 듯하다.

종래의 연행록에서 새로운 경지를 개척한 ≪열하일기≫는 박지원의 기묘한 문장력으로 여러 방면에 걸쳐 당시의 사회문제를 신랄하게 풍자한 조선 후기 문학과 사상을 대표하는 걸작이다.
권상호
2014 비보컬 특별초청콘서트
뉴욕 브로드웨이 선정 - 세계 최정상 아카펠라
2014 9월 11일(목) 7시 -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 88000원

국민연극 라이어 - 해피시어터(대학로)
2014. 12. 18(오후 3시) 인터파크 15000원

무가네라 - 성주풀이 중에서

2014 ‘한국전통춤협회’ 정기공연 - 전통춤의 맥을 이어가는 이 시대 ‘봉무향연’
땅을 두드려 하늘을 열다.
예술총감독 채상묵,
구성 연출 한혜경
기획 김은희
해설 양종승
지유림 허튼법고. 김정임 태평무. 고명구 호남산조춤. 신미경 승무. 이정희 도살풀이춤. 임수정 진도북춤. 문숙경 살풀이춤. 채향순 장고춤. 임현선 태평무. 오은희 산조. 한혜경 興之舞. 김은희 승무. 채상묵 한량무. 오율자 살풀이춤. 이길주 호남산조춤. 서영임 장고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