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동정

서예와 장수(長壽) - 문화예술비평지 기고

서예와 장수(長壽)

 

옛날부터 서예를 하면 건강에 좋다거나, 장수하는 사람 중에는 붓글씨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다는 말은 인구에 회자되어 왔다. 마침, 지난 10월 중국 CCTV 채널4에서 베이징대학교 왕악천(王岳川) 교수를 모시고 서예(書藝)와 건강에 대한 흥미로운 토크쇼를 방영한 바 있다. 내용은 건강과 장수를 위한 최고의 방편이 서예라는 것이다.

중국서법가협회(中國書法家協會) 주석(主席)을 역임했던 서동(舒同) 선생과 계공(啓功) 선생이 다 같이 93(우리식 나이 계산법으로는 94)로 장수하였다는 사실을 상기시키며, 서예가, 승려 및 역대 황제의 평균 연령을 비교하여 밝히고 있다. 고대 저명한 서예가의 평균 수명은 78.9(우리식으로는 79.9), 고대 저명한 고승(高僧)의 평균 수명은 66, 진시황 이후 마지막 황제까지의 역대 황제 평균 수명은 39.2세라는 것이다. 그리고 그는 심리학(心理學)적으로, 의학(醫學)적으로 증명된 사실임을 밝히고, ‘서법인생(書法人生)’이라는 내용을 즉석 휘호를 하는 것으로 마쳤다.

이를 계기로 한국과 중국의 서예사를 저본으로 하여 생몰 연대가 비교적 뚜렷한 서예가를 대상으로 하여 시대별로 대표적인 작가를 선정하고 이들의 나이를 조사해 보기로 했다. 과연 중국의 저명한 역대 서예가의 평균 수명이 80세 가까이 되는지와, 우리나라 서예가들의 평균 수명은 어떠한지, 그리고 왜 다른 직업군에 비해 서예가들이 장수(長壽)하는지 그 근거를 살펴보거나 추론해 보고 점점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슬로우 아트로서 서예를 즐기며 보람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독려하는 데에 이 글의 목적이 있다.

 

우선 우리나라 서예가의 시대별 나이를 조사해 본 바는 다음과 같다. 나이의 수치는 만으로 계산한 것이 아니라, 뱃속 나이까지 치는 우리의 전통 방식을 따랐다. 그리고 서예가의 나열 순서는 출생 연도순을 따랐다.

통일신라 때의 서예가로 해동(海東)의 서성(書聖)으로 불리는 김생(金生, 711 ~ 791?)81세로 생을 마쳤다.

고려의 승려이자 서예가인 탄연(坦然, 1070 ~ 1159)90, 동국(東國)의 조자앙(趙子昻)으로 불렸으며 특히 예서와 초서에 능했던 이암(李嵒, 1297 1364)68세를 기록했다.

조선 전기의 시인이자 서예가인 양사언(楊士彦, 15171584)68, 소위 석봉체(石峰體)를 완성한 석봉(石峯) 한호(韓濩, 1543 ~ 1605)63세에 별세하였다.

조선 후기에 들어와서는 전서(篆書)에 독보적 경지를 이루었던 미수(眉叟) 허목(許穆, 1595 ~ 1682)88, 문장과 글씨에 두루 뛰어난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 1606~1672)67, 창고(蒼古)하고 힘에 넘치는 글씨를 쓴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1607 ~ 1689)83, ··화에 모두 능하면서도 특히 독특한 서체인 원교체(圓嶠體)를 이룩하여 후대에 많은 영향을 끼친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 1705 ~ 1777)73, 남종문인화가 조선 후기 화단의 주도화풍으로 정착하는데 크게 기여하였으며 당시의 서화계를 계도한 서화비평가였던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 1713 ~ 1791)79, 동기창체(董其昌體)를 따르고 조선시대에 이 서체가 유행하는 데 계도적 구실을 하였던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 ~ 1845)77, 이광사(李匡師)의 글씨를 배웠으며 특히 초서에 능하여 이른바 창암체(蒼巖體)를 이룩한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 1770 ~ 1845)76, 행서와 예서에 뛰어나 독보적인 추사체(秋史體)를 완성한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 ~ 1856)71, 전서(篆書)와 예서(隸書)에 금석기(金石氣)가 보이고 고법(古法)의 임모(臨摸)에 뛰어났으며 서첩으로 <조눌인법첩(曺訥人法帖)> · <눌인서첩(訥人書帖)> 등이 전하는 눌인(訥人) 조광진(曺匡振, 1772 ~ 1840)69, 예서체(隷書體) 비문에 관해서는 동국(東國)에 전혀 없었던 신합(神合)의 경지라는 칭찬을 받았던 이재(彝齋) 권돈인(權敦仁, 1783 ~ 1859)77, 서화에 능하였으며 특히 난초를 잘 쳤던 석파(石坡) 이하응(李昰應, 1820 ~ 1898)79세를 각각 누렸다.

(((((((()에 두루 능하여 팔능(八能)이라 불린 서화가 석재(石齋) 서병오(徐丙五, 1862 1935)74, 수전증(手顫症)을 악필(握筆)로 기적처럼 위기를 극복한 석전(石田) 황욱(黃旭, 1898 ~ 1993)96, 전서를 바탕으로 소전체(素筌體)를 개발하여 서예 발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도정
근대 중국내에서 이름 있는 서법가 중 황빈홍(黃賓虹)은 92 세, 제백석(齊白石)은 95 세, 유해속(劉海粟)은 100 세에 세상을 마쳤다. 세칭 남선북불(南仙北佛)이라고 일컫는 상해의 소국선(蘇局仙)과 북경의 손묵불(孫墨佛)은 각각 100 세에 세상을 마쳤다.
도정
http://www.mooyenews.kr/sub_read.html?uid=824

생각과 염려는 정신을 상하기가 가장 쉽고, 기쁨과 분노는 호흡을 불편하게 만든다. 심신이 안정되지 않으면 기가 울체(鬱滯)되어 정신이 쉽게 상하고, 內臟의 기능이 정상적인 작용을 하지 못한다. ‘정’의 상태는 심신이 모두 안정되어야 하며, 심신의 안정은 자연의 변화에 순응함으로써 가능하다. 몸을 지나치게 사용하지 않으려면(小勞) 양성지도(養性之道)를 지키면서 욕망을 자제하는 길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