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동정

한글 서예사

연도

 

내용

비고

1443.12.

세종 25

글자로서 훈민정음(訓民正音)’ 완성.

훈민정음 해례(解例) 연구

 

1445.4.

세종 27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지음

 

1446.3.

세종 28

석보상절(釋譜詳節) 언해 명령.

운서(韻書) 번역

 

1446.9.

 

우리나라 글자와 그것을 해설한 책인 <훈민정음(訓民正音)> 해례본(解例本) 반포(頒布)

전씨본, 목판본, 원필판본체

1447

세종 29

<동국정운(東國正韻)>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고대본, 초간본으로 추정됨, 목판본, 방필판본체. 고예필의?, 점이 선으로(제외) 바뀜에 따라 붓으로 쓰기에 다소 편한 자체

<석보상절(釋譜詳節)> 나옴.

정음 활자체 생김

1449

세종 31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초주 갑인자 병용 한글자, 동활자, 방필판본체

세종이 지은 불교 찬가(讚歌).

1459

세조 5

<월인석보(月印釋譜)>

붓글씨 모양 나타남

1461

세조 7

<능엄경언해(楞嚴經諺解)>에 쓰인 정난경 글씨의 을해자 병용 한글자. 종획에 각을 주어 붓으로 쓰기 편한 자체로 바뀜

한글의 획이 점에서 선으로 바뀜. 방점.

1462

세조 8

<능엄경언해(楞嚴經諺解)> 목판본

 

1464

세조 10

오대산 상원사 중창권선문(五臺山上院寺重刱勸善文)’- 방점(傍點)이 찍혀 있음. 국보 제292(1997.1.1.)

국한문 혼용의 최고(最古)의 필사본.

1481

성종 12

<두시언해(杜詩諺解)>는 강희안의 해서체 붓글씨로 쓴 활자본

 

1536

중종 31

서울 노원구의 한글영비

최고(最古)의 한글 금석문

언간

 

 

 

 

 

정철 자당 안씨 편지

자유분방한 반흘림 선비체

 

 

정철 친필 편지

자유분방한 흘림 선비체

 

 

인선왕후 친필 편지

길쭉하고 세련된 흘림체. 궁체 태동? 띄어쓰기

 

 

효종대왕 글씨

길쭉하고 세련된 궁체 진흘림

 

 

숙종대왕 글씨

궁체 정자 태동

 

 

인현왕후 글씨

길쭉하고 세련된 궁체흘림

1796

 

<부모은중경언해(父母恩重經諺解)>- 용주사판본, 목판본

다소 길쭉한 궁체 정자의 모습

1796

 

<경신록언석(敬信錄諺釋)>- 목판본, 홍태운 글씨

다소 납작한 선비체

 

 

윤선도 시조 <산중신곡>

길쭉한 흘림체

1850

 

<춘향전>- 목판본, 경판

엄정한 선비체

19세기

 

<심청전>- 방각본, 경판 24장본

길쭉한 흘림체

 

 

 

 

1910

순종 10

남궁억(南宮檍) <신편 언문체법>

이후에 윤백영, 남궁진, 김연진, 권흥수, 김기용, 이철경 등의 수많은 서예가들이 일제를 거쳐 광복 후까지 활동

한글 붓글씨 교본으로 현대 한글서예 발전에 획기적인 자리매김.

1933

이철경

<궁체 쓰는 법>(박문서관)

일경에 압수

1942

김충현

우리 글씨 쓰는 법

일제 암흑기에 배달겨레의 얼을 지켜냄

1946

이철경

<초등 글씨본> 3, <중등 글씨본> 3, <한글 글씨체> 등을 펴냄

 

1947

이철경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