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동정

〈9〉기(氣)로 여는 가을

도정 권상호의 국어야 놀자 9

기(氣)로 여는 가을

긴 여름 끝에 가을이 왔다. 가을과 관련한 일들을 생각해 보면 가을의 어원을 짐작할 수 있다.

첫째, 추운 겨울을 대비하기 위해 가을의 가장 중요한 일은 추수(秋收), 곧 ‘가을걷이’다. ‘걷다, 거두다’의 고어는 ‘갇다, 가도다’인데, 여기에서 가을이라는 말이 생겼다고 본다. 가을은 여름내 여문 곡식을 거두는 계절이다.

둘째, 부유하다는 말의 순우리말은 ‘가멸다’인데, 이 말의 고어는 ‘가ᄋᆞ멸다, 가ᄋᆞᆷ열다’로 가을의 고어 ‘가ᄋᆞᆯ’과 발음은 물론 의미상으로도 서로 통한다. 결실의 계절인 가을은 어느 계절보다도 풍요롭기 때문에 ‘가을’과 ‘가멸다’는 가족 단어라 할 수 있겠다.

셋째, 가을엔 먹을 것은 물론 입을 것도 갖추어 둬야 한다. 여기에서 ‘갖추다, 갖다’ 등의 말도 가을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짐승의 껍질, ‘가죽’과 이로써 만든 ‘갖옷’도 갖추어야 추운 겨울을 날 수 있다.

어떤 말의 어원을 찾으려면 반드시 그 말이 생겼을 때의 사회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탐구해 나가야 한다. 알곡을 걷는 계절로서 가을을 생각하면 농경사회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것 같지만 추위에 대비할 갖옷을 갖추는 계절로서 가을을 생각하면 수렵사회적 배경도 배제할 수 없다.

각설하고, 이쯤에서 가을의 천기(天氣)를 살펴볼까나. 기의 모양을 살피는 곳은 본래 기상대(氣象臺)렷다. 가을이면 여름 내내 내리던 물 기운이 하늘로 올라간다. ‘비 우(雨)’가 ‘물 수(水)’로 떨어져 ‘내 천(川)’으로 흐르다가 모든 걸 받아주는 ‘바다 해(海)’에 머문다는 사실은 앞에서 살펴보았다. ‘해(海)’자를 보면 바다에는 늘[每] 물이 넘실거린다.

그러나 바다에서 물의 여행이 끝나는 것이 아니다. 바닷물은 다시 기(氣)를 받아 하늘로 올라가며 순환하기 시작한다. 물론 바다에서만 수기가 올라가는 게 아니다. 식물의 광합성작용이나 호흡작용 속에도 기는 포함되어 있다. 액체(液體)가 기체(氣體)로 바뀌는 현상을 ‘기화(氣化)’라고 하는데, 기체는 눈에 잘 띄지 않는다.

기(氣)의 원형은 수기(水氣)가 올라가는 모습인 ‘기운 기(气)’였다. 나중에 곡기(穀氣)가 있으면 기운을 차리고 곡기를 끊으면 죽게 된다는 사실을 알고, 기(气) 안에 곡기를 나타내는 ‘쌀 미(米)’자를 넣었다.

기도하면 기가 올라간다. 오메, 기살어! 기를 모으면 기합(氣合)이요, 기를 나누면 기분(氣分)이다. 기에 감염되는 감기(感氣)만은 주의할 일이다.

‘기가 세다’, ‘기가 죽다’라고 할 때의 ‘기(氣)’는 활동하는 힘이나 뻗어나가는 기운을 가리킨다. 영어로 ‘energy’라 하면 비슷하게 느껴질까. 옳거니, 독일어로 하면 훨씬 이해하기 쉽겠다. energie(에네르氣)!^^ 기는 참 기묘하다.

기(氣)자의 본모습은 수기(水氣)의 모양을 그린 ‘기운 기(气)’였다. 힘이나 기운은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문자로 나타내기에는 너무나 힘들었을 것이다. 기는 기인데 텅 빈 기를 ‘공기(空氣)’라 한다. 공기 속에는 비가 내리는 만큼 하늘로 올라가는 수기도 분명히 존재한다. 수기 중에 눈에 보이는 ‘김’의 모습을 나타내기 위하여 ‘김 기(汽)’자를 새로 만들었다. 우리말 ‘김’도 여기에서 나왔으리라.

물만 일어나는 게 아니다. 사람이 일어서는 것도 ‘일어날 기(起)’로 같은 발음이다. 이 글자의 모양을 보면 우리는 달리기 위해 일어선다. 그냥 제자리에서 일어서는 것은 ‘설 립(立)’이다.

물 기운이 올라가 만들어진 글자는 기(氣)와 운(雲)으로, 원래는 ‘기(气)’와 ‘운(云)’이었다. 전서에서 기(气)자는 누워 흐르던 ‘내 천(川)’자가 꿈틀거리며 올라가는 모습이다. 갑골문에서는 ‘삼(三)’와 흡사하게 썼으니, 이는 길게 펼쳐진 옅은 구름의 이미지이다. 반면 운(云)의 전서는 뭉게구름 모양이다. 놀랍게도 현대 중국에서는 죽었던 기(气)와 운(云)이 다시 살아나 본래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氣)는 가만히 있지 못하고 옮겨다니므로 기운(氣運)이라 한다. 국어사전에서는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차서, 만물이 나고 자라는 힘의 근원인 ‘기운’을 순우리말로 보고 있다.

기는 죽기도 하고 살기도 한다. 기를 펴고 살아야 하는데, 세상살이 어디 그리 쉬운가. 어메, 기죽어! 뭔가 좀 있다고 기세등등(氣勢騰騰)하거나, 기가 넘쳐서 기고만장(氣高萬丈)하면 걱정이다. 게다가 기가 차거나, 기가 막혀서 기진맥진(氣盡脈盡)하면 큰일이다. 기세(氣勢)가 세상 사람을 압도할 정도면 기개세(氣蓋世)라 한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기절하거나 까무러칠 정도가 되면 기절초풍(氣絕―風)이다. 기절초풍이란 몹시 놀라 질겁할 때 쓰는 말인데, 국어사전에는 ‘초’의 의미에 대하여 공석으로 비워두고 있다. 촛불처럼 금세 꺼지기 쉽다는 뜻에서 ‘촉풍(燭風)’에서 왔을까. 기절의 빠르기가 바람을 초월한다는 뜻에서 ‘초풍(超風)’일까. 아니면 기절과 초풍을 병렬관계로 보아 기절한데다가 설상가상으로 중풍(中風)까지 불렀다는 뜻에서 ‘초풍(招風)’일까. 좀 더 기를 쓰며 연구해 봐야겠다.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비를 맞거나 일본 맥주나 해물을 먹을 때면, 기겁(氣怯)을 하곤 한다. 또 있다. 시리아 내전에 화학무기가 사용되었다는 소식에 기도(氣道)와 기공(氣孔)이 막히는 듯하다. 기공(氣功)을 하면 건강을 지킬 수 있으려나?

이쯤에서 온몸으로 기를 모으자. 기를 지는 것이 기지개다. 팔다리를 쭉 펴고 한바탕 늘어지게 기지개를 펴자. 순간 가을하늘의 맑은 천기(天氣), 가을의 대지의 풍요로운 지기(地氣)는 물론 명절을 앞둔 넉넉한 인기(人氣)까지 온몸에 쌓인다. 얼쑤. <끝>

* 그림: 가을엔 기(氣)가 상승한다. 수(水), 기(氣), 운(雲) 세 글자를 통하여 물 기운이 하늘로 올라감을 보여주고 있다.

* 글씨: 運氣調息(운기조식) 기(氣)를 잘 운행시켜 호흡을 조절하며 살아간다는 뜻이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권상호
정보
검색 불가- 예) 대구 대련 주련

작은 숫자와 큰 숫자
http://blog.daum.net/han0114/17047870

아리랑 중국에 빼앗기나
http://blog.daum.net/han0114/17047870

중국학계- 한자는 동이족 문자
http://blog.daum.net/han0114/17047870
권상호
사모곡(思母曲)

정의화님, 모친상(母親喪)에 부쳐

 



오호! 애재라.

아흐! 통제라.


어머님께옵서 멀리 구천(九天)으로 떠나신 슬픔을 함께 합니다.

복된 여생에 평안히 가셨다고는 하나

애를 끓는 그 슬픔의 크기가 오죽이나 하시겠습니까?

태산이 이보다 크겠습니까?

사해(四海)가 이보다 깊겠습니까?


낳아주시고 길러 주신 은혜

만주 들녘이 넓은들 이 보다 더하시겠습니까?

진 자리 마른 자리 갈아 뉘시던 그 고초(苦酢)

고추 당초가 매운들 이 보다 더하겠습니까?

사랑은 크기가 하늘 보다 넓고

자애로움은 그 깊기가 바다보다 더 깊다고 하였습니다.


나무는 그대로 있고 싶으나

바람이 그냥 놔 두지 않고

부모님께 효도를 하려 하나

이미 계시지 않으니 이를 아쉬워하고 애통해 합니다.


그러나, 인생(人生) 한 평생(平生).

인간의 힘으로 생노병사(生老病死)를

어떻게 피할 수 있겠으며, 누군들 돌아 갈 수가 있겠습니까?




사바의 고통의 늪을 피해 이제 안식의 땅으로 돌아가셨습니다.

이를 천행으로 여길 수야 있겠습니까?


오욕(汚辱)으로 뒤덮힌 세파(世波)에

수고로우신 마음과 영혼 모두

세심대(洗心臺) 세심천(洗心泉)의 세심수(洗心水)로

청정(淸淨) 맑큼이 씻으시고

청공(靑空)을 훨훨 날아 오르시어

구천(九天)을 넘어 생노병사(生老病死)가 없어

奇花姚草(기화요초) 통개(通開)한 극락(極樂) 낙원(樂園)에서

피곤하신 몸 편히 쉬시고

애애자손(愛愛子孫) 번영(繁榮)과 빛남을 빌게 하소서!


그러니

부디 편히 모시고 나셔서

슬픔을 딛고

어머님의 사랑하는 자식으로

세파에 으젓히 맞서 당당하고 크게

더욱 정진하시길 빕니다.


상고(上古)에 이르길

“자식이 자식으로 당당하고 떳떳하게

세상에 섰을 때

비로소 부모님께서 편하시다“고 했습니다.


부디 원통함과 슬픔을 꿋꿋히 딛고 그렇게 하소서.

그렇게 뜻하는 바를 이루소서!




다행히 지리한 장마와 폭염(暴炎)도 지나고

낟알의 알곡이 제대로 영글고

삼사실과(三四實果)가 수밀도(水蜜桃)처럼 달게 영그는 초가을

하늘 높고 공기 청정(淸淨)하여

만물이 조용히 침잠하는

계사세(癸巳歲) 칠월열여드레 길일(吉日)에 영민(永岷)하신

어머님께서는 “살아 생전 쌓으신 복록(福祿)이 많으신

복되신 분이라“는 상사(喪事)의 말씀을 올립니다.

 


어허, 풍악을 울려라.

우하, 노래를 불러라.


호호길상(呼好吉喪) 애곡(哀哭)은 멈춰라.

호호상상(好好喪喪) 희곡(喜曲)을 부르라!

그러나 어찌 애통치 않으랴!

어이해 절통치 않으랴!

인지(人之)가 상정(常情)인 것을.


멀리 경기(京畿) 양평(楊坪) 나즈막한 누옥에서

어머님의 혼(魂)과 백(魄)이

모두 평안(平安)하시길 빌고 또 빕니다.

 


양평(楊平) 용담강(龍潭岡)에서

정의화님, 자애하신 모친을 기립니다.

원풍(原風) 김년오(金年五) 돈수(頓首)
권상호
http://www.bizwebkorea.co.kr/images/js20130910.jpg
권상호
《민족문화》42집 논문 투고 안내



 

◈ 한국고전번역원 발행 학술지 《민족문화》42집(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에 게재할 논문을 아래와 같이 모집합니다. 관련 연구자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1. 논문성격 : 고전 번역 및 고전적 정리에 관한 연구 논문 및 관련 자료
                  고전과 관련된 한국학 분야 연구 논문
2. 분    량 : 200자 원고지 150매 내외
3. 원고작성 : 「원고 투고 규정」 참조
4. 마    감 : 2013년 10월 20일
5. 발 간 일 : 2013년 12월 31일
6. 접 수 처 :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번역연구소 담당자
                (전자우편 : itkcjournal@naver.com / ☎ 02-6263-0299)
7. 투고방법 : 「논문 투고 신청서」와 투고 논문을 전자우편으로 제출


※ 참고
- 투고 논문은 다른 학술지나 단행본에 발표되지 않은 것이어야 함
- 논문 게재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동일 연구자의 논문은 연속 게재하지 않음.
- 동일 호에는 투고자 1인당 1편의 논문만 투고할 수 있음


※ 「원고 투고 규정」및「논문 투고 신청서」는 한국고전번역원 홈페이지 ‘공지사항’란에 게시된 ‘《민족문화》42집 논문 투고 안내’에서 내려 받으시기 바랍니다.


※ 편집위원회의 심사를 거친 후 게재가 확정된 원고에 대해서는 소정의 원고료(50만원)를 지급합니다.


◈《민족문화》41집에 수록된 논문이 본원 홈페이지(http://www.itkc.or.kr/)에 새로 업로드 되었습니다.
    홈페이지 ‘간행물 소개 > 회지 민족문화’로 들어오시면 창간호부터 41집까지 수록된 논문을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관심 있는 연구자들의 많은 이용 바랍니다.

 

한국고전번역원 고전번역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