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
궁체 정자의 표현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1) 궁체의 발생
궁체란 조선 중기 이후 궁중 궁녀들의 글씨체에서 비롯하여 발전해온 대표적인 한글 서체로서 부드럽고 우아하면서도 품위가 있어 우리 겨레의 정서를 표현하기에 알맞다. 내서(內書)라고도 하는 궁체는 정자(正字)와 흘림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정자는 한자의 해서와 같이 속도가 더딘 만큼 정중한 기품과 깊은 의지가 담겨 있으며, 흘림은 한자의 행서·초서와 같이 운필 과정에서 강약 완급의 변화에 의한 유연하고 생동감 넘치는 시각미를 갖추고 있다.
궁체의 발생에 대해서는 대체로 한글 창제 이후에 사용되었던 한글 판본체(板本體)가 읽기는 쉬우나 쓰기에 어려우므로, 자연히 쓰고 읽기에 편리한 필사체로 변화, 발전하였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궁체와 판본체의 비교
궁 체
판 본 체
획
곡선으로 가로획이 기울었음
직선으로 서로 수평, 수직을 이룸
세로 쓰기
오른쪽 세로줄에 맞추어 씀
글자의 중심에 맞추어 씀
중성 가로획
왼쪽으로 많이 삐쳐 나옴
초성·종성보다 약간 긴 편
초성, 종성
종성이 초성보다 약간 작용
초성·종성의 크기가 같음
필법
노봉과 장봉이 다 쓰임
장봉(藏鋒)으로 함
(2) 임서
임서(臨書)란 옛날의 훌륭한 작품을 실은 법첩을 체본으로 하여 그 형태와 정신을 본받아 그대로 본떠 쓰며 배우는 일을 말한다. 서예를 배우는 사람은 거의 임서를 통하여 필력을 기른 후에 점차 창작의 세계로 나아가게 되는데, 이처럼 옛것을 법삼아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일을 이른바 법고창신(法古創新)이라 한다.
☞ 알고 쓰자 - 임서(臨書)①
◇ 형림(形臨) ; 자형에 치중하여 외적 모양을 고전과 똑같을 정도로 사실적으로 임서하는 방법이다. 글씨에는 눈에 보이는 형태와 보이지 않는 용필이나 정취가 있다. 용필이나 정취는 체득하는 것이 어려워 우선 형임을 먼저 하는 것이 서예 학습에 좋다.
◇ 의림(意臨) ; 시각적인 글자의 외형보다는 고전이 함축하고 있는 내면적인 정신을 좇아 임서하는 방법이다. 의임은 문자의 형태에 중점을 두지 않고 오로지 그 글씨의 뜻을 취하고 그 작품의 정신을 표현함이 중요하다.
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
권상호
한글 서예에서 궁체 정자는 전통 궁서체로, 조선 시대의 궁중에서 많이 사용된 서체입니다. 궁체는 글자 형태가 단아하고 곡선이 부드러워 아름답고 우아한 느낌을 줍니다. 궁체 정자는 궁체의 기본 형태를 그대로 살리면서 획을 정갈하고 꼼꼼하게 쓰는 방식입니다. 궁체 정자를
1. 기본 획의 구조 파악
① 궁체는 가로획보다 세로획이 조금 더 굵고 힘이 들어가야 합니다.
② 궁체의 곡선은 부드럽고 우아하게 이어져야 하며,
꺾이는 부분에서도 지나치게 각지지 않도록 합니다.
③ 시작과 끝부분을 둥글고 부드럽게 처리하여
전체적으로 자연스러운 흐름을 만듭니다.
2. 자간과 행간 유지
① 글자 간격(자간)과 줄 간격(행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글 전체가 균형 잡히고 정돈된 느낌을 줍니다.
② 글자들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공간을 배분하여 쓰되,
지나치게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3. 획의 농담 조절
① 붓을 사용할 경우, 획의 굵기와 농담(濃淡)을 적절히 조절해
글자에 깊이를 더합니다.
궁체는 얇은 획과 굵은 획의 대비가 크지 않으므로,
전반적으로 균일하게 쓰는 것이 좋습니다.
② 종이에 자연스럽게 먹이 스며들 수 있도록 힘을 조절하며,
지나치게 굵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4. 자음과 모음의 배치
① 궁체는 글자의 조화가 중요하기 때문에
자음과 모음의 위치와 크기를 신경 써야 합니다.
특히 받침 부분의 위치를 잘 맞춰 글자가 안정적으로 보이게 합니다.
② 자음과 모음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여
글자가 위아래로 고르게 보이도록 해야 합니다.
5. 균형과 비례 유지
① 각 글자의 비례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전체 글이 조화롭고 일관되게 보이도록 합니다.
② 획의 길이와 굵기를 고르게 맞춰야 하며,
모음의 위치나 크기가 튀지 않도록 신경 씁니다.
궁체 정자는 처음부터 한 번에 잘 쓰기는 어려울 수 있지만,
꾸준히 연습하면서 정자 형태에 익숙해지면
차분하고 우아한 필체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한글서예 궁체 정자 가로획 ‘ㅡ’ 쓰기
1. 점찍듯이 놓기 – 누르면서 5도 위로 간다.
2. 앞부분 45도로 서서히, 비행기 착륙하듯이 서서히 着紙하기(가만히 놓기).
3. 가볍게 누르면서 진행. 이때 살짝 펼쳐지는 느낌이 중요.
4. 붓을 세움 – 붓끝 끝쪽으로 중심축 이동
5. 가만히 놓기, 그리고 세우기 – 위로 올라갔다가 잠두로 마무리.
6. 붓이 뾰족하게 서 있을 때 붓을 세우기가 쉽다.
7. 마무리할 때는 항상 끝쪽 반대 방향으로 붓을 일으켜 세워서 거두어들여야 한다.
8. 앞부분은 ‘ㅓ’의 점, 뒷부분은 ‘ㅏ’의 점.
9. 꼬이면 안 된다. 붓끝은 역순이 없다.
10. ‘ㅓ’점 - ‘놓고, 세우고, 가볍게 누르면서 마무리’
11. ‘ㅏ’점 – 놓고, 위로 올라가 놓고 마무리한다.
12. 시작 각의 변화 – 틀린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르다.
한글서예 궁체 정자 세로획 ‘ㅣ’ 쓰기
1. 반달 모양으로 놓기
2. 한문은 꺾어서 그어가나, 한글은 굴려서 간다.
3. 꺾으면 날카롭고, 굴려서 가면 부드럽다.
4. 궁체는 여성의 특징인 부드러움이 많이 살아있다.
5. 굴리는 편이나 사실은 轉折(전절) 모두 무방하다.
6. 끝부분 안으로 살짝 들어가게 내리긋는다.
7. 만약 끝이 나지 않으면 반대 방향으로 탄력을 주면서 모아나간다.
8. 획의 안쪽은 오른쪽으로 살짝 기운 듯이(오른손잡이)
9. ‘ㅜ’의 세로획은 머리를 짧게 놓고 세워서 내려쓴다.
10. ‘ㅗ, ㅁ, ㅂ’의 세로획은 왼쪽 면이 들어간다.
11. *‘면(面)’의 뜻에 ‘무엇을 향하고 있는 쪽’의 뜻도 있지만, 서예에서 劃이란 입체적 개념이기 때문에 ‘가장자리, 경계’라 해야 할 것을 ‘면’이란 단어로 통일한다.
12. 이때 끝을 뾰족하지 않게 마무리한다.
13. 마지막을 살짝 세우며 마무리할 수도 있다.
한글서예 궁체 모음 ㅗ, ㅛ, ㅜ, ㅠ 쓰기
1. 찍는 순간 힘을 주고 짧게 쓴다.
2. 짧은 세로획의 붓끝은 획의 중심으로 나오게 쓴다.
3. ‘ㅗ’의 가로획은 가운뎃점이 튀어 나가지 않도록 주의해서 쓴다.
4. 접필 부분은 너무 가늘지도 두껍지도 않게.
5. 점의 위치는 약 5분의 3의 위치이다. 곧 앞부분이 길고, 뒷부분이 짧게.
6. ‘고’와 ‘교’에서는 앞부분이 짧고 뒷부분이 길다. (예외)
7. ‘ㅛ’는 앞 획은 짧고, 뒤 획은 조금 길고 크게.
8. 이때 점의 위치는 3등분.
9. 앞 획은 안으로 들어가듯, 뒤 획은 세운다.
10. ‘ㅜ’의 세로획은 5분의 3의 위치에 적당히 붙인다. 강하게 붙이는 예도 있다. 선택사양.
11. ‘ㅜ’의 세로획의 시작 부분에서 붓을 놓고 반대 방향으로 힘을 주면서 끌고 내려와야 끝이 잘 모인다.
12. ‘ㅠ’에서는 ‘ㅅ’처럼 사선 모양이 나온다. 끝부분이 살짝 멈춤이 좋다.
13. 시작 부분은 가볍게 놓는다. ‘ㅅ’은 ‘ㅠ’에서보다 머리가 크다.
14. 앞 획이 가늘고 짧으며, 뒤 획은 굵고 길다.
한글서예 궁체 모음 ‘ㅏ, ㅑ, ㅓ, ㅕ’ 쓰기
1. 3분의 2지점에 점을 찍는다.
2. 그러기 위해서는 내리긋는 획의 마지막에 붓을 잘 세워야 한다.
3. 붓을 힘을 잘 실어주어야 한다.
4. 붓은 반대 방향으로 힘을 주면 龍鬚鐵처럼 튀어 오르는 성질이 있다.
5. 붓끝으로 탄력(힘)을 주면 한 번에 끝을 낼 수 있다.
6. ‘ㅑ’의 두 점 방향은 약간 다른 게 좋다. 한문도 마찬가지.
7. ‘ㅓ’ 점은 살짝 올라가는 느낌으로 쓰되 빠르게 빨리 뗀다. 너무 오래 머물러 있으면 다음 획과 겹칠 때 번진다.
8. ‘ㅓ’는 ‘ㅏ’와 달리 점을 찍을 때, 두툼하게 접필한다.
9. ‘ㅓ’ 점은 중간 또는 살짝 위에 찍는다. 아래로 처지면 안 된다.
10. ‘ㅕ’ 점은 대칭되게 쓴다. 안쪽 면의 거리가 같게.
11. ‘ㅕ’의 두 점은 같은 길이로 세로획을 삼가다 3등분하듯이 나눈다.
12. ‘ㅕ’의 첫 점이 아래쪽을 향해서는 안 된다. 두 점의 호응이 중요하다.
한글서예 궁체 모음 ㅐ, ㅔ 쓰기
1. ‘ㅐ’의 첫 획은 머리를 작고 짧게
2. 가운뎃점은 ‘ㅓ’ 점을 찍듯이 중간에서 살짝 올린다.
3. 뒤 획은 앞 획을 감싸듯이 머리를 좀 크게 획은 굵고 길게
4. ‘ㅔ’의 점은 살짝 위로 올라가듯이
5. 점은 세 가지 방법이 있는데(ㅏ, ㅗ, ㅅ) 펼치고 모으는 게 중요하다.
6. 점의 마무리는 뒤꽁무니를 살짝 누른다.
7. ‘ㅎ, ㅊ’의 점은 충분히 크게 아래 면이 내려온 만큼 올라가게 쓴다.
8. 방향을 바꾼 세로획의 시작 부분과 같다.
* 종합
1. 한글의 가로획과 세로획은 거의 변화가 없다.
2. 획의 방향과 굵고 가늘고, 길고 짧음을 잘 살펴서 쓴다.
3. 획을 단단하게 쓴다는 마음으로 써야 한다.
4. 많은 반복으로 기초를 튼튼하게 해야 한다.
한글서예 궁체 자음 ㄱ, ㅋ 쓰기(고, 가, 구의 3가지)
1. ‘고, 교, 윽’의 ‘ㄱ’은 강약강약으로 쓴다.
2. 가로세로 모두 안쪽이 넓게 쓴다.
3. ‘가, 갸, 거, 겨, 기’의 ‘ㄱ’은 뾰족하지 않게 시작하여, 탄력을 주고 빼며 붓을 모았다가 다시 붓을 살짝 눌러서 삐친다.
4. 윗부분보다 아랫부분을 좀 더 세운다.
5. 따라서 앞머리를 내리면 아랫부분이 짧게 느껴진다.
6. ‘구, 규, 그’의 ‘ㄱ’은 오리 머리 모양으로 살짝 위를 향하게 쓴다.
7. ‘가’에서의 ㄱ은 많이 들어서 방향을 바꾸었지만, ‘구’에서는 같은 굵기로 방향을 바꾼다.
8. 3분의 1, 3분의 2지점에서 힘을 주되 뒤에서 힘을 덜 주고 방향을 바꾸어 연결감 있게 쓴다.
9. 이때 ‘ㅋ’도 같은 원리로 3가지 모양이 있다.
한글서예 궁체 자음 ㄴ 쓰기(노, 나, 너, 받침 ㄴ의 4가지)
1. ‘노, 뇨, 누, 뉴, 느’에서의 ‘ㄴ’은 가볍게 찍어 내려그으며 붓을 모은다.
2. 방향 전환 시 비스듬히 놓고 붓끝에 힘을 주면서 살짝 위로 올라가게 쓴다.
3. ‘나, 냐’에서도 비슷하나, 방향 전환 시 각을 좀 더 세워서 쓴다.
4. 마무리 부분은 살짝 올라가다가 가볍게 회봉한다. 접필시 번지지 않게.
5. ‘너, 녀’의 ‘ㄴ’은 목이 길고 몸통이 작은 오리처럼 쓴다.
6. 수직으로 내려오다가 방향 전환 전에 붓을 잘 모아 놓아야 다음 획이 실하게 이어 쓸 수 있다.
7. 이때 ‘ㄴ’의 아래 면이 내려온 만큼 올라가게 대칭이 되게 쓴다.
8. 전체적으로 강약강약으로 쓰고, 끝은 붓을 모아서 마무리한다.
9. 받침 ‘ㄴ’은 목이 짧고 몸통이 긴 오리 모양으로 쓴다.
한글서예 궁체 자음 ㅁ, ㅂ. ㅍ 쓰기
1. ‘ㅁ’은 한 가지다.
2. 첫 획은 안쪽 면을 세우고, 반대편은 안쪽 면이 바깥쪽으로 살짝 빠진다.
3. 아니면 안쪽은 모두 평행하게 하고, 바깥쪽은 변화를 준다.
4. 첫 획이 뒷부분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길게 쓴다.
5. 마지막 획의 끝부분은 튀어 나가지 않게 가지런히 쓴다.
6. ‘ㅂ’의 첫 획은 ‘ㅁ’과 같이 쓰되 아랫부분을 덮을 수 있게 쓴다.
7. 두 번째 세로획은 좀 더 길게 쓴다.
8. 안쪽 면이 나란하게 쓴다.
9. ‘ㅍ’은 두 가지가 있다.
10. ‘포, 표, 푸, 퓨, 프’에서 ‘ㅍ’도 ‘ㅁ’과 마찬가지로 안쪽 면은 평행하게 쓰되 바깥 면은 다른 느낌으로 변화를 준다.
11. 받침 ‘ㅍ’은 살짝 넓다.
12. ‘파, 퍄, 피’에서의 ‘ㅍ’은 마지막 획을 길게 뺀다.
* 결국, 글자 구성에 있어서 안쪽 면의 통일과 바깥 면의 변화, 그 속에서 조화를 이룸이 미술의 3원칙이다. - 한 획 안에서도, 한 글자 안에서도 직선과 곡선의 결합으로 변화의 미를 추구한다. 이 또한 陰陽의 변화 미이다. 左陽右陰, 上陽下陰의 원칙이다.
글자 구성하기
한글은 줄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일일이 빨강 매직으로 그어서 쓰면 연습은 되지만 작품으로 완성할 수 없고, 또 힘이 든다. 그래서 밑에 影紙를 대고 쓰기도 하지만, 주로 摺紙(접지)하여 쓴다. *접지 방법 – 1/4절지. 위아래 2cm 정도 남게 두 번 접으면 4칸이 나온다. 다시 좌우로는 반을 접고 다시 접을 때, 1cm 정도 남기고 접으면 좌우로 3줄이 생긴다. 그러면 여기에 8자를 쓸 수 있다.
처음에는 반절지에 16자 정도의 글씨로 팔을 움직여 쓴다. 제완법이나 침완법은 나중에 해도 된다.
‘곡’ -
‘가’ - 첫 위치 중요하다.
‘걱’ -
‘나’ - ‘ㄴ’의 각은 좀 크게 하고 살짝 올라가게 쓰며, 마지막 점의 시작은 ‘ㄴ’의 밑면에 맞춘다. 자형에 유의.
‘넌’ - 두 ‘ㄴ’의 모양이 다르다. 점을 살짝 올라가게 쓰고, ‘ㅓ’의 세로획과 받침 ‘ㄴ’의 끝이 일치하게 쓴다.
‘는’ - 두 ‘ㄴ’ 다 목이 짧게 쓰며, 시작점과 끝점이 일치하게 쓴다. 그런데 위의 첫 ‘ㄴ’의 가로획이 받침 ‘ㄴ’보다 살짝 올라가게 쓰되 처지면 안 된다. 첫 획이 마지막 획보다 올라가게 쓰는 것은 일반적이다.
‘네’ - ‘ㄴ’이 작고 단단하게 쓴다. 앞의 세로획은 마지막의 세로획보다 조금 가늘게 쓴다. ‘ㄴ’의 끝부분은 원필로 마무리하고, ‘ㅓ’의 첫 획은 방필로 시작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앞 획을 마무리할 때 붓을 잘 세워야 한다.
* ‘ㄷ’ ‘ㅌ’ ‘ㄹ’에도 ‘ㄴ’ 필법이 그대로 적용되므로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류’ - 획 간의 간격 고르게, 앞뒤의 끝이 일치하게 쓴다.
* 대게 가로획은 약간 가늘게 세로획은 약간 굵게 쓰는 것이 튼실하게 보인다.
* 미세한 변화를 느낄 수 있게 몸이나 팔이나 손가락에 힘을 뺀다. 힘을 주면 경직되고 경직되면 붓의 운용이 자유롭지 못하다. 놀랍게도 몸에 힘을 빼야 붓끝에 힘을 실을 수 있다. 중력을 이용하여 힘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려’ -
‘를’ - 공간을 같게
글귀 구성하기
‘검은먹 흰종이’
‘더불어 사는삶’
‘무궁화 삼천리’
‘알찬뜻 힘찬삶’
‘한라산 백록담’
‘깊은산 맑은물’ - ‘산’은 ‘ㅅ’의 끝부분에 점, ‘ㄴ’은 ‘ㅅ’의 중간 부분에서 시작. ‘산’과 ‘맑’의 ‘ㅏ’는 길이가 다르다. 너무 동그라면 재미가 없다. 인간적인 것이 자연스럽다. ‘물’의 ‘ㅜ’는 살짝 들어간 듯하게.
‘겨레염원 조국통일’
‘곧은마음 바른글씨’
‘발없는말 천리간다’
‘사랑위에 오래소서’
‘푸른하늘 맑은바람’
‘한글사랑 민족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