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 잘 쓰네!" 어머니 칭찬에 열심히 습자 공부
"무당이 하기 싫어도 굿을 해야 하는 것과 같다고나 할까…. 붓을 잡으면 절로 신명이 나는 것 같아요. 아마도 팔자인가 보죠?" 그렇게 말하는 그는 이제 막 마흔 고개에 들어선 여인이다. 한 남자의 지어미와 두 아들의 어미이기도 한 그는 일찍이 아내와 어머니로서의 삶에만 머물기를 거부했다. 그러기에는 그의 내면에서 용솟음치는 ‘끼’가 너무나 뜨거웠으니… . 그렇다고 집안 살림을 숫제 내팽개치지는 못하여 집안에 들어가면 여느 아낙들처럼 자잘한 살림살이를 챙겨야 하지만, 집 밖을 나서면 서예가 김정보로서 삶을 불태운다. 그런 그가 붓을 처음 잡은 것은 초등학교 때 습자 시간이었다. 붓글씨 쓰는 것이 마냥 재미있고 즐거워 어느 날은 하교 후에 집에서 습자를 하게 되었다. "어, 잘 쓰네!" 딸아이의 붓글씨 쓰는 것을 훔쳐 보던 어머니가 무심코 던진 말이다. 그것이 어린 '정보'가 어머니로부터 들은 첫 칭찬이었다. 그의 어머니는 딸이 학교에서 1등을 해 와도 모른 채 할 만큼 자식들 칭찬에 인색한 분이셨다. "어머니의 칭찬에 얼마나 가슴이 뛰었던지… 생전 칭찬을 모르시던 어머니가 칭찬을 하셨으니 내가 분명 잘 쓰기는 잘 쓰는가 보다 싶어서 그 뒤로는 더욱 더 열심히 습자 공부를 했지요." 덕분에 정보는 중학교 때까지 교내에서 붓 글씨를 제일 잘 쓰는 아이로 통했다. 그러다가 고등학교를 가고 대학을 다니는 사이 한동안은 글씨를 쓰지 못했다. 지금도 그렇지만 그 당시에도 입시가 모든 것의 우선이었으므로 한가로이 글씨만 쓰고 있기에는 주위의 사정이 만만치 않았다. 대학(경성대)에서 그가 선택한 전공은 회화(繪畵)였다. 붓글씨 다음으로 잘 할 수 있는 것이 그림이었다니 아마도 그에게는 타고난 예술적 기질이 있었던가 보다. "저희 남매가 외탁을 했나 봐요. 집안 외숙부님 중 한 분도 이름 석자만 대면 다 아는 화가이시고 어머니 또한 음악에 탁월한 조예를 지니신 분이시거든요. 어머니는 저희 남매에게 당장 학교 성적에 반영되는 수학을 가르치기보다는 음악을 가르치는 것을 더 즐기셨어요. 제가 중학교에 입학해 음악 시간에 들어가 보니까 가르치는 노래들이 다 어머니로부터 이미 배운 노래들이었을 정도였죠." 그의 동생들도 작곡가에 화가라니 남매가 외탁을 했다는 말이 빈말은 아닌 듯하다. 그는 대학 공부를 끝내지 못했다. 80년대 초, 박정희 군사 정권에 이어 전두환 군부가 새로운 공포 정치를 펼치던 때여서 가슴이 뜨거운 그도 캠퍼스를 뛰쳐나와 민주화 운동에 가세했다. 그러다가 그는 자신의 말대로 학교에서 '짤렸'다. 그러니 차선책으로 선택했던 회화도 그만 시들해질 수밖에…. 곧이어 결혼을 하고 가정을 꾸렸지만 마음 속에서는 자꾸만 서예에 대한 열정이 꿈틀거렸다. 한참 열병을 앓다 마침내 다시 붓을 잡은 것이 그의 나이 스물아홉살 때, 지금으로부터 11년 전이란다. 당시 어머니가 서무과장으로 재직하고 있던 도서관에서 마침 서예 교실을 개설한 참이라 얼른 수강 신청을 했다. 거리의 회색빛 담벼락을 서예로 장식하고파 그로부터 9년 동안은 책도 신문도 멀리 하고, 거의 집 밖에도 나가지 않은 채 하루 6시간 이상씩 애오라지 글쓰기에만 정진했다니 매요 김정보의 서예에 대한 집착이 어떠했는지를 알 만하다. 그러는 사이 일곱분의 스승을 사사하면서 필력을 다져온 그는 최근 2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세상 돌아가는 것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 2002년 봄, 잠시 붓을 놓고 쳐다본 하늘은 눈부시게 푸르렀다. 무언가 알 수 없는 힘에 이끌리듯 밖으로 나선 그는 세상 공기가 자못 심상찮음을 얼른 알아챘다. 이곳저곳에서 수런수런하는 소리에 가만히 귀 기울여 보니 그 수런거림 속에 '노무현'이라는 이름이 언뜻언뜻 내비쳤다. '아, 노무현!' 그 훨씬 이전부터 세상의 변화와 개혁을 꿈꾸며 노무현이 유일한 희망이라고 믿어 왔던 그는 그때부터 '노무현 대통령 만들기'에 이녁의 가녀린 몸을 내던졌다. 글을 쓰다가는 뛰쳐 나오고, 잠시 붓을 잡았다가는 또 뛰쳐 나오고…. 보수와 수구라는 커다란 벽에 맹렬히 부딪치며 '열혈 노사모'로 뛴 그 시간들은 그가 한 시대를 사는 의미였고, 결코 포기할 수 없는 희망이었다. 이제, 그의 바람대로 노무현은 대통령이 되었고 세상은 숨가쁘게 변화와 개혁의 물살을 타고 있지만, 더 나은 세상을 향한 그의 몸부림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다만, 지난 2년보다는 한결 차분해진 마음으로 한 사람의 서예가로서의 자신을 다시 곧추세우고 붓을 잡는 시간을 더 많이 가지려 애쓴다. 그러면서 이제는 서예를 어떻게 사회운동과 접목시켜야 할지를 고민하고 있다.
지난 봄, 절친한 서예가가 경남 양산 신도시에서 운영하던 서실(매곡서당ㆍ신도시 대동아파트 3층)을 인수하면서 오랜 부산 생활을 접고 새삼 양산살이를 시작한 매요 김정보. 그 전부터도 양산에 친구들이 많아 양산이 낯설지 않다는 그는 자신의 서실을 통해 배우고 가르치며 새로운 인연을 맺어가는 일이 마냥 즐겁다고.
그 뒤로 SBS휘호대회, 청남휘호대회, 영남서예실기대회, 추사휘호대회, 부산미술대전, 제물포서예문인화대전, 월간서예 서예대전 등 국내 각종 대회에서 금상과 특선, 입선을 여러 차례 수상했다. SBS휘호대회 초대작가를 비롯해 청남휘호대회, 전국서도민전, 제물포서예문인화대전의 초대 작가로 활약하고 있는 매요 김정보에게는 아직 세상에 드러내 놓지 않은 야심찬 계획이 하나 있다. "거리의 회색빛 담벼락을 서예로 장식하려고 합니다. 이를테면 서예를 통한 사회 운동의 하나라고나 할까? 고담한 필체의 글씨와 기품 있는 사군자가 그려진 담벼락을 상상해 보십시오. 얼마나 멋지겠습니까?" 더러 조악한 그림으로 벽 장식을 하고 있기는 하지만 서예 벽화는 아마도 매요 김정보가 첫 시도를 하는 셈이겠다. 함께 작업을 할 서예가들을 모아 벽화 팀을 구성하겠다는 그의 계획이 하루 빨리 성사되어 거리 거리의 회색빛 담장이 서예 벽화로 멋스럽게 장식되는 날이 기다려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