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교실

묵법집요

명 심계손 묵법집요

먹을 서서히 평형을 유지하며 곧게 갈면 자연 거품이 없고 맑다. 만약 급히 가로 세로 어지럽게 갈면 자연 거품이 생기고 때가 낀다.

좋은 먹을 갈면 무소뿔을 가는 것 같고 나쁜 먹을 갈면 진흙 가는 것 같으니 이양빙이 이르길 ‘쓸 땐 바로 갈고 멈춰 오래두지 마라. 오래면 진애가 서로 섞이고 아교 힘이 빠져 진흙과 같아 下筆을 받지 못한다.‘라고 했다.

먹색은 자광(紫光)을 위로하고 흑광을 다음하며 청광은 또 다음이고 백광을 아래로 한다. 광택과 색은 한쪽을 폐할 수 없는 것이니 오래되어도 변하지 않는 것이 귀하다. 오직 아교광을 꺼리니 취하지 않는다. 옛 먹에 흔히 색은 있되 무광한 것이 있음은 대개 중 습기로 인해 패한 것이니 좋은 것이 아니다. 그 중 좋은 것은 어두우며 뜬 빛이 없고 밝으면서 곱고 윤택하며 젖어빠짐이 없다. 이를 일러 紫光이라 하니 먹의 절품이다.

먹으로 먹을 시험하는 것이 종이로 먹을 시험하는 것만 못하다. 혹 벼루로 시험하고 혹 손톱으로 시험하나 다 좋지 않다. 소동파가 이르길 ‘세인이 먹을 논할 때 흔히 그 검은 것을 귀히 여기나 그 광택을 취하지 않으니 광택이면서 검지 않으면 실로 버린 물건이고 만약 검으면서 광택이 없으면 삭연히 신체가 없는 것이니 역시 또 쓸데가 없다.’고 했다. 그 빛이 맑으며 단지 맑고 담담하기가 어린애의 눈동자 같이 해야 아름다움이 된다. 장마철에 먹을 쓸 때는 갈고 나면 번번이 닦아서 마르게 해야 습기로 패함을 면할 수 있다. 무릇 먹을 쓸 땐 모름지기 물을 떨어뜨려 갈아야지(滴水) 먹으로 연지에 들어 옹수(擁水)해 갈아서는 안된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송 고사손 연전(硯箋)의 製法.

벼루를 이루면 밀랍을 발라 돌과 서로 보탬이 되게 하여 세탁에 편하고 먹이 찌들지 않게 한다. 처음 쓸 때 생강즙을 발라 갈면 먹을 착 붙일 수 있다. 지금 사람들이 흔히 말하길 밀랍으로 돌의 금간 것을 없앤 것이라 하지만 이것은 아니다.

단지 생강의 매운맛이 밀랍기를 녹여 푼다는 것이지, 먹을 갈지 않고 생강도 없고 일부러 시험해 보지 않았는데 논어에 공자가 생강 씹기를 거두지 않으나 많이 먹지는 않았다는 말이 이와 유관할 지도 모른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