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교실

먹[墨]과 검은색

 

먹[墨]과 검은색

                                                   하영삼 동의대학교수/문학박사

     

    墨[먹 묵]은 黑1[검을 흑]과 土[흙 토]로 구성된 글자이다. 붓, 종이, 벼루와 함께 붓글씨에 쓰이는 주요 문방구 네 가지 중의 하나인 먹의 시초는 한나라 때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갑골문에 이미 붉은 먹으로 글씨를 썼던 것이 보이고, 전국시대 때의 실물 붓과 종이가 발견되었던 것을 생각해 보면, 먹의 역사 또한 한나라 보다 훨씬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것이다.


   墨에 흙을 나타내는 土가 붙은 것은 먹의 재료를 흙에서 가져왔기 때문이라고 해석하기도 하지만, 이는 검은 거을음[黑]을 흙[土]처럼 단단하게 다졌다는 의미로 해석해도 좋을 것이다. 아마도 전통의 먹 만드는 방법을 살핀다면 이는 쉽게 이해될 것이다. 전통의 먹은 대체로 송연묵(松煙墨)과 유연묵(油煙墨)으로 나뉘는데, 이는 먹에 쓰는 그을음[煙煤]의 차이에 따라 구분된 이름이다.


   즉 소나무를 태워 얻었다면 송연묵이요, 채종유(菜種油)․참기름[胡麻油]․비자기름[榧油]․오동기름[桐油] 등을 태워 얻었다면 유연묵이 된다. 이렇게 얻은 그을음을 아주 가는 체로 쳐서 아교풀로 개어 반죽한 다음 절구에 넣어 충분히 다지고, 그것을 목형(木型)에 넣고 압착한 다음 꺼내어 재 속에 묻어 차차 수분을 빼며 말리면 먹이 된다. 요즈음은 전통적 방법에 의한 제조보다는 광물성 그을음이나 카본 등을 재료로 하여 만드는 것이 대부분이긴 하지만, 이런 전통적 공정을 반영한 것이 墨이라는 글자이다.


   하지만 墨은 지금 보편적으로 쓰이는 "먹"이라는 의미보다는 "묵형(墨刑)"에서처럼 형벌이라는 뜻이 원래의 뜻이었다. 묵형은 의형(鼻+刀 刑), 월형(月+刀 刑), 궁형(宮刑), 사형과 함께 갑골문 시대 때 이미 다섯 가지 주요 형벌의 하나로 존재했다.


   그리고 黑을 『설문해자』에서는 윗 부분은 굴뚝을 나타내고 아랫부분의 炎[불꽃 염]은 불꽃을 형상하여 불에 그을린 검은 색을 말한다고 풀이했지만, 금문에 의하면 <자형표>에서처럼 묵형을 들인 사람의 이마를 크게 키워 그려 놓았다. 그래서 黑은 죄인에게 가해지는 형벌의 하나인 묵형으로부터 "검은 색"이라는 의미가 생겨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고, 이로부터 다시 "어두운", "혼탁한", "불법의", "사악한" 등의 의미가 파생되었다.


                                                      출현한자 자형변화표 


1. 黑[검을 흑]

   우선 黑이나 墨으로부터 파생된 한자들을 살펴보자.

墨에 실[絲]이 더해지면 먹줄이라는 뜻의 絲+墨[먹줄 묵]이 되며, 소리부인 京[서울 경]이 더해지면 黑+京[묵형할 경]이 된다. 또 黑에다 발음을 나타내는 占[점칠 점]이 합쳐지면 點[점 점]은 黑이 되고, 역시 소리를 나타내는 微[작을 미]가 더해지면 곰팡이라는 뜻의 黴[곰팡이 미]가 된다.


   또 黛[눈썹먹 대]는 黑이 의미부이고 代[대신할 대]가 소리부인 구조이지만 代는 의미의 결정에도 관여하고 있다. 黛는 눈썹을 그리는데 사용했던 아이 펜슬과 비슷한 것으로서 [석명]에서는 "黛는 대신[代] 그리다는 뜻이다. 즉 눈썹을 깨끗이 자르고 난 다음 이것으로 눈썹을 그려 넣는 것을 말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 글자는 부부간의 애정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하는 데 그 이유는 한나라 선제(宣帝) 때의 한 일화에서 연유한다. 즉, 저명한 관리이자 문자학자였던 장창(張廠)이라는 사람이 언제나 아내의 화장을 도와 눈썹을 그려 준다고 해서 세인들의 입에 오르내리게 되자 선제가 하루는 그를 불러 그게 사실이냐고 물었다. 그러자 "그 얼마나 아름다운 모습입니까? 이는 부부간의 지극한 애정의 표현이 아니고 무엇이겠습니까?"라고 대답한데서 연유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모름지기 눈썹 그리기는 버들잎처럼 가늘고 길게 그리는 것이 최고였던 듯하다. 그래서 "눈썹은 버들잎[柳葉]처럼"이라는 말도 있지 않던가?


   黙[묵묵할 묵]은 犬[개 견]이 의미부이고 黑이 소리부인 구조이나 독음이 지금은 다소 변했다. 『설문해자』에서는 "개가 몰래 사람을 뒤쫓다"는 뜻으로 해석했다. 몰래 뒤쫓으려면 소리를 내어서는 아니 될 것이니, 이로부터 "묵묵하다"나 "고요하다"는 뜻이 생겨났다. 불교에서 지난하기 그지없는 고행 중의 하나라고 하는 "묵언(黙言)", 인생살이의 화근은 언제나 입으로부터, 말[言]으로부터 오는 것임을 경계하기 위함이리라. "묵묵(黙黙)하게" 살려는 뜻에서 당호(堂號)를 "묵묵재(黙黙齋)"라 이름했다가 결국은 아직도 그 단계에 이르지 못했음을 겸허하게 표현한 "미묵재(未黙齋)"로 고쳤던 어느 선생님이 생각난다.


   그리고 黔[검을 검]은 黑이 의미부이고 今[이제 금]이 소리부로 검다는 뜻이다. 하지만 검은 머리라는 의미의 "검수(黔首)"가 어떻게 해서 "백성"이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을까? 『설문해자』에서는 진(秦)나라에서는 백성[民]을 黔首라 한다고 했으며, 『광아』에서는 이주해 온 백성[氓民]을 말한다고 했다. 이는 아마도 黔首가 단순히 머리의 색깔이 검다는 것을 말한 것이 아니라, 앞서 말했던 것처럼 묵형을 당했던 최하층민을 지칭했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는 백성을 뜻하는 民이 갑골문에서는 한쪽 눈이 자해된 모습을 그리고 있어, 형벌을 받았거나 전쟁의 포로가 된 노예를 지칭하는 최하층민으로부터 점차 "백성이라는 뜻으로 변화해 온 것에서부터도 그 대강을 엿볼 수 있다.


1. 묵형을 기록한 갑골문

2. 묵형을 기록한 금문


   그러나 黜[물리칠 출]은 색깔이 검게 변하여 못쓰게 되다는 뜻이었으나, 이후 폐기히다, 제거하다, 내몰다는 뜻까지 생겼다. 내몰다는 뜻으로 쓰이게 됨으로써 원래 소리부이던 出[나갈 출]이 의미부를 겸하는 것처럼 보이게 되었다.

하지만 黑은 이처럼 단순히 검은색만을 지칭하기보다는 갈수록 검은, 더러운, 부정적인 뜻을 가지는 의미지향을 가지게 되었다.


   예컨대, 나쁜 마음이라는 뜻의 흑심(黑心)이 그렇고, 암시장(black market)을 흑시(黑市)라고 하고, 범죄집단이나 깽집단을 흑사회(黑社會)라 하며, 바가지 옴팍 덮어 씌우는 가게를 흑점(黑店)이라 하더니, 급기야 컴퓨터를 마구 파괴하는 해커를 흑객(黑客)이라 하기까지 이르렀다. 물론 黑客은 아편쟁이를 지칭한 역사를 갖고 있긴 하지만. 黑이 가지는 부정적 의미지향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黨[무리 당]은 "썩은 무리들"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黑이 의미부이고 尙[오히려 상]이 소리부인 黨을 {설문해자}에서는 "신선하지 못하다", 즉 썩었다는 뜻으로 해석하고 있다. 정의가 아닌, 자신들의 이익만을 위해 무리 짓고 편을 가르는 행위는 예나 지금이나 부정적인 행위로 인식되었던 것 같다.


   이렇듯 검은 색은 중국인들에게 줄곧 그다지 좋지 않은 이미지를 가진 색깔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검은 색이 언제나 더럽고 부정적이며 나쁜 것만은 아니다. 중국의 서남 소수민족들의 경우 색깔 숭상은 크게 흰색을 숭상하는 경우와 검은 색을 숭상하는 경우의 둘로 구분이 가능한데, 흰색을 숭상하는 민족으로는 바이[白]족을 위시해서 푸미[普米]족, 티벳[藏]족, 지앙[羌]족, 투지아[土家]족들이 있고, 검은 색을 숭상하는 민족으로는 이[彛]족, 나시[納西]족, 누[怒]족, 징퍼[景頗]족, 하니[哈尼]족들이 있다.


   이후의 태극도에서 검은 색이 음이고 흰색이 양인 것처럼, 흰색은 양이고 양은 남성을 상징한다. 그리고 흰색 숭배는 부계사회에서부터 그 근원을 찾을 수 있고, 이들 민족들은 남성 생식기의 모형을 모두 흰 돌로 만들어 숭배대상으로 삼아 왔다. 반면 검은 색은 "여성"의 상징이며 모계사회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으며, 검은 색을 숭상하는 민족에게서의 "검은"이라는 단어는 언제나 "여성" 특히 "어미"와 관련되어 있으며 "좋은"이나 "아름다운"이라는 뜻을 가진다. 그래서 "여성"을 우위에 놓는 도가(道家) 또한 검은 색을 숭상한다. 그래서 이들의 흰색 숭상은 부계사회의 전통과 연계 지을 수 있고, 검은 색 숭상은 모계사회와 연계 지을 수 있으며, 검은 색을 숭상하는 민족들은 흰색을 숭상하는 민족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모계중심 사회를 살아가고 있다.


   검은 색 피부를 가진 사람이라는 뜻의 흑인(黑人)은 단순히 피부가 검다는 의미가 아닌, "위대한" 백인(白人)에 대한 대칭적 의미로 쓰였다. "흰 것은 아름답다"고 주창했던 그들의 구호 속에 담겨진 백인 우월주의의 엄청난 이데올로기, 이제는 검은 것이 아름답다는 말에 귀 기울여 "백색의 신화"에서 벗어나야 할 때이다.(다음호에 계속)

                                                                                                                                                                                           ysha@hyomin.dongeui.ac.kr


◆ 도판자료/宋鎭豪, <甲骨文所見商代的墨刑及有關方面的考察>({出土文獻硏究} 제5집, 1999)에서 인용.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