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교실

고전명구 초서로 쓰기 - 이곡, 장유 선생 글 초서로 쓰기

모두가 남에게 빌린 것

人之所有 孰爲不借者 (인지소유 숙위불차자) 사람이 가지고 있는 것 중에 남에게서 빌리지 않은 것이 무엇이겠는가.

- 이곡(李穀)  <차마설(借馬說) >가정집(稼亭集): 고려말 학자 이곡(李穀 12981351)이 지은 차마설(借馬說)에 나오는 구절이다. 집이 가난하여 말을 빌려 타다가 느낀 점을 얘기하면서, ‘빌린다는 데 초점을 두고 논의가 점점 확대되더니, 마침내 임금은 백성으로부터 힘을 빌려서 존귀하고 부유하게 되는 것이라고까지 말한다. 임금의 권력이 백성으로부터 나온다는 말은 오늘날의 민주주의 개념과 다를 바 없으니 당시로서는 대단히 충격적인, 그리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발언이라 하겠다.

 

병 치료법

太上未病而治 其次治病而得其理(태상미병이치 기차치병이득기리) 가장 훌륭한 것은 병이 나기 전에 잘 다스리는 것이요, 그 다음은 병을 치료하면서 올바른 이치대로 하는 것이다.

장유(張維, 1587~1638) 계곡집(谿谷集)6, 전주 부윤 이창기를 전송하는 글[送全州府尹李昌期序]: 윗글은 계곡(谿谷) 장유가 전주 부윤으로 임명되어 내려가는 이명준(李命俊, 1572~1630 : 창기(昌期))에게 써준 글의 일부이다. 전주는 당시 호남 제일의 도회지로서 땅이 넓을 뿐만 아니라 인구도 많고 물자도 풍부하였다. 그러나 동시에 사회 문제도 이만저만이 아니었나 보다. 이명준은 그런 점을 걱정하며 계곡에게 가르침을 청하였다. 마침 얼마 전까지 두 사람이 모두 같은 병으로 고생하였는데, 계곡은 그 경험을 가지고 문제 많은 고을을 다스리는 요점을 말해 주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권상호
戶(호) → 所(소)
戶(호)는 본래 門(문)의 한쪽인 ‘지게(지게문의 준말, 외짝 문, 외닫이 문)’였다. 그러나 戶籍(호적), 戶主(호주), 門戶(문호), 萬戶(만호), 家家戶戶(가가호호) 등에서 보듯이 ‘집’ 또는 ‘한 집안’을 뜻하게 된다. 戶(호)는 door, 門(문)은 gate에 해당한다.
肩(어깨 견; ⾁-총8획; jiān)은 단순히 모양만 가져왔다.
所(소)는 쪽문 옆에 가장 중요한 연장인 斤(도끼 근)을 걸어 둔 모양이다. 여기에서 ‘장소’ ‘곳’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斤(근) → 近(근)
斤(도끼 근; ⽄-총4획; jīn) ‘무게의 단위’로 쓰이자, 釿(큰 자귀 근; ⾦-총12획; jīn,yín)를 만들었다.
近(가까울 근; ⾡-총8획; jìn) 자를 보면 도끼를 두는 장소를 알 수 있다. 손이 가장 쉽게 닿을 수 있는 곳이다.
芹(미나리 근; ⾋-총8획; qín) 자를 보면 斤(근)은 ‘낫’의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도끼는 눈에 잘 띄는 곳에 두어야 한다. 覲(뵐 근; ⾒-총18획; jìn).
도끼를 사용하려면 劤(힘 근; ⼒-총6획; jìn,jùn)이 필요하다. 힘을 쓰려면 筋(힘줄 근; ⽵-총12획; jīn)이 필요하다.
도끼를 늘 잘 다루는 사람을 勤勉(근면)한 사람이라 한다.
권상호
/숙/
이 발음은 ‘嚴肅(엄숙 : 말이나 행동 따위가 위엄 있고 정중함)’을 나타낸다.

1. 享(누릴 향, 제사 지내다. 드리다. ; ⼇-총8획; xiǎng,hēng,héng)
孰(누구 숙; ⼦-총11획; shú) = 享(향)+丮(잡을 극; ⼁-총4획; jǐ) : 제단(享)에 삶은 고기를 ‘엄숙하게’ 제물로 올리다(丮) → ‘누구’라는 뜻으로 쓰이므로, 본뜻을 살리기 위해 熟(익을 숙; ⽕-총15획; shú,shóu)자를 만들었다. 熟練(숙련), 熟語(숙어)
塾(글방 숙; ⼟-총14획; shú) : 익숙할 때까지 堂(당, 글방)에서 공부하다. 私塾(사숙, 사설의 서당). 私淑(사숙: 가르침을 직접 받지는 않았으나 그 사람의 인격이나 학문을 본으로 삼고 배움.)

2. 肅(엄숙할 숙; ⾀-총12획; sù) : 바늘로 수를 놓다. 이때 엄숙해야 한다. 聿(붓 율; ⾀-총6획; yù) 부에 넣은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손에 바늘을 잡은 모습이다. 본뜻을 살리기 위해 만든 글자가 繡(수 수; ⽷-총18획; xiù)이다.

3. 叔(아재비 숙; ⼜-총8획; shū) : 콩을 따는 손의 모습. 여기에서 菽(콩 숙; ⾋-총12획; shū) 자가 나옴. 淑(맑을 숙; ⽔-총11획; shū)은 씻는 모습.

4. 夕(석)은 초저녁의 뜨는 달. 夙(숙)은 지는 달, 곧 아침 일찍. 夙興夜寐(숙흥야매: 아침 일찍 일어나고 밤에 늦게 자며 부지런히 일함). 夕(석)에서 夙(숙)까지 宿(묵을 숙. 宿泊(숙박)할 숙. 별자리 수; ⼧-총11획; sù,xiǔ,xiù).


借(빌 차, 빌릴 차; ⼈-총10획; jiè) : 사람은 오래(昔) 겪어 봐야 뭔가 ‘빌릴’ 수 있다. 借用(차용. 돈이나 물건을 빌려 씀)
昔(예 석. 오랠 석; ⽇-총8획; xī) : 말린 고기를 ‘오래’ 포개어 쌓아 두다. 또는 ‘큰 홍수가 났던 때’
惜(아낄 석; ⼼-총11획; xī) : 마음속에 오래 넣어둔 채 아끼다. 哀惜(애석: 슬프고 아까움). 愛惜(애석: 사랑하고 아깝게 여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