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
* 낙관법(落款法)
낙관(落款)이란 ‘낙성관지(落成款識)’의 준말이다. 중국의 옛 동기(銅器) 등의 각명(刻銘) 중에서 음각자(陰刻字)를 ‘관(款)’, 양각자(陽刻字)를 ‘지(識)’라고 하는데, 여기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글씨나 그림을 완성한 뒤 작품에 자신의 아호나 이름, 그린 장소와 날짜 등을 적어 놓고 도장을 찍는 일 또는 그 도장이나 도장이 찍힌 것을 가리킨다. 자필의 증거, 작품을 완성하는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 아호에 덧붙이는 용어
居士 - 속세를 떠나 조용한 초야나 심산, 절에 들어가 도를 닦는 선비를 뜻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①도덕(道德)과 학예(學藝)가 도저(到底: 학식이나 생각 등이 매우 깊음. 행동이나 몸가짐이 바르고 훌륭함.)하면서도 숨어 살며 벼슬을 아니하는 선비로서 이상의 3가지 조건을 갖추었을 때 ‘○○居士’라 쓸 수 있다. ②출가(出家)하지 아니한 속인(俗人)으로 불교(佛敎)의 법명을 가진 사람.
逸士 - 세상을 등지고 숨어 사는 선비.
退士 - 벼슬을 내놓고 물러나 은둔하고 있는 선비. 居士, 逸士, 退士 등은 비슷한 의미이다.
散人 - 어느 한 곳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사는 사람을 뜻한다.
道人 - 학문과 예술의 한 분야에 정진하고 있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主人 - 대개 '당호' 또는 산 이름 밑에 붙여서 쓰는 것으로 그 집, 또는 그 산의 주인 격이란 뜻이다.
老人 - 다 늙은이란 뜻으로 '老人'은 호 밑에 쓰고 '노' 는 호 밑에 혹은 위에 쓰기도 한다.
翁 - 老人과 같은 뜻으로 늙은이란 뜻이다. '호'나 나이 밑에 쓴다.
布衣 - 속세를 떠나 초야에 살면서 도를 닦는 야인이란 뜻이다.
이 외에도 자기의 겸칭으로 愚身(어리석은 몸)을 덧붙이기도 하고, 신체적 특징을 살려 수염이 많은 사람의 경우, 髥(구레나룻 염) 자를 붙이기도 한다.
* 單款
- 號만 쓰는 경우
- 名만 쓰는 경우
- 號와 名을 쓰는 경우
- 號와 姓名을 쓰는 경우
- 堂號와 主人을 쓰는 경우
- 時와 號를 쓰는 경우
- 時와 號와 名을 쓰는 경우
- 時와 場所와 號를 쓰는 경우
* 雙款
雙款의 경우에 글을 쓴 사연을 넣는다.
- 증여의 경우 상대의 호칭 밑에
손위의 경우( 자신의 號만을 쓰는 것은 결례이다)
拜贈, 寄, 奉呈, 謹呈 등
동등한 경우와 손아래의 경우는 대체로 같이 쓴다.
贈, 仁兄, 大兄 등
그 밖에 상대의 雅號를 쓰기도 한다.
- 求正語(가르침을 바라는 뜻의 말)
正(정: 바로잡아 주세요.), 正之(정지: 이것을 바로잡아 주세요.), 求正(구정: 바로잡아 주기를 요구합니다.), 叱正(질정: 꾸짖어 바로잡아 주세요.), 辛正(신정: 신랄하게 질정해 주세요.), 法正(법정: 법에 의거하여 바로잡아 주세요.), 淸拂(청불: 직역하면 '맑게 먼지를 털어주세요'이다. 가르침을 바란다는 겸칭이다. 간찰의 끝에 '金 大雅 所前 淸拂' 식으로 쓴다.), 雅賞(아상: 雅는 '맑다, 바르다, 규범에 맞다, 겸칭'), 雅囑(아촉: 맑게 받아주시길 부탁드립니다.), 法家淸正(법가청정: 법가께서 맑게 질정해 주세요.), 雅正(아정: 원래는 '아담하고 바르다'는 뜻이나, 여기서는 '규범에 맞게 바로잡아 주세요'의 뜻 ), 敎正(교정: 가르쳐 주고 바로잡아 주세요.), 淸正(청정), 是正(시정: 그릇된 것을 바로잡아 주세요.), 淸囑(청촉: 맑은 마음으로 받아주세요. 囑은 부탁, 촉망(잘되기를 바라고 기대함)의 뜻), 法鑑(법감: 법에 따라 감찰해 주세요.), 雅鑑(아감: 보아주십시오’라는 뜻으로, 자기가 쓰거나 그린 書畫들을 남에게 贈呈할 때에 쓰는 말.), 指敎(지교: 지도하여 가르쳐 주세요.), 法囑(법촉: 법에 따라 가르침을 부탁합니다.) 등
- 존칭어
1. 손위의 경우
大雅(대아: 군자(君子). 바르고 품격이 높은 사람. 문인·학자가 서로 높여 일컫는 말. 평교간(平交間)이나 문인(文人)에 대하여 편지 겉봉 이름 밑에 쓰는 말), 大人(대인), 先生(선생), 老師(노사), 老先生(노선생), 老臺(노대: 여기의 臺는 '어른, 남의 존칭'의 뜻으로 사용되었다.), 丈(장) 등
2. 동년배의 경우
同甲(동갑), 庚甲(경갑), 庚兄(경형), 君(군), 學兄(학형), 同年(동년), 大兄(대형), 老兄(노형) 등
3. 종족과 인척간의 경우
族相(족상), 族叔(족숙), 叔兄(숙형), 族孫(족손), 族弟(족제) 등
* 세시(歲時, 岁时) - 月의 별칭
참고는 하되 한글로 풀어 쓰거나 창의적으로 계절을 표현해도 좋다.
正月 : 寅月(인월), 元月(원월), 正月(정월, 月正이라고도 함), 建寅(건인), 上月(상월), 初月(초월), 孟春(맹춘), 初春(초춘), 首春(수춘), 上春(상춘), 始春(시춘), 早春(조춘), 元春(원춘), 新春(신춘), 端春(단춘), 献春(헌춘), 春王(춘왕), 肇春(조춘), 肇歲(조세), 靑陽(청양), 孟陽(맹양), 正陽(정양), 端月(단월), 泰月(태월), 大族月(대족월), 陬月(추월, 모퉁이 추, 정월 추), 맹추(孟陬, 正月爲陬,又爲孟春月,故稱), 태주(太簇/太蔟: 한자자전에는 簇(조릿대 족)으로 표기되어 있지만, 여기서는 /주/로 발음.동양 음악에서 십이율의 셋째 음. 육률의 하나로 방위는 인(寅), 절후는 음력 1월에 해당한다.)
二月 : 卯月(묘월), 如月(여월), 令月(영월), 麗月(여월), 大壯月(대장월), 仲春(중춘), 春中(춘중), 仲陽(중양), 陽中(양중), 夾鐘月(협종월), 華朝(화조), 花朝(화조), 梅月(매월), 杏月(행월), 桃月(도월), 酣春(감춘: 한창 무르익은 봄), 협종(夾鍾: 동양 음악에서, 십이율의 넷째 음을 이르는 말. 육려의 하나로 방위는 묘(卯), 절후는 음력 2월에 해당한다.)
三月 : 辰月(진월), 花月(화월), 嘉月(가월), 蠶月(잠월), 喜月(희월), 晩春(만춘), 暮春(모춘), 季春(계춘), 殿春(전춘), 載陽(재양), 姑洗月(고세월), 淸明(청명), 穀雨(곡우), 中和(중화), 惠風(혜풍), 고선(姑洗: 동양 음악에서, 십이율(十二律)의 다섯째 음. 육률의 하나로 방위는 진(辰), 절후는 음력 3월에 해당한다.)
四月 : 巳月(사월), 余月(여월), 乾月(건월), 初夏(초하), 孟夏(맹하), 始夏(시하), 維月(유월), 新夏(신하), 立夏(입하), 正陽(정양), 小滿(소만), 槐夏(괴하), 麥秋(맥추), 始夏(시하), 新夏(신하), 維夏(유하), 仲呂(중려: 동양 음악에서, 십이율의 여섯째 음. 육려의 하나로 방위는 사(巳), 절후는 음력 4월에 해당한다.)
五月 : 午月(오월), 皐月(고월), 梅月(매월), 榴月(유월, 석류 류), 姤月(구월: 구(姤)는 『주역(周易)』의 64괘(卦) 중 12괘를 뽑아 일년 열두 달에 배속시켰을 때 구괘(姤卦, ☰+☴)에 해당하는 달이라는 뜻이다. 구괘는 상괘(上卦)가 건괘(建卦, ☰)이고, 하괘(下卦)가 풍괘(風卦, ☴)로 이루어진 괘이다. 동짓달부터 양기(陽氣)가 처음 생겨난다고 하여 양효(陽爻)가 아래에서 처음 생겨나는 복괘(復卦)를 음력 11월에 배속시켰으므로, 구괘는 음력 5월에 해당한다.), 分龍月(분룡월), 鶉月(순월, 메추라기 순), 仲夏(중하), 梅夏(매하), 暑月(서월), 梅天(매천), 薰風(훈풍), 雨月(우월), 蒲月(포월, 부들 포, 창포 포), 蜩月(조월: 매미 조), 鳴蜩(명조: 우는 매미). 長至(장지), 蕤賓(유빈: 동양 음악에서, 십이율의 일곱째 음. 육률의 하나로 방위는 오(午), 절후는 음력 5월에 해당한다.)
六月 : 未月(미월), 季月(계월), 伏月(복월), 暑月(서월), 季夏(계하), 晩夏(만하), 常夏(상하), 災陽(재양), 小暑(소서), 流月(유월), 螢月(형월), 朝月(조월), 林鍾(임종: 동양 음악에서, 십이율의 여덟째음. 육려의 하나로 방위는 미(未), 절후는 음력 6월에 해당한다.)
七月 : 申月(신월), 凉月(양월), 冷月(냉월), 桐月(동월), 初秋(초추), 孟秋(맹추), 新秋(신추), 上秋(상추), 蟬月(선월), 流火(유화), 處暑(처서), 瓜月(과월: 참외가 익는 시기라는 뜻으로 음력 7월을 달리 부르는 말), 巧月(교월: 걸교(乞巧)가 든 달이라는 뜻으로 음력 7월을 달리 부르는 말. 걸(乞)은 빈다는 뜻이고 교(巧)는 길쌈과 바느질을 잘하는 솜씨를 뜻한다. 즉 길쌈과 바느질 잘 하기를 빈다는 뜻이다.) 相月(상월 : 상(相)은 도(導)를 말하니 相月은 여러 음(陰)을 인도하여 위로 올라가 장차 음기가 왕성해진다는 뜻으로 음력 7월을 달리 부르는 말.), 夷則(이칙: 동양 음악에서, 십이율의 아홉째 음. 육률의 하나로 방위는 신(申), 절후는 음력 7월에 해당한다. )
八月 : 酉月(유월), 佳月(가월), 桂月(계월), 素月(소월), 仲秋(중추), 棗月(조월: 대추나무 열매가 빨갛게 익는다는 뜻으로 음력 8월을 달리 부르는 말.), 寒旦(한단), 雁月(안월), 壯月(장월), 白露(백로), 正秋(정추: 음력 8월의 이칭이며 중추(仲秋)의 다른 말.), 南呂(남려: 동양 음악에서, 십이율의 열째 음. 육려의 하나로 방위는 유(酉), 절후는 음력 8월에 해당한다. )
九月 : 戌月(술월), 玄月(현월: 현(玄)은 검다는 뜻으로 음력 9월을 달리 부르는 말. 음력 9월이 되면 만물(萬物)이 모두 시들어 검게 변하는 데에서 온 말이다.), 菊月(국월), 詠月(영월), 剝月(박월, 벗길 박), 暮月(모월), 殘月(잔월), 殘秋(잔추), 晩秋(만추), 暮秋(모추), 季秋(계추: 계(季)는 계절의 마지막을 가리키므로 계추(季秋)는 가을의 석 달(7월, 8월, 9월) 가운데 9월에 해당한다.), 高秋(고추), 霜辰(상진), 授衣(수의), 無射(무역: 동양 음악에서, 십이율의 열한째 음. 육률(六律)의 하나로 방위는 술(戌), 절후는 음력 9월에 해당한다.)
十月 : 亥月(해월), 陽月(양월), 良月(양월), 坤月(곤월), 初冬(초동), 孟冬(맹동), 早冬(조동), 立冬(입동), 小春(소춘), 小陽春(소양춘), 應鍾(응종: 동양 음악에서, 십이율의 열두째 음. 육려의 하나로 방위는 해(亥), 절후는 음력 10월에 해당한다.)
十一月 : 子月(자월), 暢月(창월), 辜月(고월, 허물 고: 한 해가 거의 다 지나서 옛 일이 되었다는 뜻으로 음력 11월을 달리 부르는 말. 고(辜)는 고(故)와 같은 글자이다.), 復月(복월), 仲冬(중동), 正冬(정동), 陽復(양복), 南至(남지), 至月(지월), 黃鍾(황종: 동양 음악에서, 십이율의 첫째 음. 육률의 하나로 방위는 자(子), 절후는 음력 11월에 해당한다.)
十二月 : 丑月(축월), 嚴月(엄월), 臘月(납월), 杪月(초월), 除月(제월), 永月(영월), 余月(여월), 暮冬(모동), 晩冬(만동), 季冬(계동), 窮冬(궁동), 窮陰(궁음), 暮歲(모세), 暮節(모절), 嘉平(가평), 涂月(도월: 도(涂)는 제(除)와 같은 뜻인데 도월(涂月)은 한 해가 다 지나갔다는 의미로 음력 12월을 달리 부르는 말.), 氷月(빙월: 세상 만물이 모두 얼어붙어 있는 때라는 뜻으로 음력 12월을 달리 부르는 말. 궁호(窮冱), 잔호(殘冱), 혹한(酷寒)이라고도 한다.) 大呂(대려: 동양 음악에서, 십이율의 둘째 음. 육려의 하나로 방위는 축(丑), 절후는 음력 12월에 해당한다.)
*十二律(십이율): 국악의 열두 음계. 육률(六律)과 육려(六呂).
六律(육률): 십이율 중 양성(陽聲)에 속하는 여섯 가지 소리. 곧, 태주(太簇)·고선(姑洗)·황종(黃鐘)·이칙(夷則)·무역(無射)·유빈(蕤賓).
六呂(육려): 십이율 중 음성(陰聲)에 속하는 여섯 가지 소리. 곧, 대려(大呂)·협종(夾鐘)·중려(仲呂)·임종(林鐘)·남려(南呂)·응종(應鐘).
*주: 네이버 - 지식백과 - 카테고리 -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이아(爾雅)』 「석천편(釋天篇)」 월명조(月名條)에 “1월은 추(陬), 2월은 여(如), 3월은 병(寎), 4월은 여(余), 5월은 고(皐), 6월은 차(且), 7월은 상(相), 8월은 장(壯), 9월은 현(玄), 10월은 양(陽), 11월은 고(辜), 12월은 도(涂)이다. (正月爲陬 二月爲如 三月爲寎 四月爲余 五月爲皐 六月爲且 七月爲相 八月爲壯 九月爲玄 十月爲陽 十一月爲辜 十二月爲涂).”라고 하였고, 그 소(疏)에 “7월은 상월(相月)이라고 한다. 상(相)은 인도(引導)하는 것이니 삼음(三陰)의 기세가 이미 성대해져 음의 기운을 이끌어 위로 올라가는 형세이다(七月爲相 相者導也 三陰勢已成 遂導引而上也).”라고 하였다.
다음은 중국 자료
https://zi.media/@yidianzixun/post/npQrJx
음력(陰曆, 农历)一月::::::::::
新正(중국에서는 우리와 달리 신정을 일컫는다)、寅孟春、华岁、岁岁、开岁、献岁、芳岁、初岁、初阳、新阳、春阳、春王、岁始、王正月、初空月、霞初月、初春月、王月、端月、谨月、杨月、孟春月、三微月、三正、三之日、睦月
农历二月::::::::::
梅见月、跳月、小草生月、衣更着夹钟(의갱착협종, 낄 협夾, 술잔 종鍾) 、仲钟、中和月、四阳月、四之月、婚月、媒月、大壮、竹秋、花朝
农历三月::::::::::
末春、杪春、褉春、桐月、桃月、夬月(쾌월, 易經 64괘의 하나)、嘉月、稻月、樱筍月(앵순월)、桃浪、우풍(雩风, 기우제 우)、五阳月、桃季月、花飞月、小清明、竹秋
农历四月 ::::::::::
乏月、荒月、阳月、农月、畏月、云月、槐月、麦月、朱月、首夏、夏首、 得鸟羽月、花残月、纯阳、纯乾、正阳月、和月、麦秋月、麦候、麦序、六阳、榎月、梅溽(매욕, 무더울 욕)
农历五月::::::::::
超夏、中夏、始月、星月、皇月、一阳月、兰月、忙月、榴月、毒月、恶月、橘月、月不见月、吹喜月、皋月(번체는 皐月)、蕤宾、榴月、端阳月、夏五、贱男染月、小刑、天中、芒种、启明、郁蒸
农历六月 :::::::::
且月、荷月、焦月、暮夏、杪夏、长夏、극서(极暑, 極暑)、组暑、욕서(溽暑, 무더울 욕)、林钟、精阳
农历七月 :::::::::
首秋、瓜秋、早秋、肇秋、兰秋、兰月、文月、七夕月、女郎花月、문피월(文披月, 나눌 피)、大庆月、三阴月、初商、孟商、瓜时
农历八月 :::::::::
秋半、秋高、橘春、清秋、桂秋、획월(获月, 얻을 획)、壮月、叶月、秋风月、月见月、红染月、仲商、자월(柘月, 산뽕나무 자)、雁来月、中律、四阴月、爽月、大清月、竹小春
农历九月 :::::::::
授衣月、青女月、小田月、贯月、霜月、长月、朽月、咏月(詠月)、이각월(禰觉月, 아버지 사당 니)、菊开月、红叶月、晚秋、菊秋、秋末、凉秋、素秋、五阴月、穷秋、杪秋、秋商、暮商、季白、无射(無射)、霜序
农历十月 ::::::::::
吉月、正阳月、神无月、拾月、时雨月、初霜月、上冬、开冬、玄冬、玄英、大章、始冰、极阳、阳止
农历十一月 :::::::::
中冬、霜月、霜见月、가월(葭月, 갈대 가)、纸月、天正月、一阳月、广寒月、龙潜月、雪月、寒月、阳祭、冰壮、三至、亚岁、中寒
农历十二月 :::::::::
납월(腊月=臘月. 우리에게는 ‘포 석’)、冰月、极月、地正月、二阳月、嘉平月、三冬月、梅初月、春待月、杪冬(초동)、黄冬、腊冬、残冬、末冬、严冬、师走、星回节、殷正、清祀、冬素
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
권상호
1일 - 삭(朔), 기사백(旣死魄)
15일 - 망(望), 기생백(旣生魄)
16일 - 기망(旣望)
8일 이전 - 상현(上弦)
23일 이후 - 하현(下弦), 기사패(旣死霸)
1~10일 - 상순(上旬) 상한(上澣) 상완(上浣)
11~20일 - 중순(中旬) 중한(中澣) 중완(中浣)
21~말일(末日) - 하순(下旬) 하한(下澣) 하완(下浣)
고갑자(古甲子) : 고대 중국에서 쓰던 간지(干支)의 이름.
天干(천간)
甲(갑) 閼逢(알봉)
乙(을) 旃蒙(전몽)
丙(병) 柔兆(유조)
丁(정) 疆圉(강어)
戊(무) 著雍(저옹)
己(기) 屠維(도유)
庚(경) 上章(상장)
辛(신) 重光(중광)
壬(임) 玄黓(현익)
癸(계) 昭陽(소양)
地支(지지)
子(자) 因敦(인돈)
丑(축) 赤奮若(적분약)
寅(인) 攝提格(섭제격)
卯(묘) 單閼(단알)
辰(진) 執徐(집서)
巳(사) 大荒落(대황락)
午(오) 敦牂(돈장)
未(미) 協洽(협흡)
申(신) 涒灘(군탄)
酉(유) 作噩(작악)
戌(술) 閹茂(엄무)
亥(해) 大淵獻(대연헌)
* 연령의 별칭
15세 : 志學(지학), 成童(성동) 女子의 경우에는 竿年(간년)
20세 : 弱冠(약관)
30세 : 立年(입년)
32세 : 二毛年(이모년) - 반악(潘岳)은 ‘추흥부병서(秋興賦并序)’에서 ‘余春秋三十有二, 始見二毛'(여춘추삼십유이 시견이모): 내 나이 서른둘에 검은 머리 속에 흰머리가 보이기 시작했다.
40세 : 不惑(불혹)
48세 : 桑年(상년) *속자 '桒'(十 자 4개 + 八)
50세 : 知天命(지천명) 50세 이상, 60세 이하: 望六(망륙)
60세 : 耳順(이순)
61세 : 華甲(화갑), 回甲(회갑), 周甲(주갑), 甲年(갑년)
70세 : 古稀(고희), 稀壽(희수), 七秩(칠질), 從心所欲不踰矩(종심소욕불유구)
71세 : 望八(망팔)
77세 : 喜壽(희수) 70세 이상, 80세 이하: 耆耄(기모)
80세 : 八秩(팔질) 傘壽(산수)
81세 : 望九(망구)
88세 : 米壽(미수)
90세 : 卒壽(졸수)
91세 : 望百(망백)
99세 : 白壽(백수)
100세 : 百壽(백수), 期年(기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