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감

십장생도(十長生圖)

십장생은 민간이나 도교에서 불로장생한다고 믿는 열 가지 사물을 가르키는 말이다. 해·산·물·돌·구름·소나무·불로초·거북·학·사슴 등이 이에 해당하는 데 한 두가지가 첨삭되기도 하지만 이로 인해 의미가 변하는 것은 아니다.

고려 말 이색(李穡)의『목은집 牧隱集』에는 "내 집에 십장생이 있는데, 병중의 소원은 장생(長生) 뿐이니 차례로 찬사(贊詞)를 붙였는데 운(雲)·수(水)·석(石)·송(松)·죽(竹)·지(芝)·구(龜)·학·일(日)의 제목으로 시를 지었다."라고 하며 십장생시(十長生詩)를 남겨 놓았다.

또한 조선 성종 때의 성현(成俔)은 세화를 하사받은 뒤 시를 지어 다음과 같이 ≪허백당집 虛白堂集≫에 남겨 놓았다.
"해달은 늘 비춰 주고 산천은 변함이 없네. 송죽은 눈서리를 업수이 여기고 거북과 학은 장수로 태어났네. 흰 사슴은 그 모습 어찌 그리 깨끗한고. 붉은 불로초는 잎이 더욱 기이하네. 십장생의 뜻이 하도 깊으니, 신도 또한 국은을 입었네(日月常照臨 山川不變移 竹松凌雪霰. 龜鶴稟期覆 白鹿形何潔 丹芝葉更奇 長生深有意 臣亦荷恩私)."

궁중에서부터 민간에 이르기까지 십장생은 장수를 기원하는 인간들의 공통된 소망을 표현하는 대상물이 되어 도자기, 나전 공예품, 목 공예품, 자수품, 벼루 및 건물, 벽의 장식, 베갯머리, 혼례 때 신부의 수저주머니, 선비의 문방구 등에 널리 사용되었다.
십장생도는 바로 이러한 십장생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 그림은 10폭 병풍에 비교적 십장생들이 충실히 표현된 그림이다.
                                                   - <경기대학교 박물관>에서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