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菊花)
⇒ 꽃 가을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어록】
[1]국화에는 종류가 지극히 많아 헤아릴 수 없으나 모름지기 황색으로써 정색(正色)을 삼을 것이다. 그러므로 옛 사람이 말하기를, 「오색 가운데 특별히 귀한 색이며 일천 꽃 다 핀 뒤에 홀로 높다.」하였다. 어제 최추부(崔樞府) 댁에 갔더니 뒤뜰에 국화가 바로 한창이어서 금빛이 눈을 부시게 하였다. 《이인로 李仁老/파한집 破閑集》
[2]내 서창 밖에 있는 네 떨기 국화는 우리 나라의 산이나 들에 야생하는 종류는 아닌 모양이요, 오랫동안 사람의 재배를 받아 온 국화인 듯하다. 노란 것도 있거니와 분홍, 보라, 자주도 있다. 산국화 같은 처사도 아니요, 들국화의 농부도 아니요, 이를테면 도시의 문화인에 비길 국화가 내 뜰에 있는 국화다. 본래는 청자, 백자의 분에 담겨 귀인의 문갑 위에 놓였을 꽃이 어쩌다가 야인의 집에 와서 생땅에 뿌리를 박고 비바람 속에 살게 된 것이다. 그러나 아직 자연의 환경에는 익지 못하여 산국화, 들국화보다 저항력이 적어서 대는 가냘프고 잎도 충실하지 못하지마는 찬 서리를 맞아 꽃피우는 옛 버릇만은 잊지 아니하고 있다. 《이광수 李光洙/살아갈 만한 세상(世上)》
[3]산국화, 들국화도 핀다. 산비탈에 한 뼘도 못 되는 데에 한 송이만 피어서 푸른 하늘과 마른 풀을 배경으로 가을 바람에 흔들리는 흰 산국화! 누가 무엇이라 하여도 국화의 왕은 이것이다. 옛날 우리 처녀들이 전판 같은 댕기에 성웅황과 함께 붙인 것이 은으로 만든 구와였거니와 그 구와판은 곧 이 산국화였다. 산국화, 이렇게 높고 맑은 기품인고? 그러나 이것은 산에 놓고 볼 것이요, 집 가까이 심기에는 너무나 청초하다. 밭두둑이나 묵은장이에 탐스럽게 피어 늘어지는 들국화야말로 농촌다웁다. 향기롭고 귀여우나 산국화에서 보는 맑고 싸늘한 맛이 없다. 들국화는 어수룩하고 풍성풍성하다. 꽃을 따서 술에 담가 먹거나 베개에 넣을 만한 것들은 들국화다. 이것은 소도 잘 먹거니와 어디까지든지 농촌적이다. 《이광수 李光洙/살아갈 만한 세상(世上)》
[4]산국화 많이 핀 먼 곳에 가면 수없는 담장(淡粧) 미인들을 보는 것 같다. 그러나 혹은 동행한 벗의 옷깃을 위하여 그 중에 한 송이를 고르려 하면 하나도 합의하는 것이 없다. 이것을 잡으면 저것이 부족하고 저것을 잡으면 또 다른 것이 부족하다. 그래서 실망하고 두어 걸음 물러서서 그 산국화판을 바라보면 여전히 아담한 미인들이다. 알았다, 한 송이 한 송이는 온 판국의 부분이다. 모든 부분(새새 있는 잡초와 소나무까지도)이 어울려 저 미를 이룬 것이다. 《이광수 李光洙/산국 山菊》
[5]알뜰하기로는 친구인 채로, 귀하기로는 손님인 채로, 점잖기로는 군자인 채로, 정답기로는 식구인 채로 나는 여기 선생이라 부르기를 주저하지 아니한다. 《이은상 李殷相/상국삼도 賞菊三到》
[6]전문가의 말에 의하면 국화의 종류는 모두 7, 8백은 된다는 것인데, 그것을 내가 다 본 것은 아니지만 개괄적으로 말해서 국화는 어떤 것이든 그 모양이 원형이다. 원형은 흔히 원만·조화의 상징으로 숭상되지만 꽃과 여자의 얼굴에서 원형은 매력이 없다. 또 한 가지 국화가 주는 보편적인 인상은 소담하고 유복한 인상인데, 그것이 실용의 미덕은 될 수 있을지 몰라도 미의 카테고리로선 낙제다. 《이창배 李昌培/국화》
【시·묘사】
[7]국화꽃을 바라보니
마음이 부끄럽다.
내 머리카락에도
가을이 왔네.
내 오사모(烏紗帽)를
바르게 해줄 사람 누구인가.
홀로 서풍에 비겨 앉아
시름을 씹는다.
一見黃花只自羞
蕭然短髮不禁拜
誰人爲整烏紗帽
獨倚西風滿眼然 《장예수/중양 重陽》
[8]울타리 밑에서 느지막하게
몇 포기 국화가 핀다.
눈보다도 더 흰 꽃술이
비단주머니를 찢고 향내를 풍기네.
천 년을 지켜 온 백의주며
일생 동안 청녀의 서리를 이고 있다.
봄철의 꽃은 이 꽃을 쉽게 보지 마라
모두 제 나름대로의 뜻이 있는 것이다.
洛離墻云暮
數枝聊自芳
雪裁新陵密
金圻小包秀
千年白衣酒
一生靑女霜
春叢莫輕薄
彼此有行減 《나은 羅隱/국 菊》
[9]싹은 일찌감치 솟아 푸르고 성한 것이
늦게야 금빛 찬란한 꽃을 피운다.
가을의 심사(心思)가 매우 담박한 모양이로구나.
하늘은 결코 요염하게 만들지 않네.
안개마냥 이슬비 내리는 구월에
난간 저쪽 울타리마다 오류 선생(五柳先生)의 집 같고
국화 곁에서 저녁에는 취하고 아침에는 읊조려
한접(寒蝶)의 그 생애를 생각해 본다.
靑叢馥都早抽芽
金陵開班晩着花
秋意思應宜淡泊
化工可是惜鉛華
輕煙細雨重陽節
曲檻騫籬五柳家
暮醉朝職供採摘
更憐寒蝶共生涯 《유언충/국 菊》
[10]꽃답고 무성함이 봄바람에 미치지 못한 것 한스럽구나.
이슬은 차갑고 서리는 청량하여 옥 같은 얼굴 가엾어라.
해는 저무는데 꽃다운 이 마음 누가 홀로 알아 주려나.
쇠잔한 떨기 속에도 오히려 꽃을 사랑하는 나비는 있네. 《김한림 金翰林》
[11]뜰 앞에 꽃다운 국화가 있어
뭇 풀 속에 가리어 있네.
봄을 만나 제각기 아름다움 다투니
뉘라서 외로운 포기 돌보리.
어느덧 가을이라 서리 눈 내려
으스스 구슬픈 바람이 많네.
온갖 물건 다 시들고 병들었는데
아름다운 빛 홀로 싱싱하구나.
꽃을 따려 해도 차마 못 따고
서성대며 속으로만 느껴 보네.
언제나 두려워라 풍설이 와서
저 뭇 풀과 함께 시들까 싶어.
庭前有芳菊
掩楞衆草中
當春各爭姸
誰復念孤叢
忽焉霜霰秋
蕭颯多悲風
百物盡凋衆
佳色獨蔥蔥
采采不忍摘
徘徊感予裏
常恐風雲至
與彼還相同 《정도전 鄭道傳/삼봉집 三峯集》
[12]추월(秋月)이 만정(滿庭)한데 국화는 유의(有意)로다
향매화(香梅花) 일지심(一枝心)은 날 못 잊어 피는구나
아마도 오상고절(傲霜高節)은 너뿐인가 하노라. 《회연 會淵》
[13]창 밖에 국화를 심어 국화 밑에 술을 빚어 두니
술 익자 국화 피자 벗님 오자 달 돋아 온다
아이야 거문고 청쳐라 밤새도록 놀리라. 《무명씨 無名氏》
[14]국화야 너는 어이 삼월동풍(三月東風) 싫어한다
성긴 울 찬비 뒤에 차라리 얼지언정
반드시 군화(群花)로 더불어 한봄 말려 하노라. 《안민영 安玟英》
[15]국화야 너는 어이 삼월동풍(三月東風) 다 보내고
낙목한천(落木寒天)에 네 홀로 피었는다
아마도 오상고절(傲霜高節)은 너뿐인가 하노라. 《이정보 李鼎輔》
[16]나는 황금빛 국화를 사랑한다.
서리를 업신여겨 빛을 내나니
홀로 서 있으니 늦은 것이 다시 좋아
외로운 꽃다움이 미약하다 뉘 이르고
바람 서리 아무리 차고 매우나
그 위엄도 또한 두려울 것 없어라.
국화를 먹으면 늙음을 방지하는 데 족하니
나의 주림 구제할 뿐 아니니라.
我愛黃金菊
凌霜有光輝
獨立晩更好
孰謂孤芳微
風霜雖凜冽
亦不畏其威
足以制頹齡
匪獨救我飢 《정포》
[17]구월추풍 색국화야
너는 무슨 화초인데
각색꽃이 낙화되고
각색 잎이 낙엽지는데
늦은 후에 꽃이 피니
나도 너와 같이
늦은 후에 씨를 두고
인간 공덕 없었으니
구천지하 돌아가서
높은 지위 바랄쏘냐
꽃밭에 선관되어
추동춘동 때가 없이
화초 찾아 훈수하고
인간 물정 짐작하자 《서울지방민요》
[18]별보다 더 고운
숨결이어라
찬이슬 동그마니
받쳐 든 잎새마다
아침으로 펴지는
빛이 스미어
지는 듯 피로조차
이냥내 잊었음이리니
온 산 단풍 드는 새
피어났는가
맑은 눈 별보다도
더 고운 숨결 《임인수 林仁洙/산국 山菊》
[19]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 보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천둥은 먹구름 속에서
또 그렇게 울었나 보다. 《서정주 徐廷柱/국화 옆에서》
[20]국화는 먹는 꽃,
찹쌀 가루로 아삭하니 튀겨
야만의 이빨에 무는 꽃
이빨에 물리는 그 육신의 연함을 삼키는 꽃 《박남수 朴南秀/국화》
[21]우리 나라의 들국화야
장화홍련 언니 아니어도
무슨 수로 나 너희들을 노래하겠느냐.
너희들은 왜 이렇게 피어나서
이 땅의 끝 같은 하루 억울하게 저물게 하느냐.
가을에도 가을인 줄 모르고
우리 나라 착한 여자들의 일 하나하나가
재넘이 찬 바람에 슬픔이므로
이제 저녁 어스름도 남의 일이다. 《고은 高銀/우리 나라의 들국화》
[22]요즘 국화는 사람의 손에서 만들어져 가지각색의 빛과 온갖 모양을 자랑하게 되었다. 홍황적백자(紅黃赤白紫) 등 색채를 갖추었을 뿐 아니라, 또 모양도 큰 것은 사발만하고 많은 것은 한 그루에 몇백의 꽃송이가 달려 화려하고 기묘한 자태를 자랑하고 있건만, 아무래도 정취와 생명은 성긴 울[籬], 찬비 뒤에 떨고 서 있는 몇 송이 국화에, 또 들녘 언덕 가에 홀로 피어 있는 외로운 들국화에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꽃은 자연 속에서 나 자연 속에 피었다 또 자연 속으로 돌아가는 게 그의 본성이요, 더구나 국화는 그래야 될 것이다. 사람의 손끝에서 굽히고 비틀리고 꺾이어 억지로 웃음을 짓는 그 속에 무슨 국화의 생명이 깃들일 수 있으랴. 《김형규 金亨奎/낙엽(落葉)을 찾아서》
[23]황국은 그 잠 다 깬 황금의 내부와 같은 빛깔이 어리지도 야하지도 화려하잘 것도 없어서 그 빛깔이 첫째 낯익은 예쁘신 아주머니 같아서 남 같지 않은 게 좋지만, 그 냄새에서는 또 우리에게 늘 영원에의 홈식(homesick)을 느끼게 하는 시골다움이 배어 나와서 좋다. 단군할아버지의 어머님께서 사람 노릇 하다 식품으로 삼았다는 그 시골 중의 시골의 풀――쑥과 한 계통의 냄새여서 좋다. 우리 나라 사람들은 단군의 어머님을 본떠서 그러는지 장미보다도 화려한 무슨 꽃 냄새보다도 이 시골뜨기 쑥이나 국화 냄새라야 안심이 돼 국화꽃을 따 말려선 베개를 만들어서 일 년 내내 그 냄새를 잠자리에서도 맡고 지내지만, 이것은 저 먼 옛 신시(神市)의 방향으로 향해서 우리를 늘 바로하기 위해서는 당연한 선택으로 생각된다. 《서정주 徐廷柱/국화》
【격언·속담】
[24]매화도 한철 국화도 한철. (*모든 것은 한창 때가 따로 있으나 반드시 쇠하고 만다는 뜻) 《한국 韓國》
[25]짚신에 국화 그리기. (*격에 맞지 않는 짓을 한다는 말, 또는 주되는 것이 이미 천한 것인데 화려하게 꾸밈은 당치 않다는 말) 《한국 韓國》
【고사·일화】
[26]만수국; 에트루리아의 신인 타게스는 무척 꽃을 좋아했는데, 이 세상의 꽃들은 마음에 들지 않았다. 목숨이 길지 않고 연약해서 바람이 불어도 쓰러지는 것이 싫었다. 그래서 보다 아름답고 굳세고 보다 향기롭고 보다 오래 사는 꽃을 만들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타게스 신은 어느 날 영원히 아름다운 자기의 꿈을 그리기 위해 향내 나는 샘물을 길어다가 자기의 금가락지를 녹여 황금물을 만들었다. 그러나 그림이 처음이라 꽃이 잘 그려지지 않았고 시간이 흘러 길어 온 샘물도 변해 가므로 신은 할 수 없이 꽃이 잘 그려진 그림과 줄기가 잘 된 그림을 따로따로 붙여서 하나의 그림을 만들어서 누구도 모르게 땅에 심어 멋있는 황금빛의 만수국을 만들었다. 그래서 자기가 세상에서 제일가는 꽃을 만들겠다고 선언했으므로 다른 신들을 초청해서 자랑했다. 그러나 꽃에서는 향내 대신 이상한 냄새만 났다. 더구나 굳게 만들었다는 꽃이 여신의 치맛자락이 가볍게 스치자 꽃모가지가 꺾어졌다. 물론 이것은 아까 그림으로 붙여 놓은 자리였다.
[27]위문제(魏文帝)가 종요(鍾搖)에게 준 편지에, 「해가 가고 달이 와 문득 9월 9일이 되었다. 9는 양수(陽數)로서 일월(日月)이 병응(竝應)하는 것, 9월 9일이라고 하는 것은 그 의의가 장구(長久)한 데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날에 연회를 많이 갖는 것이고 음률(音律) 중에서도 무역(無射)이라고 하는 것이다. 건곤(乾坤)이 순화(淳和)하는 이 때에 국화의 아름다운 숙기(淑氣)를 연중 어느 때에도 비교할 수가 없는 것이다. 굴원(屈原)도 늙어 가는 것을 슬퍼하여 추국(秋菊)의 낙영(落英;떨어진 꽃)을 먹고 싶다고 하였는데, 몸을 보하고 연령을 늘리는 것에 이보다 더한 것이 없는 것이다. 이제 국화 한 묶음을 보내어 팽조(彭祖;신선)의 술(術)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국화를 보내어 오래 살기를 축하함) 《문제 文帝》
[28]국화의 가품(佳品)이 일찍 고려 충선왕(忠宣王)이 원나라로부터 동환(東還)할 때 가져온 줄로 말하는 이도 있으나 송대(宋代) 양국 명가(養菊名家)인 범성대(范成大)와 유몽전(劉蒙筌)의 국보(菊譜)를 보면 원나라의 가품이 근역(槿域)에 들어오기 훨씬 전에 신라국(新羅菊)과 고려국(高麗菊)이 한토(漢土)에 건너가서 애식(愛植)하게 되었다. 그리고 국경(菊經)에는 옛날 백제시대에 황청적백흑의 오색 국종(菊種)을 일본에 가져 간 것이 적혔으니, 이로 보면 우리 근역에서 국화를 가꾼 지도 아주 아득한 옛날부터임을 알겠다. 국화는 꽃만 완상하는 것이 아니라 봄에는 움싹을 먹고 여름에는 잎을 먹고 가을에는 꽃을 먹고 겨울에는 뿌리를 먹느니라. 얼마 전까지도 우리네 연중행사의 하나이던 화전(花煎)놀이에 봄은 두견화(杜鵑花)로써 가을은 국화로써 하였다. 국화에 얽힌 전설과 회화와 시가가 고금을 통해서 한우충동(汗牛充棟)이다. 어찌 그것을 말로 다 하랴마는, 고려 사직(社稷)에 순(殉)한 정포은(鄭圃隱)의 국화탄(菊花嘆)이란 장편시가 있는 바 그 중의 수 구(句)를 초출(抄出)하면, 「花雖不解語 我愛其心芳 平生不飮酒 爲汝擧一觴 平生不啓齒 爲汝笑一場 菊花我所愛 桃李多風光」 이 국시(菊詩)에도 선생의 심경이 반영된 것을 어렴풋이 볼 수 있다. 국화가 충신에게 사랑을 받고 충신이 국화를 사랑한 것은 그럴 듯한 일이다. 《문일평 文一平/호암전집 湖岩全集》
[29]추국(秋菊)의 원생지는 어디냐고 그 유래를 따질진대 송대(宋代) 재배가로 이름 높던 유몽전(劉蒙筌)의 국보(菊譜)에 「新羅菊 一名玉梅 一名陸菊」이라고 적혀 그의 애양(愛養)하는 163품(品) 중에는 일찍이 신라로부터 전래된 특수한 종류까지 있었던 듯하다. 이로 보면 혹은 국화가 우리 근역(槿域)의 고유하던 것이 아닌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국화에 대한 조선 말이 없고 한자대로 부르게 된 것은 곧 이 국화의 유래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냐. 원생(原生)은 한토(漢土)일 것이다. 한토에서는 맨 처음에 국화를 전혀 약용으로 재배하다가 관상용(觀賞用)으로 애양(愛養)하게 된 것은 퍽 후세의 일이라 한다. 신농본초(神農本草)에는 국화를 약품에 열거하였고, 선가(仙家)에서는 국화를 연년익청(延年益靑)의 약료(藥料)를 삼았다. 그러나 굴원(屈原)의 이소(離騷)에 국화를 음영(吟鷺)한 것을 보면 당시에 벌써 관상용으로 애식(愛植)하였음을 짐작할 것이며, 근역(槿域)에 전래한 연대는 미상하나 삼국시대에 있어 이미 관상용으로 여러 가지 변종을 애식하던 것은 백제로부터 서기 385년 일본에 보낸 청황적백흑(靑黃赤白黑) 오색의 국화에 의하여일 것이다. 일본이 비로소 국화가 있음이 이 때부터라 한다. 《문일평 文一平/호암전집 湖岩全集》
[30]국화는 진실로 오랜 역사를 지니었다. 산해경(山海經) 에 「女免之山其草多菊」이란 것이 있고, 굴원(屈原)의 초사(楚辭) 에 「아침엔 목란(木蘭)의 추로(墜露)를 마시고 저녁엔 추국(秋菊)의 낙영(落英)을 씹는다」 한 것이 있으며, 신라의 백국과 더불어 백제에는 청황홍백흑(靑黃紅白黑) 5색의 국화가 있어 일찍이 4세기경에 일본으로 수출되어 일본 국화의 원조가 된 줄을 화한삼재도회(和漢三才圖會)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