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
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
권상호
서낭제에 탈놀이를 놀았던 곳은 경상북도 안동시 일대에서는 하회리와 병산리가 알려져 왔으나, 하회별신굿은 1928년(戊辰) 이래 중단되고 병산별신굿도 거의 같은 시기에 중단되어 하회와 병산의 가면 12종 13개만이 국보 제121호로 지정되어온다.
계승자는 1928년 마지막 별신굿 때 각시역을 맡았던 이창희(李昌熙, 1913∼1996)이다. 이 놀이는 10년에 한 번씩 혹은 신탁(神託)에 따라 임시로 거행되는 별신굿의 하나로서 행해지는데, 별신굿은 먼저 섣달보름날 산주(山主)가 마을 뒷산의 서낭당에 올라가서 대를 내려 신의 뜻을 묻고, 또 마을 어른들의 동의를 얻어 별신굿 준비를 시작한다.
하회리의 서낭신은 ‘무진생 서낭님’으로 17세 처녀인 의성김씨라고 하고, 혹은 15세에 과부가 된 서낭신으로 동네 삼신의 며느리신이라고도 전한다. 준비과정은 먼저 부정이 없는 목수를 골라 서낭대와 내림대를 만들고, 가면과 악기 등 모든 도구를 점검한다.
이어 스무아흐렛날 동민대표들이 동사(洞舍)에 모여서 부정이 없는 사람들 중 배역에 맞추어 광대 12명과 산주 외에 서무를 맡는 유사(有司) 2명, 가면관리를 하는 청광대와 무동꾼들을 선정하고 섣달그믐날부터 정월대보름날까지 합숙에 들어간다.
<하회별신굿탈놀이>는 대내림에서부터 시작된다. 정월 초이튿날 아침 산주와 광대들이 서낭당에 올라가 당방울이 달린 내림대를 잡고 서낭신을 내리면 당방울을 서낭대에 옮겨 달고 하산한다.
동사에 다다르면 서낭대와 내림대를 동사 처마에 기대어 세우고, 모여든 마을 사람들 앞에서 농악을 울리며 한바탕 놀이를 벌인다.
이창희의 구술(口述)에 따르면, 탈놀이의 첫째마당은 ‘각시의 무동’마당이다. 각시광대는 무동을 타고 꽹과리를 들고 구경꾼들 앞을 돌면서 걸립(乞粒:동네의 경비를 마련하기 위해 패를 짜 돌아다니며 풍악을 울리는 일)을 한다.
이 걸립은 탈놀이 전마당을 통하여 수시로 행하여졌고, 이렇게 모은 전곡(錢穀)은 모두 별신굿 행사에 쓰고, 남으면 다음 행사를 위하여 세워둔다.
둘째마당은 ‘주지놀이’로서 주지는 곧 사자를 뜻하며, 액풀이마당으로 벽사(?邪)의 의식무(儀式舞)라는 의미를 지닌다.
셋째마당은 ‘백정(白丁)’마당으로 백정이 춤을 추다가 사람이 멍석을 뒤집어써서 만든 소를 죽여 우낭(牛囊)을 꺼내어 구경꾼들에게 판다. 이것도 걸립의 일종으로, 이 돈도 별신굿행사에 쓴다.
넷째마당은 ‘할미’마당으로 쪽박을 허리에 차고 흰 수건을 머리에 쓴 할미광대가 등장하여 살림살이를 한다. 베를 짜면서 고달픈 인생살이를 <베틀가>에 얹어 부르고, 춤을 추다가 쪽박을 들고 걸립한다.
이처럼 각시걸립과 백정걸립에 이어 할미걸립까지 세 마당의 걸립이 계속되는데, 이 걸립마당들은 이 탈놀이의 주제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파계승마당과 양반풍자마당을 위한 도입부 구실을 한다.
다섯째마당은 ‘파계승’마당으로, 부네(妓女 혹은 小室)가 오금춤을 추며 등장하여 치마를 들고 오줌을 눈다. 이때 중이 등장하여 이 광경을 엿보다가 흥분하여 부네를 옆구리에 차고 도망간다. 이 마당은 대사 없이 진행된다.
여섯째마당은 ‘양반과 선비’마당으로 양반이 하인인 초랭이를 데리고 나오고, 선비는 소첩인 부네를 데리고 나온다. 초랭이가 양반과 선비 사이를 왔다갔다하며 서로 인사를 시키고는 자기가 뛰어들어 양반 대신 선비 인사를 받는다. 초랭이는 계속해서 양반을 풍자하고 골려준다.
양반과 선비는 서로 문자를 써가며 지체와 학식을 자랑하고 춤을 추고 노는데, 이 때 별채〔別差〕역인 이매가 나와 환재〔還子〕 바치라고 외치면 모두 깜짝 놀라 도망간다. 여기서는 관리가 마을사람들에게 곡식을 거두면서 중간착취하는 횡포를 풍자하고 있다. 이로써 여섯 마당의 탈놀이는 끝난다.
섣달그믐날부터 동사에서 합숙한 일행은 매일같이 동사 앞마당이나 초청받은 대갓집에 가서 탈놀이를 하는 등 14일까지 잠시도 쉴 사이 없이 지내다가, 15일이 되면 아침밥을 먹고 나서 서낭대를 모시고 서낭당에 올라가 당제를 지낸다. 제사는 산주가 주제하며, 축문은 없고 비념만으로 마을의 평안과 풍년들 것을 축원한 다음 종일 소지(燒紙)를 올려 계속된다.
광대들은 처음 탈을 쓰지 않고 산주와 더불어 서낭당에 재배한 뒤 서낭당을 돌면서 풍물을 치고 나서, 탈을 쓰고 서낭당 둘레에 모여든 구경꾼들 앞에서 탈놀이를 놀았다. 저녁무렵 당제를 마치고 서낭대와 내림대는 당 처마에 매어달고, 광대들은 청광대에게 각기 탈을 반납하고 보름 만에 합숙에서 풀려나 집으로 돌아간다.
다만, 유사와 광대 1명, 양반광대·각시광대만이 남아 하산하여 동네 입구에서 혼례마당과 신방마당을 치른다. 멍석 위에 장구 2개, 그 위에 고깔을 하나씩 놓아 혼례상을 마련하고, 양반광대가 혼례식을 진행하며, 각시광대와 남은 광대 하나가 각기 탈을 쓰고 신부·신랑역을 맡아 각시가 두 번, 신랑이 한 번 절하고 혼례마당을 끝낸다.
이어 같은 멍석 위에서 신랑·신부의 첫날밤 행위를 모의적으로 행함으로써 신방마당을 치른다. 이 혼례마당과 신방마당은 17세 처녀신인 서낭신을 위로하기 위하여 치르는 것이라 하는데, 풍요의례(豊饒儀禮)의 의미도 지니고 있다. 신방마당이 끝나면 각시광대도 탈을 청광대에게 주고, 청광대는 탈을 동사에 봉납하고 귀가한다.
마지막으로 유사의 책임하에 동네 입구에서 무당들이 허천거리굿을 행하여 별신굿 동안 묻어 들어온 잡귀·잡신들을 몰아낸다.
<하회별신굿탈놀이>의 가면은 주지(2)·각시·중·양반·선비·초랭이·이매·부네·백정·할미 등 10종 11개가 현재 전한다. 가면의 재료는 오리나무이며 그 위에 두 겹, 세 겹으로 옻칠을 한 뒤 색을 칠했다.
하회리에서는 이 탈들을 신성시하며, 특히 각시탈은 서낭신을 대신한다고 믿어 별신굿 때 외에는 볼 수 없고, 부득이 꺼내볼 때는 반드시 산주가 고사를 지내야 한다. 이처럼 의례용 가면으로서의 신성성을 지니고 있다.
악기는 농악기로서 탈놀이 광대들이 농악대를 겸하였고, 탈놀이 마당과 마당 사이에 한 차례씩 농악을 울려 놀이마당을 구분하였다. 장단은 주로 세마치장단을 많이 쳤다고 한다.
춤이나 동작은 놀이할 때 서낭님이 시켜서 저절로 하게 된다고 일러오며, 다른 탈춤의 경우처럼 춤사위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분명하지 않고 즉흥적이며 일상동작에 약간의 율동을 섞은 것이었다고 한다. 춤사위로는 몽두리춤과 오금춤이 있다.
1998년 현재 기예능보유자로는 이상호(李相浩, 백정역)가 있다. 채록본으로는 최상수(崔常壽)채록본(1959)과 유한상(柳漢尙)채록본(1959)이 있는데, 놀이마당의 순서가 약간 다르다.
참고문헌
「河回假面劇의 硏究」(崔常壽, 고려서적주식회사, 1959)
「韓國假面劇」(李杜鉉 -文化財管理局, 1969)
「韓國의 假面劇」(李杜鉉, 一志社, 1979)
「河回別神假面舞劇臺詞」(柳漢尙, 『국어국문학』20, 1959)
「註釋本韓國假面劇選」(李杜鉉, 敎文社,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