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최고위과정

6-(2) 외국인의 눈에 비친 19세기 말의 한국

6-(2) 외국인의 눈에 비친 19세기 말의 한국
 

* 핵심정리
1. 갈래 : 수필, 연구 기행문, 학술 답사 보고문                  
2. 성격 : 사실적, 객관적, 설명적, 묘사적, 분석적, 비판적, 체험적
3. 문체 : 간결체 건조체, 번역문체 
4. 제재 : 19세기 말의 한국인의 외모와 서울의 모습, 한국식 빨래, 여관의 모습
5. 글의 주제 : 외국인이 본 19세기 말의 한국과 한국인의 모습        
6. 글의 구성 : 병렬식 구성(일정한 제목 아래 네 개의 글을 병렬적으로 제시)
7. 글의 특징: 
  ① 한국인의 외모와 서울의 지형․모습, 빨래하는 한국 여성들의 삶 한국 여관의 모습 등이 사실적으로 묘사되고 있으며, 아울러 그에 대한 글쓴이의 주관적인 생각이나 느낌, 인상 등도 조금씩 곁들여져 있다.
  ② 대체로 객관적인 태도를 유지하며 한국의 문화와 문물을 기록하고 있다.      
  ③ 서구 여성의 눈으로 본 긍정적인 인상과 부정적인 인상을 곁들이고 있다.
  ④ 체험을 바탕으로 한 대상에 대한 세밀한 묘사와 분석적인 설명이 두드러진다. 
  ⑤ 구체적이고 생생한 묘사로 현장감을 느끼게 한다.
  ⑥ 자국 문화의 기준으로 우리 풍물을 바라봄에 따라 문화적 편견이 드러나기도 한다.
8. 글의 요지 : 다양한 생김새를 지닌 한국인은 총명함이 돋보이는 잘생긴 인종이다. 수도 서울은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고 안전하며 성 밖에는 매혹적인 시골 풍경이 펼쳐져 있다. 또 한국 여인들은 힘든 노동에 시달리며, 한국의 여관은 대체로 지저분하고 낡았다.
9. 글의 해제 : 1898년 영국에서 출간된 ‘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은 지리학적 관심을 바탕으로 한국의 정치, 사회, 문화, 풍물, 풍속을 폭넓게 다룬 저서이다. 이 책은 서구인이 쓴 한국 관련 저서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것으로 방대한 주제와 자료, 생생한 현장감과 실증성 때문에 개화기 연구의 필독서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교과서에 실린 부분은 ‘조선과 그 이웃 나라 들’의 여기저기에서 발췌한 내용으로, 서구인의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의 모습을 통해 우리가 몰랐던 과거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글의 짜임

단계

중심내용

세부내용

본문1

한국인의 모습

· 한국인의 얼굴색, 머리카락, 수염의 모습
· 한국인의 눈, 입, 이마, 귀의 모습과 전반적인 신체 형상· 한국인의 체격과 손발, 힘과 걸음걸이

본문2

한국의 수도 서울

· 서울의 위치와 지형, 저녁 경관과 봄 경치
· 성벽의 모습과 규모 및 관문의 모습과 현관
· 성벽 밖의 시골 풍경과 서울의 치안 상태

본문3

한국식 빨래

· 한국 여인들의 빨래하는 모습과 빨래 과정 및 끊임없는 노동
· 한국 농촌 여성들의 고된 삶

본문4

한국의 여관

· 한국의 간이 여관과 정규 여관의 모습
· 여관의 구조
· 여관방 안의 높은 온도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