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최고위과정

소설에 관하여

 

 소설에 관하여


  1. 소설의 정의와 특성

1. 소설의 정의 : 虛構이지만 진실성을 가진 자아와 세계와의 갈등을 서술자를 통해 산문으로 표현한 이야기

2. 소설의 특성 : 산문성, 허구성, 사실성, 객관성.

  < 소설 : 개연성 있는 허구, 가공의 진실 (허구성+진실성) >

3. 소설의 3요소

  ① 주제 : 작풍의 중심 사상.

 ② 구성 : 이야기의 짜임새 있는 전개 방식.

  ③ 문체 : 표현의 수단으로서 작가의 개성이 반영된 것.

4. 소설 구성의 3요소

  ① 인물 : 등장 인물이자 동시에 성격을 뜻함.

  ② 사건 : 작품에서 전개되는 이야기로 동력을 줌.

  ③ 배경 : 사건이 발생하는 시간과 공간.


  2. 소설의 구성

1. 구성의 개념

  ① 구성(plot) :  논리적이고 인과적으로 배열된 사건의 구조를 말한다.

  ② 구성과 줄거리(story)의 차이 : 시간적 순서대로 배열된 사건의 서술을 줄거리라 하고, 인과 관계에 중점을 둔 사건의 서술을 구성이라 한다.

2. 구성의 단계 : 서설의 구성은 인과 관계에 의한 줄거리의 배열이기 때문에 거기에는 논리적인 전개 양식이 필요하다.

  ① 발단 : 등장 인물 소개, 배경 제시, 사건의 방향 제시

  ② 전개 : 사건이 진행되고 갈등과 분규가 일어나는 단계

  ③ 위기 : 새로운 사태로 갈등과 분규가 심화되어 가는 단계

  ④ 절정 : 갈등과 대립이 최고조에 이르는 단계

  ⑤ 결말 : 주인공의 운명, 사건이 마무리되어 갈등이 해소되는 단계


3. 구성의 유형

  ① 단순 구성 : 진행이 단순하고 단일한 사건으로 구성됨. 단편 소설에 많이 쓰임

  ② 복합 구성 : 두 개 이상의 사건이 서로 교차되어 구성됨. 장편 소설에 많이 쓰임.

  ③ 피카레스크식 구성 : 독립된 이야기들을 동일 주제로 엮어 가거나 동일

주인공이 서로 다른 이야기에 등장하는 구성임.

  <예, 보카치오의 ‘데카메론’>

  <참고> 액자 소설 : 주제와 관련된 이야기(내부 이야기)와 이야기가 이루어지는 근원적인 상황(액자)이 나타나는 소설

  <예, 김동리 ‘등신불’, 현진건 ‘고향’>


  3. 소설의 인물

1. 인물의 개념 : 소설에서 인물이란 외부에서의 관찰의 대상, 즉 작중 인물이기도 하면서 그 인물의 내적 속성, 즉 인물의 성격이라는 두 속성을 동시에 지님.

2. 인물의 유형

  ① 성격의 변화 여부에 따라

     평면적 인물(靜的, 또는 2차원적 인물) : 성격이 고정되어 있는 인물(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음)

     입체적 인물 :(역동적, 발전적, 원형적, 또는 3차적 인물) : 사건의 전개에 따라 성격의 변화를 보이는 인물

  ② 특성에 따라

      전형적 인물 : 특정한 부류나 계층의 인간들을 대표하는 성격의 인물

      개성적 인물 :  현대의 인간을 그린 오늘날의 소설에서 많이 보이는 독자적인 성격의 인물

  ③  역할에 따라

       주동적 인물 : 소설의 주인공(주로 긍정적)

       반동적 인물 : 반대자, 적대자(주로 부정적)

3. 인물의 제시 방법

  직접적 제시 : 서술자가 직접적으로 인물의 성격이나 특색을 요약해서 설명하는 방법으로, 전지적 시점에서 자주 사용됨. 분석적 제시 또는 설명적 방법이라고도 함.

  간접적 묘사 : 행동이나 대화 또는 배경 묘사를 통해 인물의 성격이나 심리 상태를 드러내는 방법으로, 제한적 시점에서 자주 사용됨. 극적 방법이라고도 함.


  4. 소설의 문체와 어조

1. 문체

  ① 개념 : 작가가 언어를 사용하는 독특한 방식으로 작가의 사상이나 감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어휘, 조사법, 수사법, 기타 개성적인 표현 방식

  ② 문체의 요소

     서술 : 설명하는 문장. 인물, 배경 등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방법(해설적이고 추상적이며 요약적임)

     묘사 : 작가가 객관적인 위치에서 인물, 배경, 장면 등을 구체적으로 그려 내는 표현 방법

     대화 : 등장 인물의 말로서 사건의 전개와 인물의 행동 및 심리를 묘사하는 기능을 지님.

  ③ 문체의 종류 : 간결체, 만연체.

                   건조체, 화려체.

                   강건체, 우유체

2 어조

  ① 개념 : 글에 나타난 서술자나 작가의 정서적 태도

            작품 전체를 지배하는 분위기

  ② 어조의 기능 : 작품의 주제를 간접적으로 밝혀 준다.

  ③ 어조의 종류 󰠆󰠏 낭만적 : 주요섭의 ‘사랑 손님과 어머니’

                 󰠆󰠏 해학적 : 김유정의 ‘동백꽃’

                 󰠉󰠏 풍자적 : 채만식의 ‘태평천하’

                 󰠌󰠏 냉소적 : 손창섭의 소설


  5. 소설의 배경(setting)

1. 기능과 특성

  ① 현장감을 유발

  ② 인물의 행동과 사건 전개의 기본적인 제약 조건이 된다.

  ③ 일정한 분위기와 정조를 조성한다.

  ④ 그 자체로 상징적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⑤ 주제 부각

  ⑥ 배경은 주로 묘사에 의해 이루어진다.

2. 배경의 종류

  ① 자연적 배경 :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의 달밤의 산길

  ② 인위적 배경 : 사회적 환경이나 역사적으로는 시대 배경. 주제를 부각시키고, 인물의 성격과 심리, 플롯의 전개, 소설적 분위기의 조성에 알맞도록 꾸며진다. 김동인의 ‘감자’에서 복녀가 처한 사회적 환경

             이상의 ‘날개’에서의 골방


  6. 서술자, 시점, 거리

1. 서술자 : 작가가 아니라 작가가 만들어 낸 허구적 대리인이다.

            서사 내용과 독자 사이에 개입하는 화자이다.

            서술자의 관점에 따라 이야기의 서술이 달라진다.

2. 시점           

  ① 1인칭 주관적 시점(1인칭 서술자 시점, 1인칭 주인공 시점) : 이상의 ‘날개’

  ② 1인칭 관찰자 시점(1인칭 목격자 시점) : 주요섭의 ‘사랑 손님과 어머니’, 김동인의 ‘광화사’, ‘광염 소나타’, ‘배따라기’,  현진건의 ‘빈처’

  ③ 작가 관찰자 시점(3인칭 시점, 작가 제한적 시점) : 염상섭의 ‘임종’, ‘두 파산’ 황순원의 ‘소나기’

  ④ 작가 전지적 시점(3인칭 전지적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 나도향의 ‘벙어리 삼룡이’

3. 거리

  ① 개념 : 작가와 독자, 작가와 작중 인물, 작중 인물과 독자 사이의 거리 및 독자와 작품 사이의 심적, 미적 거리이다.

  ② 말하기와 보여주기의 거리 : 독자의 입장에서 볼 때 말하기는 멀게 느껴지고 보여주기는 가깝게 느껴진다.

  ③ 효과 :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박짐감, 사실감, 객관적 느낌 등이 조절된다.


  7. 소설의 주제

1. 개념 : 작가가 작품 속에 담고자 한 중심 관념을 말한다.

2. 주제의 성격 : 주제는 작가의 인생관, 세계관에서 비롯된다.

3. 주제와 독자의 관계 : 주제는 인생에 대한 해답이 아니다. 독자로 하여금 자신의 삶과 환경 세계를 반성케 하는 문제 제기의 성격을 갖는다.


  8. 소설의 갈래

1. 길이에 따라 : 단편 소설, 중편 소설, 장편 소설.

2. 예술성 유무에 따라 : 순수 소설, 통속 소설 등.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