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최고위과정

국어(상) 2-(2) 나의 소원

(2) 나의 소원

◎ 단원 이해

○ 갈래 : 논설문, 연설문

○ 문체 : 만연체, 강건체, 건조체, 연설문체

○ 성격 : 설득적, 주관적, 논증적

○ 주제 : 우리 나라의 완전한 자주 독립과 우리의 사명

○ 출전 : <백범일지>

○ 특징

① 강한 설득력과 호소력을 지닌 논리적인 글

② 반복법, 문답법, 점층법 등의 표현기법으로 주제(주장)을 강조함

③ 지은이의 애국정신이 드러남

④ 당시 세태를 병렬식으로 비판함

◎ 글의 전개

○ 나의 소원

* 서론 : 나의 소원( ∼ 76:22)

* 본론 : 민족주의에 대한 견해(76:23∼81:2)

* 결론 : 청년 남녀에 대한 당부(81:3∼ 81:끝)

○ 내가 원하는 우리 나라

* 서론 : 내가 원하는 우리 나라(82:처음∼82:26)

* 본론 : 우리 민족이 해야 할 일(82:27∼85:3)

* 결론 : 동포에 대한 당부(86:4:85:끝)

◎ 김구(1876∼1949)

독립운동가, 정치가. 호는 백범. 3·1운동 후 중국 상하이에 망명하여 임시정부를 이끌었다. 광복 후에는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에 반대하여 남북 협상에 임하는 등 통일의 길을 모색하다가 1949년 암살당하였다. 저서로 '백범일지(白帆逸志)'가 있다.

◎ 단어 및 구절 풀이

p.75

* 하느님이 내게 물으시면 : 소원의 절대성을 강조

* 네 소원이 무엇이냐 ∼ 자주 독립이오 : 문답법, 인용법, 반복법, 점층법

p.76 

* 우리 나라의 완전한 자주 독립 : 핵심 내용

* 동포 여러분! : 연설문적 표현

* 이것 : 완전한 자주 독립

* 칠십 : = 고희(古稀), 종심(從心), 불유구(不踰矩)

* 문지기 : 가장 미천한 자(은유법)

* 계림 : 신라. (우리 나라 = 해동, 청구, 진단, 동국, 근역 )

* 개, 돼지 : 가장 미천한 자(=문지기). (반대 : 왜왕의 신하) 은유법.

* 높은 ∼ 받았으니 : 견리사의(見利思義)

* 근래 : 8·15광복 직후(1947년)

* 어느 큰 이웃 나라 : 구 소련

* 편입하기를 소원하는 자 : 일부의 좌익

p.77 

* 피와 역사를 같이 하는 민족 : 혈연 공동체, 역사 공동체

* 하나는 위에 ∼ 것이다 : 주종관계, 지배와 복종의 관계

* 사상의 조국 : 사회주의 국가인 소련을 지칭

* 사상의 동무 : 사회주의 혁명에 동조하는 사람

* 초목 : 원관념은 '민족'

* 영원한 혈통의 바다 : 민족 공동체(은유법)

* 풍파 : 좌우익의 대립(은유법)

p.78

* 세계 인류가 네오 내오 없이 한 집이 되어 사는 것 : 사해동포주의, 세계주의, 시민주의

* 나는 오늘날의 인류의 문화가 불완전함을 안다 : 명사절을 안은 겹문장

p.79 

* 알력(軋轢) : 수레바퀴가 삐걱거린다는 뜻으로, 서로 의견이 맞지 아니하여 사이가 안 좋거나 충돌하는 것을 이르는 말

* 삼천리 삼천만 : 우리 나라(대유법)

p.80

* 자굴지심(自屈之心) : 열등감. = 자격지심(自激之心), 자비지심(自卑之心), 자기비하(自己卑下), 자괴지심(自愧之心)

* 주연 배우 : 우리 민족(은유법). 세계역사의 선도자 

p.81

* 내가 원하는 사업 : 우리 민족의 독립, 인류의 평화와 복락을 누리게 하는 것

* 무력으로 : 제국주의, 강권주의, 침략주의

* 과거의 조그맣고 좁다란 생각 : 우물 안 개구리, 좌정관천(坐井觀天), 정저지와(井底之蛙), 정저와(井底蛙), 열등감, 국수주의적 생각

* 괄목상대(刮目相對) : 눈을 비비고 상대방을 다시 본다는 뜻으로, 남의 학식이나 재주가 놀랄 만큼 부쩍 늚을 이르는 말. 오나라 '여몽'의 고사에서 나온 말. 반대 : 오하아몽(吳下阿蒙)

p.82

* 남의 침략 : 일제의 침략을 의미

* 이 마음(13줄) : 인의, 자비, 사랑

* 새로 나라를 고쳐 세우는 우리가 서 있는 시기 : 광복 후 새로운 독립 국가를 설립할 시기라는 뜻

* 이 일(27줄) : 세계 평화의 실현, 세계사의 주역이 됨

p.83

* 일언이폐지(一言以蔽之) : 한 마디로 그 전체의 뜻을 말함

* 성인(聖人) : 도덕적으로 완성된 사람

* 우리의 적 : 일본을 지시

* 우리를 누르고 있을 때 : 일제의 강점기

* 집안이 ∼ 망한다 : 남북의 이념 대립을 염두에 두고 한 말. 반대 :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 동포 간의 증오과 투쟁 : 골육상쟁(骨肉相爭)

* 태탕(駘蕩) : 넓고 큼. 봄날의 바람이나 날씨가 화창함

* 한번 마음을 고쳐먹음 : = 심기일전(心機一轉)

p.84

* 제 가족을, 제 이웃을, 제 국민을 : 점층법

* 가족에게, 이웃에게, 동포에게 : 점층법

* 선비요, 점잖은 사람 : 앞의 '성인(聖人)'과 같은 의미로 쓰인 말

* 이러함으로써(12줄) : 인후지덕(仁厚之德)의 자세로 생활함으로써

* 피 : 싸움, 전쟁(대유법)

p.85 

* 일본의 이번에 당한 보복 : 일본의 2차 대전 패배

* 일단(一端) : 한 끝, 일부분

* 한토(漢土)의 기자(箕子) : 한토는 중국, 기자는 고조선 때에 있었다고 하는 전설상의 기자 조선으 시조(始祖)

* 한번 크게 마음을 고쳐먹기 : 심기일전(心機一轉), 대오각성(大悟覺醒)

* 아니할 수 없다 : 강한 긍정의 의미

--------------------------------------------------------

* 문장의 짜임새(과제)

-> http://www.kshc.or.kr/grammar/g8.htm

* 참고

-> http://www.woorimal.net/language/moonbub/sentance-1.htm

--------------------------------------------------------
p.88

보충학습 - 가람 일기

* 핵심 정리

글쓴이: 가람 이병기(1891-1968)

갈래: 일기(수필)

주제: 일상생활의 정서

* 이 글은 가람 이병기 선생이 40년 넘게 써 온 일기의 한 부분이다. 일기 곳곳에는 일제 강점기라는 조국의 암담한 현실을 바라보며 살아가는 지식인의 고뇌와, 평생 동안 국문학 연구에 몸을 바친 학자로서의 모습이 생생히 드러나 있다.

p.91

혼자 하기1

(1) 7월 1일의 일기를 중심으로 다음 활동을 해 보자.

① 홑문장

* 맑다

* 바로 눈물이 쏟아진다.

② 안은 문장

* 아침밥 먹는 길로 재판소에 가다.

* 너무 방청인이 많다고 나를 들여보내지 아니한다.

③ 이어진 문장

* 한 시간쯤 지나서 최익채 군이 오고, ~ 최익한 군이 와 공판을 연다.

* 재판소 마당으로 오락가락하다가 ~ 익한 군이 용수를 쓰고 나온다.

* 들으니 징역 6년이라고 선고받았다.

(2) 시간적 구성에 따라 하루 동안 일어난 일을 순차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일기문의 특성에 따라 행동의 주체인 ‘나’가 생략된다.

2. 7월 23일의 일기를 예로 풀어 본다. 

① 홑문장

* 맑다.

② 이어진 문장

* 불교회로 가서 ‘훈민정음’을 베꼈다.

9월 2일의 일기를 예로 풀어 본다.

① 홑문장

* 맑다.

* 송귀봉의 ‘제율곡문’을 읽어 보다.

* 슬프다.

② 이어진 문장

* 그도 평생에 유일한 지기를 잃고 흉중에 쌓였던 회포를 드러내어 슬픈 소리를 부르짖었다.


p.92

심화학습 - 두꺼비 연적을 산 이야기 

* 핵심 정리

지은이: 근원 김용준(1904-1967) 화가이자 비평가. 6.25전쟁 발발 이후 월북하여 북한에서 화가 겸 미술 사학자로 활동. 수필집 <근원수필>

갈래: 수필

성격: 묘사적, 신변적, 비유적, 해학적

주제: 두꺼비 연적이 주는 위안

1. 개요

골동품 가게에서 연적 발견 -> 두꺼비 연적 구입 -> 집에서 아내와의 말다툼과 글 쓴 동기 -> 두꺼비 연적에 대한 애착

2. 3. 생략

-------------------------------

p.79

혼자하기1.

남한만의 단독 정부 수립 반대하며 민족의 통일을 바탕으로 한 온전한 자주 독립 국가 건설의 당위성을 주장.

혼자하기2.

* 홑문장 : 없음

* 안은 문장 : 그러나 혈동적인 민족만은 영원히 흥망성쇠의 공동 운명의 인연에 얽힌 한 몸으로 이 땅 위에 사는 것이다.

* 이어진 문장 : 이 모양으로 모든 사상도 가고 신앙도 변한다.

함께하기3.

문장의 특징 : '~아닐진댄, ~하거니와' 등의 어미가 사용된 문어체 문장으로, 전반적으로 문장의 길이기 아주 길다.

-----------------------------------

p.81

함께하기1.

이상적인 민주주의 : 우리 민족의 자주 독립을 통해 사랑의 문화, 평화의 문화를 이루어 우리 민족 스스로가 먼저 잘 살고, 나아가 인류 전체가 즐겁게 살 수 있게 하는 것이 우리가 나아갈 바라고 주장하고 있다.

혼자하기2.

(1) 나는 우리 민족의 사업을 원한다. 그 사업은 다음과 같다. 결코 세계를 무력을 정복하지 않는다. 경제력으로 지배하지 않는다. 오직 사랑의 문화, 평화의 문화로 우리 스스로가 잘 사는 것이다.(후략)

(2) 홑문장은 간결하고 명쾌하나 의미상 연결이 잘 되지 않아 다소 산만하게 전개된다. 설득을 목적으로 하는 글에서 전달 효과를 높이는 데에는 겹문장으로 된 원래의 문장이 더 효과적이다.

-----------------------------

p.85

혼자하기1.

예상 독자 : 마지막 단락을 보면 천하의 교육자와 남녀 학도들을 대상으로 한 글이다.

내용 전개 방법 : 문화와 교육의 중요성을 내세우기 위해 자연 과학, 홍익인간, 일본의 패망 등 '예시'의 방법으로 내용을 전개하고 있으며, 도 문화와 무력, 이기적 자유와 이타적 자유 등 '대조'의 방법도 사용하였다.

함께하기2.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 : 전달 목적, 주제, 예상 독자, 상황 등을 사전에 고려하고 내용 전개 원리, 내용 조직 방법, 문장의 짜임 등에 대해서 모둠별로 논의한다.

----------------------------

p.91

혼자하기1.

(1) <접근방법> 각문장의 주어와 서술어를 확인하도록 한다. 그리고 목적어와 보어 등 문장의 필수 성분을 확인한다.

① 홑문장 : 맑다. 발로 눈물이 쏟아진다.

② 안은 문장 : 아침밥 먹는 길로 재판소에 가다. 너무 방청인이 많다고 나를 들여보내지 아니한다.

③ 이어진 문장 : 한 시간쯤 지나서 최익채 군이 오고 또 두어 시간 지나 최익한 군이 와 공판을 연다. (나머지 두 문장)

(2) 시간적 구성에 따른 순차적 서술. 행동의 주체가 ‘나’인 경우 주어가 생략된 문장.

함께하기2. 9월 2일자 일기를 바탕으로 풀어 본다.

① 홑문장 : 맑다. 송귀봉의 ‘제율곡문’을 읽어 보다. 슬프다.

② 안은 문장 : 이제 나는 누구를 지기하며 나의 지기는 누굴는지, 하늘을 우러르며 땅에 구부려 잠자코 앉아서 해가 서산에 기우는 줄을 몰랐다.

③ 이어진 문장 : 그도 평생에 유일인 지기를 잃고 흉중에 쌓였던 회포를 드러내어 슬픈 소리를 부르짖었다.

p.95

골동품 가게에서 연적 발견

두꺼비 연적 구입

아내와의 말다툼(이 글을 쓰게 된 동기)

두꺼비 연적에 대한 애착



혼자하기1.

혼자하기2.

이 글은 시간적 순서와 공간적 순서(골동품 가게 ->집)에 따라 조직하였다. 이를 인과 관계에 따른 조직 방법으로 구성한 경우 - 못생긴 두꺼비 연적에 대한 애착을 드러낸 후 그 이유를 덧붙이는 내용으로 전개한다. 이 경우 앞뒤 문장이 더 논리적으로 짜여져 있어서 통일성과 일관성이 더 강하게 느껴진다.

함께하기3.

글의 제목도 ‘두꺼비 연적을 산 이야기’에서 두꺼비 연적에 대한 나의 애착을 담은 ‘두꺼비 연적을 사랑하는 이유’로 바뀌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