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최고위과정

* 현대시 요점 정리(신일고2 보충 교재)

고2 보충 교재 중의 현대시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인쇄하여 참고하기 바랍니다.

* 1학기 중간 고사 준비
모란이 피기까지는 - 김영랑/ 소망이 이루어지기를 기다림
꽃 - 김춘수/ 존재의 본질 구현에 대한 소망

바다와 나비 - 김기림/ 새로운 세계에 대한 동경과 좌절
성북동 비둘기 - 김광섭/ 자연 파괴와 인간성 상실 비판

님의 침묵 - 한용운/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
그 날이 오면 - 심훈/ 광복에의 염원

화살 - 고은/ 유신 정권←민주화 투쟁의 의지
폭포 - 김수영/ 나타와 안정에 젖은 현대인의 각성 촉구. (폭포 - 이형기/ 존재에 대한 비극적 인식)

설날 아침에 - 김종길/ 새해 아침의 희망적 마음가짐
무등을 보며 - 서정주/ 가난에 굴하지 않고 품위와 지조를 지킴

벼 - 이성부/ 벼(백성)에 대한 예찬←햇살(시련)
풀 - 김수영/ 풀(민초)의 끈질긴 생명력←바람(권력)
답청 - 정희성/ 봄풀(민초)←밟음(인위적 시련): 봄(소망)을 쟁취하기 위한 노력

성탄제 - 김종길/ 산수유 붉은 열매(사랑)←눈(고난): 부성애
아버지의 마음 - 김현승/ 아버지의 사랑과 희생, 고독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 이상화/ 광복에의 염원
절정 - 이육사/ 비극의 극한점에서 자기 초월을 통한 현실 극복

휴전선 - 박봉우/ 6.25 참상과 분단의 비극적 상황
껍데기는 가라 - 신동엽/ 알맹이(4.19 혁명의 순수성), 아우성(동학 혁명의 순수성)

여승 - 백석/ 일제 강점기의 비극적인 민족 현실
목계 장터 - 신경림/ 떠돌이 장사꾼들(민중들)의 삶과 애환

* 1학기말 고사 준비
눈- 김수영/ 눈↔(기침-가래)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 황지우/ 영화 전 애국가 - 80년대의 폭압적 현실에 대한 환멸과 좌절감

여우난 곬족 - 백석/ 농촌 공동체의 풍요로운 삶의 원형 재현
고향 - 정지용/ 고향 상실 의식(자연 의구↔인간 무상)

귀천 - 천상병/ 무한 자유, 현실 초탈한 삶의 자세
남으로 창을 내겠소 - 김상용/ 전원 생활의 여유, 초월과 달관, 동양적 은둔 사상
이니스프리의 호도 - 예이츠/ 귀거래사, 전원생활의 동경

간 - 윤동주/ 인간의 양심과 존엄성 회복
일월 - 유치환/ 불의에 대한 대결 의지

눈길 - 고은/ 無念無想의 명상적 경지
雪日 - 김남조/ 순수한 삶의 각오
刺繡 - 허영자/ 집중을 통한 번뇌 극복

死靈 - 김수영/ 풀, 폭포, 눈. 사령에 대한 부끄러움
타는 목마름으로 - 김지하/ 자유와 민주를 향한 열망

와사등 - 김광균/ 도시 삶의 고독과 비감. 이방인적인 憂愁. 물질 문명 속의 혼란과 고민.
아침 이미지 - 박남수/ 아침의 건강한 이미지

들길에 서서 - 신석정/ 푸른 별을 바라보며 사는 거룩한 삶. 높은 이상과 뜨거운 생의 의지
겨울 바다 - 김남조/ 불(소멸의 이미지) ↔ 물(생성의 이미지). 부정과 좌절, 대립과 갈등을 통한 깨달음
생의 감각 - 김광섭/ 부활(생명의 의미와 인간 존재의 소중함)

교목 - 이육사/ 세월에 불타버린 교목↔푸른 하늘
毒을 차고 - 김영랑/ 험난하고 궁핍한 현실 속에서 치열하게 살아가려는 대항 의식, 순결 의지
눈이 내리느니 - 김동환/ 1920년대 민족의 수난사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