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최고위과정

은수저 - 김광균(고3)

* 김광균 金光均 [1914.1.19~1993.11.23]
경기 개성 출생. 송도상고 졸업. 《중앙일보》에 시 《가는 누님》(1926)을 발표한 뒤 《동아일보》에 시 《병》(1929) 《야경차(夜警車)》(1930) 등을 발표했으며, 《시인부락》(1936) 동인, 《자오선(子午線)》(1937) 동인으로 활동했다. T.E.흄, E.파운드, T.S.엘리엇 등 영국 주지주의 시운동을 도입 소개한 김기림(金起林)의 이론과 시작에 영향을 받고 “시는 회화(繪畵)다”라는 모더니즘의 시론을 실천했다. 도시적 소재와 공감각적(共感覺的) 이미지를 즐겨 사용했으며, 이미지의 공간적인 조형(造形)을 시도한 점 등에서 크게 주목받았다. 시집으로 《와사등(瓦斯燈)》(1939) 《기항지(寄港地)》(1947)가 있다. 6 ·25전쟁 후에는 실업계에 투신, 문단과는 거의 인연을 끊었으며, 제2시집 이후 10여 년 만에 문단 고별 시집 《황혼가(黃昏歌)》(1969)를 출간했다. <자료 출처 : 야후 백과사전>

산이 저문다 : 애기가 묻힌 산에 날이 저문다
저녁 밥상에 애기가 없다.  : 애기의 죽음을 암시
한 쌍의 은수저 : 아기의 모습을  환기시키는 제재
은수저 끝에 눈물이 고인다. : 아이를 생각하는 시적 자아의 슬픔.
한밤중에 바람이 분다 ~ 들창을 열었다가 다시 닫는다 : 죽은 아이의 환영을 보는 시적 자아.
먼 들길을 애기가 간다/맨발 벗은 애기가 울면서 간다 : 먼 들길은 죽음의 세계. 죽음의 세계로 떠나는 아이의 슬픈 모습
불러도 대답이 없다. / 그림자마저 아른거린다. : 이승과 저승의 거리감에서 오는 절망

성격-사색적. 상징적
소재-은수저. 아기의 죽음
주제-아기를 잃은 부정(父情)
출전-<문학)(1946.7)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