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최고위과정

문학(하) - 박타령

* 요점 정리

신재효가 정리한 판소리 여섯 마당 가운데 하나로, 형제 사이의 우애와 갈등을 통해 인간 내부에 잠재된 선악의 문제를 부각시킨 작품이다. 조선 후기의 사회상이 잘 드러나 있다.

▷갈래 : 판소리 사설
▷성격 : 풍자적, 해학적, 교훈적
▷연대 : 고종 때(1870년경)
▷배경 : 조선 후기, 충청·전라·경상 3도가 맞닿은 어느 마을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주제 : 인고(忍苦)와 이타(利他)를 통한 빈부의 갈등 극복
▷구성 : 5단 구성
           ① 발단 : 놀보가 유산을 독차지하고 흥보를 내쫓음(배경, 인물 제시)
           ② 전개 : 흥보가 제비 다리를 치료해 줌.
           ③ 절정 : 제비의 보은으로 흥보가 부자가 됨.
           ④ 전환 : 놀보가 일부러 제비 다리를 부러뜨림.
           ⑤ 결말 : 흥보의 우애와 놀보의 개과천선(改過遷善)
▷표현상 특징
            ① 3·4, 4·4조의 가락을 중심으로 리듬감 있게 표현함.
            ② 인물의 성격과 사건의 진행을 풍자와 해학을 통해 표현함.
            ③ 일상적인 언어와 현재형의 문장을 통해 사실적으로 표현함.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신정민
박타령내용을잘썼네요
아닌듯.
문학(하)와는 다르군요. 문학(하)의 박타령은 흥보가 놀보에게 쫓긴 상황까지만 수록되어있습니다.

형제간 우애는 이 책에선 찾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글은 흥부전의 줄거리 인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