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최고위과정

청산도-박두진(고2)

개관 정리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운율 : 내재율
■ 성격 : 서경적, 서정적
■ 어조 : 부재 대상을 그리는 간절한 어조
■ 심상 : 동적, 감각적 심상
■ 짜임 분석
- [1] : 푸른 산의 정경
- [2] : 볼이 고운 사람에 대한 그리움
- [3] : 볼이 고운 사람에 대한 기다림
- [4] : 부재 대상에 대한 그리움
■ 제재 : 푸른 산의 모습
■ 주제 : 건강한 세계 도래에의 소망
■ 출전 : 해, 청만사, 1949
 
감상의 길잡이
서정적 자아는 청산이라는 희망스런 이미지를 지닌 자연에 자신의 열망을 투영시키고 있다. 즉, 티끌과 벌레 같은 혼란스런 세상이 가고 밝은 햇살이 있는 아침. 볼이향기로운 사람으로 상징되는 건강한 세계의 도래를 열망하고 있는 것이다. 이 시는 '해'와 비교해 볼 수 있다. '해'에서 시인이 소망했던 것은 다름 아닌 조국 광복이다. '청산도'는 재에서 소망했던 것이 현실화되어 있다. 즉, 억압의 상황이 해소되어 있는 공간이다. 따라서, 산의 모습이 지극히 생동적 이다. 그것은 화해로운 세계를 상징하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시인이 바라던 세계는 진정으로 도래하지 않았다 오히려 티끌과 벌레가 들끓는 세계만이 앞에 놓여 있다. 이 때 시인은 울고 싶은 심정에 빠지면서 희망하는 세상이 오기를 또다시 고대하게 되는 것이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