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최고위과정

현대 문학사(現代文學史) 정리

현대 문학사(現代文學史)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1.신문학기(갑오 개혁 이후~ 20세기 초)

(1)특색

①장르:개화기 시가(창가 가사),신소설,전기(傳記) 문학

②내용:구시대의 봉건적 제도 비판,근대적인 서구 문명 수용

(2)창가 가사

①내용:독립 의식 고취,신학문 권장

②운율:3(4)·4조에서 6·5,7·5,8·5조로 자유롭게 발전

③기타:애국가,독립가,권학가,개화 의식 고취의 작품들

(3)신소설

①이인직(李人稙,1862~1919):‘혈(血)의 누(淚)’(1906)의 특색

㉠의의--신소설의 본격화

㉡주인공--최초로 묘사된,시대적 요청을 실현하려는 주인공

㉢구성--밀도 있는 사건의 역전적 배치

㉣서술--관용 어구에서 묘사체로 전환

㉤주제--개화기의 시대적 요청에 맞는 것들(관념적 이상주의에 치우침)

②기타 작가와 작품

㉠이해조(李海朝,1869~1927)--자유종(自由鐘)

㉡안국선(安國善,1854~1928)--금수회의록(禽獸會議錄) ㉢최찬식(崔瓚植,1881~1951)--추월색(秋月色) ③역사적 전기 소설

㉠내용:민족주의적 역사 의식,자보(自保),자강(自强),항일 구국의 이념

㉡작가와 작품:신채호(申采浩,1880~1936)의 ‘을지문덕’

 

2.첫째 시기(1908~1919)

(1)특색

①계몽 사상을 배경으로 한 최남선(崔南善,1890~1957),이광수(李光洙,1892~ ? )의 2인 문단 시대

②신문학기에 제기된 시대적 문제 심화

③근대적 인간상을 형상화

(2)신체시:최남선의 ‘해(海)에게서 소년에게’의 특색

①표현:서구의 신문물을 거센 파도로 형상화

②내용:전통적인 봉건 제도 비판 및 혁신--계몽 사상

③어조:남성적

④형식:새로운 시형(詩形)

(3)소설:이광수의 ‘무정(無情)’의 특색

①인물:구시대의 봉건적 도덕 의식을 대표하는 인물(영채)과 신여성(선형)을 설정

②내용:새로운 교육의 성취와 신문물의 수용,자유 연애를 통한 평등 사상

③문체:언문 일치체

(4)근대시의 출현

서구의 근대시 소개:태서문예신보(泰西文藝新報,1918년 9월 창간)를 통한 김억(金億,1893~?)의 프랑스 상징시 번역 소개

②근대시 발표:주요한(朱耀翰,1900~1979),황석우(黃錫禹,1895~1950) 등

 

3.둘째 시기(1920년대)

(1)특색:낭만적 경향과 사실적 경향의 문학 수립

(2)‘창조(創造)’ 동인의 활동

특색:앞 시기의 관념적 계몽주의를 탈피하려는 창조적 시도를 보임

②소설:김동인(金東仁,1900~1951)의 ‘약한 자의 슬픔’,‘감자’.전영택(田榮澤,1894~1967)의 ‘화수분’

㉠주인공--약한 서민층

㉡내용--개인과 사회의 구체적 관계를 객관적으로 조명,그 속에 숨은 갈등 요인을 찾았다.

③시:주요한의 ‘불놀이’

㉠형식--자유시

㉡내용--앞 시기의 계몽시를 탈피하고 자아 인식을 토대로 한 서정시

㉢미적 특징--인물의 서정적 개인 의식

(3)‘폐허(廢墟)’ 동인의 활동

①소설:염상섭(廉想涉,1897~1963)의 ‘표본실의 청개구리’

㉠내용:당시 지식인들의 정신적 고뇌

㉡분위기:일제 탄압의 불안,초조,공포감

㉢미적 특징:우울의 미

(4)‘백조(白潮)’ 동인의 활동

①시:낭만적 경향

㉠홍사용(洪思容,1900~1947)의 민요시--민족 문학의 현대적 계승 시도(이는 이상화,김억,김소월에 의해서도 시도됨)

㉡이상화(李相和,1901~1943)의 ‘나의 침실로’--3·1운동 직후의 좌절의 분위기에서 이를 극복하고 미래가 탄생되는 것을 예견

㉢박종화(朴鍾和,1901~1981)--민족주의적인 시

②소설:낭만적 경향에서 사실적 경향으로

㉠박종화--낭만적 소설(초기)

㉡나도향(羅稻香,1902~1927)--감상적(感傷的) 소설(물레방아,벙어리 삼룡이 등)

㉢현진건(玄鎭健,1900~1943)의 ‘빈처(貧妻)’,‘운수 좋은 날’,‘불’,‘고향’--사실주의 확립,단편 소설로서의 성숙된 기교

(5)기타

①시

㉠한용운(韓龍雲,1879~1944)의 ‘님의 침묵’--민족 주체성의 일시적 은폐 현상을 극복,그 현존성을 의지적으로 노래함

㉡김소월(金素月,1902~1935)의 ‘진달래꽃’--임이 사라진 시대의 비장한 감회를 표현

㉢변영로(卞榮魯,1898~1961)의 ‘조선의 마음’--섬세한 시각적 영상을 통하여 임의 기다림을 노래함

②시조:시조 부흥 운동으로 근대 시조를 발표,우리의 전통적인 정서 표현에 공헌

㉠작가--최남선,정인보(鄭寅普,1893~?),이병기(李秉岐,1892~1968),이은상(李殷相,1903~1982)

③서구의 문예 사조 유입:낭만주의,사실주의,자연주의,상징주의→문학의 세련성에 기여

④신경향파 문학(貧窮文學)의 대두

㉠이론 소개:박영희(朴英熙,1901~?),김기진(金基鎭,1903~1985)

㉡작가--최서해(崔曙海,1901~1932:탈출기,홍염),주요섭(朱耀燮,1902~1972)

㉢동반 작가--유진오(兪鎭午,1906~ ),이효석(李孝石,1907~1942): KAPF 맹원(盟員)은 아니나 뜻은 동조

⑤국민 문학파의 대립--프로 문학에 대한 반발로 전통 문학의 계승 의지 표출,민족주의 경향의 ‘조선 문단’지(誌) 중심

 

4.셋째 시기(1930년대~1945년)

(1)시

①‘시문학(詩文學)’ 동인의 활동

㉠시인--김영랑(金永郞,1903~1950),박용철(朴龍喆,1904~1938),신석정(辛夕汀,1907~1974),이하윤(異河潤,1906~1974),정지용(鄭芝溶,1902~ ? )

㉡우리말의 고유한 아름다움을 발굴,세련된 시로 승화시킴,시어의 조탁(彫琢)

㉢고향의 삶을 노래--민족주의 사상의 발로

②김광섭(金珖燮),모윤숙(毛允淑),노천명(盧天命),김동환(金東煥),김동명(金東鳴),이육사(李陸史),신석초(申石艸),김용호(金容浩),박남수(朴南秀)의 활동

③모더니스트의 등장--김광균(金光均),장만영(張萬榮):참신한 이미지,시각적 심상의 중시 ④생명파의 활동--목적시,순수시,주지시에 대한 반발로 고뇌에 가득찬 삶의 문제,인간의 생명과 우주적 근원 문제 등을 주제로 함.‘시인 부락’지(誌)를 중심으로 함

⑤청록파의 활동

⑥윤동주(尹東柱,1917~1945)의 활동:도덕적 순결성을 지향한 시상

(2)소설

①사실적 소설

㉠유진오의 ‘김강사와 T교수’--지식인의 부적응을 묘사

㉡이효석--서정적 소설 개척(메밀꽃 필 무렵)

㉢김유정(金裕貞,1908~1937)--골계적 소설 발표(봄봄,동백꽃 등)

㉣채만식(蔡萬植,1902~1950)의 ‘레디메이드 인생’--지식인의 문제를 풍자

‘태평천하’--1930년대의 사회적 삶을 전체적으로 투시

‘치숙(痴叔)’--역논리의 기법(칭찬-비난의 전도라는 아이러니)

②실험적 소설

㉠작가--이상(李箱,1910~1937):가장 지적인 실험 정신의 작가

㉡작품--시 ‘오감도(烏瞰圖)’,소설 ‘날개’:일제 치하 지식인들의 고뇌와 좌절 의식을 묘사.작중 화자는 자아의 분열상을 보임.‘의식의 흐름(stream of consciousness)’ 수법을 사용

③농촌 소설

㉠심훈(沈熏,1901~1936)--상록수

㉡박화성(朴花城,1904~ )--한귀(旱鬼)

㉢이무영(李無影,1908~1960)--제1과 제1장

㉣박영준(朴榮濬,1911~1976)--모범 경작생

㉤김정한(金廷漢,1908~ )--사하촌(寺下村),수라도(修羅道),모래톱 이야기

④기타

㉠정비석(鄭飛石), 김동리(金東里), 최정희(崔貞熙), 안수길(安壽吉), 황순원(黃順元) 등의 활동

㉡무녀도(巫女圖)--기독교 신앙과 고유의 민속 신앙과의 갈등을 다룬 이 작품은 무속 신앙의 정신 세계를 탐색,한국인의 사상적 기저를 이해하려고 함

(3)희곡:사실적 경향(유치진 등)

(4)비평:최재서(崔載瑞,1908~1964)의 주지적 비평

 

5.넷째 시기(1945년 이후)

(1)특색:다양한 현실 인식과 모험 정신에 입각한 새로운 문학 활동 전개

(2)

①정치적으로 분열된 국토를 하나의 통합된 원리로 전망하는 시

㉠박두진(朴斗鎭,1916~ )의 ‘해’:‘해’는 삶의 원리,평화적 공존의 원동력 암시

②현대적 문명과의 적극적 교섭을 나타내는 시

㉠김수영(金洙暎,1921~1968), 송욱(宋稶,1925~1980)

㉡경향--인간주의에 바탕을 두고 현실을 풍자적으로 시화(詩化)

㉢내용--1950년대의 현실과 이념의 격차에서 빚어지는 심리적 갈등

㉣기교--기지(機智),풍자(諷刺),야유(揶揄)

③실존적 자각의 문학 대두

㉠김춘수(金春洙,1922~ )의 ‘꽃’--말과 존재의 관계를 지적(知的)으로 이해하고자 함. 어떤 사물에 우리의 인식이 의미있게 미쳤을 때 비로소 그 사물이 한 사람의 의식 속에서 존재의 뜻을 획득하게 됨을 시화(詩化)

(3)소설

①채만식의 단편집 ‘잘난 사람들’:광복 당시의 혼란상을 지적인 비판 의식으로 묘사

②김성한(金聲翰,1919~ )의 단편집 ‘암야행(暗夜行)’과 ‘5분간(五分間)’:광복 당시의 혼란상을 지적인 비판 의식으로 묘사,‘5분간’은 동시묘사법(同時描寫法)의 새로운 기교 사용

③선우휘(鮮于煇,1922~ )의 ‘불꽃’:광복 당시의 분열상의 비극적 국면을 묘파(描破)

④장용학(張龍鶴,1921~ )의 ‘요한 시집’:전쟁의 혼란 속에서 실존적 자각을 통해 한 인격적 주체가 겪게 되는 도덕적 갈등을 묘사하고 분열된 자아의 통합을 시도

⑤손창섭(孫昌涉,1922~ )의 ‘비 오는 날’,‘잉여 인간’:소외된 인간상을 피학적(被虐的) 어조로 묘사하고 광복 후에서 6.25 당시까지의 어려운 생활상을 반영

⑥이범선(李範宣,1920~1982)의 ‘오발탄’:전후 인간 존재의 의미를 해명

⑦오영수(吳永壽,1914~1979)의 ‘머루’,‘갯마을’:농어촌 서민층의 애환을 서정적 어조로 묘사

⑧정한숙(鄭漢淑,1924~ )의 ‘금당 벽화’,‘바다의 왕자’:민족의 기개를 형상화

⑨전광용(全光鏞,1919~ )의 ‘꺼삐딴 리’:인간의 변절적 순응주의를 비판

 

 

한국 현대시의 역사에 나타난 주요 유파(流派)(1900~1945)

 

①계몽파:20세기 초--잡지 <소년>,<청춘>--개화 및 민중 계몽의 신체시

②낭만파:1918~1925--문예지 <백조>,<폐허>--낭만적 격정의 자유시.생의 자각이 결여된 감상성

③경향파:1925~1930년대 초--잡지 <개벽>,<조선지광>--정치적 목적 의식이 앞선 시.예술성의 결여

④순수파:1930~1940년대--문예지 <시문학>,<문예 월간>--정서의 순화와 언어의 미감 추구

⑤전원파:1935 전후--문예지 <시원>--전원 생활에의 동경과 예찬

⑥주지파:1934~1940년대--문예지 <3․4문학>--지성과 심성이 중시된 회화적인 시.생의 자각 미흡

⑦생명파(인생파):1936~1940년대--문예지 <시인 부락>--인간의 근원적인 생명 의식이 부각된 시

⑧청록파(자연파):1939~1940년대--문예지 <문장>--자연 귀의와 자연미의 재발견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