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최고위과정

(고2 국어생활) 선인들의 언어관. 선인들의 발상과 표현

1. 전통적 발상과 표현

 

 

[] 나무에 조그만 닭을 새기어

     그 닭을 벽 위에서 살게 했노라.

     이 닭이 꼬끼오 하고 때를 알릴 때까지

     어머님 오래 사시옵소서.

     木頭雕作小唐雞  子拈來壁上棲

     此鳥膠膠報時節  慈顔始似日平西

 

      * 나무로 만든 닭이 우는 것은 현실적으로 물가능하다.

  - 고려 때 오관산(五冠山) 아래 살던 효자 문충(文忠)이 지었다는 노래다. 그는 노모를 봉양하려고 30리 넘게 떨어진 개성까지 매일 출퇴근을 했다. 어머니가 늙으신 것을 안타깝게 여겨 이 노래를 지었다는 아름다운 사연이 《고려사》에 전한다. 원래는 우리말로 불리어진 것을 이제현이 한문으로 옮겼다.

 

[] 님이여, 당신은 백 번이나 단련한 금()결입니다.

     뽕나무 뿌리가 산호가 되도록 천국의 사랑의 받읍소서. =상전벽해(桑田碧海)

     님이여, 사랑이여, 아침 볕의 첫걸음이여.

  

     님이여, 당신은 의()가 무거웁고 황금(黃金)이 가벼운 것을 잘 아십니다.

     가벼운 것을 잘 아십니다.

     거지의 거친 밭에 복()의 씨를 뿌리옵소서.

      님이여, 사랑이여, 옛 오동(梧桐)의 숨은 소리여.

                                - 한용운, ‘찬송(讚頌)



      

* 밑줄 친 부분은 ‘아주 긴 시간의 경과’를 암시한다.

‘찬송’(한용운) 전문 연구. ‘뽕나무 뿌리가 산호가 되로록’은 불가능한 일이 이루어질 때까지, 곧 영원한 시간을 나타낸다.

--------------------------------------------

(1) 선인들의 언어관

 

과제1.

* ㉠ 말로 온 공()을 갚는다 -> 말을 잘하면 말만으로도 은공을 갚을 수 있다는 뜻, 즉 말을 잘하는 것이 일상 생활에 퍽 유리하다는 뜻

  ㉡ 발 없는 말이 천 리 간다. -> 말이란 순식간에 멀리까지 퍼져 나가므로, 말을 삼가야 한다.

  ㉢ 말만 잘 하면 천 냥 빚도 가린다. -> 말만 잘하면 어려운 일이나 불가능한 일도 해결할 수 있다.

  ㉣ 말은 해야 맛이고, 고기는 씹어야 맛이다. -> 마땅히 할 말은 해야 한다는 뜻

  ㉤ 살은 쏘고 주워도, 말은 하고 못 줍는다. -> 뱉은 말은 다시 수습할 수 없다는 것으로 말을 삼가라는 뜻

  ㉥ 가루는 칠수록 고와지고, 말은 할수록 거칠어진다. -> 이러니저러니 하고 시비가 길어지면 말다툼에까지 이를 수 있다.

  , , : 말을 근신과 경계의 대상으로 인식함 (->부정적, 소극적 언어관)

  , , : 말을 표현욕이 수단으로 인식함 (->긍정적, 적극적 언어관)

-----------------------------

과제2.

[] 논어 구 : 절충적 언어관

[] 격몽요결 구 : 간결하고 신중한 말하기

-----------------------------

익히기

1.

[]는 건강한 삶을 위한 절제를 가르치면서 말도 신중하게 할 것을 권하는 것이다.

[]는 하고 싶은 말을 다 하고 말을 절제하지 못해 끝내 파멸에 이르는 것을 보여 주는 예화이다.

[], [] 모두 말을 근신과 경계의 대상으로 보고 있다.

 

2.

㉠ 속담: 말 많은 집에 장맛도 쓰다. -> 집안에 잔말이 많으면 살림이 잘 안 된다는 뜻

㉡ 격언: ‘웅변은 은이요, 침묵은 금이다.’ ‘남아일언중천금(男兒一言重千金); 남자의 말 한 마디는 천금보다 더 중요하다.

㉢ 시조: 말을 삼가 노()하온 제 더 참아라.

         한 번을 실언(失言)하면 일생이 뉘우쁘뇨.

         이 중에 조심할 것이 말씀인가 하노라.(김상용)

3.

말은 해야 맛이고, 고기는 씹어야 맛이다. -> 마땅히 할 말은 해야 한다는 뜻

-----------------------------

(1) 선인들의 발상과 표현

과제1.

이규보, ‘이옥설’

행랑채의 퇴락과 수리 과정[예시] -> 집수리 체험에 대한 감상[전개] -> 인간 사회에서도 준비와 개선이 필요함. [ 주지: 시의 적절한 정치 개혁의 필요성]

‘사실 제시 - 전개 - 상상과 깨달음’ ; 유추적 사고 과정을 거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

과제2.

‘화왕계’(설총) - 신문왕을 충간(忠諫)하기 위해 지음. 꽃을 의인화. 장미는 간신, 할미꽃은 충신에 비유. 제왕의 바른 마음가짐에 대하여 말함.

비유하여 제왕들의 마음을 풍자한 것이다.

우의(寓意)에 기반을 두고 있다. -> 완곡 어법의 발상과 표현.

-----------------------------

익히기

‘조침문’(유씨부인) - 제문 형식, 안타까움의 정서, 바늘을 인격체로 봄. 고어에 대한 이해.

유세차: 제문의 첫머리에 쓰는 말

오호 통재: 아 슬프고 원통하도다!

기색 혼절: 기가 막히고 혼이 나감

백인이 유아이사: ‘백인’이란 사람이 나로 인하여 죽음.

 

다지기1

‘해가’(海歌) - 작자 미상. 신라 성덕왕 때 수로부인이 해룡(海龍)에게 잡혀 가자 남편인 순정공이 마을 사람들을 동원해서 불렀다고 한다. 주술적인 언어관(여러 입은 쇠도 녹인다)이 나타난다. 구지가’, ‘서동요’, ‘단군신화’에도 주술적인 언어관이 나타남. 

 

주술적인 언어관의 예:

호랑이도 제 말하면 온다.(제삼자의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마침 그 사람이 그 자리에 나타났을 때 쓰는 말),

‘말이 씨가 된다.

‘입이 보살이다.

 

다지기2

) 고려가요 ‘정석가 - 작자, 연대 미상의 고려 속요. 불가능한 일을 제시하여 이별의 불가능, 즉 영원한 사랑을 노래하였다.

 

바삭바삭 소리가 나는 가는 모래로 된 벼랑에

바삭바삭 소리가 나는 가는 모래로 된 벼량에

구운 밤 다섯 되를 심습니다.

그 밤이 움이 돋아 싹이 나야만

그 밤이 움이 돋아 싹이 나야만

덕이 있는 임을 이별하고 싶습니다.

 

옥돌로 연꽃을 새깁니다.

옥돌로 연꽃을 새깁니다.

그것을 바위 위에 갖다 붙입니다.

그 꽃이 세 묶음이 피어야만

그 꽃이 세 묶음이 피어야만

덕이 있는 임을 이별하고 싶습니다.

 

) 황진이 시조 ‘동짓달 기나긴 밤을~

동짓달 기나긴 밤의 한가운데를 베어 내어

봄바람 이불 속에다 서리서리 넣어 두었다가

정든 임 오신 밤이면 굽이굽이 펼치리라.

 

) 김구 시조: ‘올 댤은(짧은) 다리 학긔 다리 되도록애/ 거믄 가마괴(가마귀) 해오라비(해오라기, 백로) 되도록애(되도록)/ 향복무강(享福無疆)샤 억만세 누리쇼셔.(오래 살기를 기원하는 헌수가)

오리의 짧은 다리가 학의 다리 되도록

검은 까마귀가 해오라기 되도록

복을 끝없이 누리시어 억만세를 누리소서.

 

- ) ) ) 모두 시적 화자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을 하겠다고 말하고 있다.

 

다지기3

[] ‘제망매가’(월명사) 10구체 향가 - 내세 재회에의 신념

[] 정철의 시조 - 풍류

[] ‘유리창’(정지용) - 죽은 아이에 대한 그리움

 

* [], []는 공통적으로 감탄사 ‘아아’로 시상을 끝맺고 있는데, 시상을 종합적으로 완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 외부 대상에서 화자 자신에게로 시선을 돌림-> 한시의 선경후정(先景後情) 구조도 이와 유사한 발상.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
호랑이도 데 말하면 온다. = > 호랑이도 제 말하면 온다.
오타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