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최고위과정

조신몽(調信夢)

출전 :   {삼국유사} 권3 탑상 [낙산이대성(洛山二大聖) 관음(觀音)·정취(正趣), 조신(調信)]
  옛날 서라벌이 서울이었을 때 세규사(世逵寺)의 장원(莊園)이 명주(溟洲) 날리군(捺李郡)에 있었는데, 본사(本寺)에서 중 조신(調信)을 보내서 장원을 맡아 관리하게 했다. 조신이 장원에 와서 태수 김흔공의 딸을 좋아해서 아주 반하게 되었다. 여러 번 낙산사 관음보살 앞에 가서 남몰래 그 여인과 살게 해 달라고 빌었다. 이로부터 몇 해 동안에 그 여인에게는 이미 배필이 생겼다. 그는 또 불당 앞에 가서, 관음보살이 자기의 소원을 들어주지 않는다고 원망하며 날이 저물도록 슬피 울다가 생각하는 마음에 지쳐서 잠깐 잠이 들었다.
  꿈 속에 김씨 낭자가 기쁜 낯빛을 하고 문으로 들어와 활짝 웃으면서 말한다.
  "저는 일찍부터 스님을 잠깐 뵙고 알게 되어 마음 속으로 사랑해서 잠시도 잊지 못했으나 부모의 명령에 못 이겨 억지로 딴 사람에게 시집갔다가 이제 부부가 되기를 원해서 왔습니다."
  이에 조신은 매우 기뻐하여 그녀와 함께 고향으로 돌아갔다.
  그녀와 40여 년간 같이 살면서 자녀 다섯을 두었다. 집은 다만 네 벽뿐이고, 좋지 못한 음식마저도 계속할 수가 없어서 마침내 꼴이 말이 아니어서 식구들을 이끌고 사방으로 다니면서 얻어먹고 지냈다. 이렇게 10년 동안 초야로 두루 다니니 옷은 여러 조각으로 찢어져 몸도 가릴 수가 없었다. 마침 명주 해현령(蟹縣嶺)을 지나는데 15세 되는 큰아이가 갑자기 굶어죽자 통곡하면서 길가에 묻었다. 남은 네 식구를 데리고 그들 내외는 우곡현(羽曲縣)에 이르러 길가에 모옥(茅屋)을 짓고 살았다. 이제 내외는 늙고 병들었다. 게다가 굶주려서 일어나지도 못하니, 10세 된 계집아이가 밥을 빌어다 먹는데, 다니다가 마을 개에게 물렸다. 아픈 것을 부르짖으면서 앞에 와서 누웠으니 부모도 목이 메어 눈물을 흘렸다. 부인이 눈물을 씻더니 갑자기 말한다.
  "내가 처음 그대를 만났을 때는 얼굴도 아름답고 나이도 젊었으며 입은 옷도 깨끗했습니다. 한 가지 맛있는 음식도 그대와 나누어 먹었고 옷 한 가지도 그대와 나누어 입어, 집을 나온 지 50년 동안에 정이 맺어져 친밀해졌고 사랑도 굳어졌으니 가위 두터운 인연이라 하겠습니다. 그러나 근년에 와서는 쇠약한 병이 날로 더해지고 굶주림과 추위도 날로 더해오는데 남의 집 곁방살이에 하찮은 음식조차도 빌어서 얻을 수가 없게 되어, 수많은 문전에 걸식하는 부끄러움이 산과도 같이 무겁습니다. 아이들이 추워하고 배고파해도 미처 돌봐 주지 못하는데 어느 겨를에 부부간의 애정을 즐길 수가 있겠습니까. 붉은 얼굴과 예쁜 웃음도 풀 위의 이슬이요, 지초(芝草)와 난초 같은 약속도 바람에 나부끼는 버들가지입니다. 이제 그대는 내가 있어서 더 누(累)가 되고 나는 그대 때문에 더 근심이 됩니다. 가만히 옛날 기쁘던 일을 생각해 보니 그것이 바로 근심의 시작이었습니다. 그대와 내가 어찌해서 이런 지경에 이르렀습니까. 뭇 새가 다 함께 굶어 죽는 것보다는 차라리 짝잃은 난새가 거울을 향하여 짝을 부르는 것만 못할 것입니다. 추우면 버리고 더우면 친하는 것은 인정에 차마 할 수 없는 일입니다. 하지만 나아가고 그치는 것은 인력으로 되는 것이 아니고, 헤어지고 만나는 것도 운수가 있는 것입니다. 원컨대 이 말을 따라 헤어지기로 합시다."
  조신이 이 말을 듣고 크게 기뻐하여 각각 아이 둘 씩 데리고 장차 떠나려 하는데 여인이 말한다.
  "나는 고향으로 갈 테니 그대는 남쪽으로 가십시오."
  이리하여 서로 작별하고 길을 떠나려 하다가 꿈에서 깨었다. 타다 남은 등잔불은 깜박거리고 밤도 이제 새려고 한다. 아침이 되었다. 수염과 머리털은 모두 희어졌고 망연히 세상 일에 뜻이 없다. 괴롭게 살아가는 것도 싫어졌고 마치 한평생의 고생을 다 겪고 난 것과 같아 재물을 탐하는 마음도 얼음 녹듯이 깨끗이 없어졌다. 이에 관음보살의 상을 대하기가 부끄러워지고 잘못을 뉘우치는 마음을 참을 길이 없다. 그는 돌아와서 꿈에 해현에 묻은 아이를 파 보니 그것은 바로 석미륵(石彌勒)이다. 물로 씻어서 근처에 있는 절에 모시고 서울로 돌아가 장원을 맡은 책임을 내놓고 사재(私財)를 털어서 정토사(淨土寺)를 세워 부지런히 착한 일을 했다. 그 후에 어디서 세상을 마쳤는지 알 수가 없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권상호
* 서라벌: 과거 신라의 서울
* 장원(莊園) : 사찰이 소유한 토지
* 배필 : 부부로서의 짝
*초야 (草野) 궁벽한 시골 땅
*모옥(茅屋) : 이엉이나 띠 따위로 지붕을 인, 작고 초라한 집.
*곁방살이 : 남의 집 곁방을 빌려 사는 살림
*지초(芝草) : 지칫과의 여러해살이풀
* 누(累) 남의 잘못으로 인하여 받는 정신적인 괴로움이나 물질적인 손해.
*난새 :중국 전설에 나오는, 서조(瑞鳥)로 꼽는 상상의 새.
권상호
조신 설화의 전설로서의 특징
  전설은 이야기 내용의 진실성을 내세우는 뜻에서 구체적인 증거물을 가지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 작품의 경우에는 세규사와 정토사라는 절이 그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정토사는 조신에 나중에 깨달음을 얻은 후에 세웠다고 하므로 이 전설은 정토사 건립의 내력을 설명하는 사원연기설화가 되는 셈이다.

 조신 설화의 환몽 구조

 감상
  조신 설화는 몽자류 소설의 근원 설화로서의 의의가 매우 크다. 평소의 어떤 생각 때문에 꿈 속에서 일련의 사건을 체험하고 꿈에서 깨어나 참다운 이치를 깨닫게 된다는 구조를 가진 설화를 환몽 설화라고 하는데, 조신 설화는 후에 몽자류 소설(구운몽, 옥루몽, 원생몽유록)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현대에 이르러서는 이광수의 '꿈'으로 개작되기도 했다.
  이 설화를 통해 드러나는 주제는 세속적 욕망의 덧없음으로 고통의 근원에 대한 집착을 버려야 한다는 불교적 가르침이다. 이 설화는 남가일몽(南柯一夢)이라는 고사 성어의 근원이 되는 남가태수전과 연관지을 수 있으나 꿈의 내용이 조신 설화는 불행과 고난의 연속, 남가태수전에서는 부귀 영화를 누리는 것으로 되어 있다.

 참고 문헌
- 김수업(1974), "조신설화와 중국전기의 비교에서 본 구운몽",{개척자}11,영남대.
- 이윤석(1988), "조신설화의 문학적 가치에 관한 소고", 한국전통문화연구4, 효성여대 부설 한국전통문화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