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최고위과정

국어(상) 2-(1) 용소(龍沼)와 며느리바위

자유인들아,
수업 시간에 만났던 초롱초롱한 너희들의 눈망울이 떠오르구나.
예습, 복습용으로 잘 활용해 주길 바란다.
수업 시간에 얘기했지만 '단원명' 또는 '단어'로 검색해 주길 바란다. 
 

(1) 용소(龍沼)와 며느리바위

구술 -> 채록

龍(용 룡{용}; 龍-총16획; lóng) - 鳳(봉새 봉; 鳥-총14획; fèng)

沼(늪 소; 水-총8획; zhǎo)



◎ 작품 이해

○ 갈래 : 설화문학(신화, 전설, 민담 중 증거물이 있으므로 전설에 해당)

            구비문학(구전문학, 구연문학)

○ 성격 : 교훈적, 서사적, 종교적, 비현실적, 인과적

○ 문체 : 구어체 (<->문어체)

○ 주제 : ① 권선징악(勸善懲惡)

            ② 인색함에 대한 경계(警戒)

○ 배경   * 시간적 : 옛날 옛적에

            * 공간적 : 황해도 바닷가 장연읍

○ 특징   ① 생생한 경기도 방언으로 현장감을 줌.  

            ② 생생한 구어체 사용(구연문학). 어벽으로 ‘인지’를 자주 사용.

            ③ 구체적 장소와 증거물로 사실성을 높임.

            ④ 시간적 순서에 따라 전개.


○ 구성   * 처음 : 용소의 위치 소개( ∼70:7)

          * 중간 : 전설의 구체적 내용(인색한 장자와 돌로 변한 며느리)(70:8∼73:14)

          * 끝   : 증거물 소개 및 부연설명(깊은 못으로 변한 장자의 집)(73:14∼74끝)

○ 출전 : 한국구비문학대계 1-1(서울시 도봉구편)


◎ 등장 인물

   * 장재첨지(장자) : 악인의 전형, 세속적 욕망의 표상

   * 며느리 : 선한 인간, 초월적 세계와 세속적 욕망 사이에서 갈등함

   * 도승(중) : 초월적 세계의 절대적인 질서를 대변하는 존재, 못된 장재 첨지를 벌주는 심판자
 

◎ 이 전설의 증거물 : 용소와 며느리 바위 -> 그리하여 글의 종류는 '전설' 

◎ 이 이야기를 지배하는 핵심적 가치관 : 인과응보(因果應報)

◎ 관련 판소리계 소설 : <옹고집전>


◎ 단어 및 구절 풀이

<70쪽>

  * 옛날 옛날 얘기지 : 관용적 표현. 설화문학의 일반적 표현.

  * 장재 : 장자 + l (구격조사)

  * 수천 석 ∼ 좋은 집 : =고대광실(高臺廣室), 호의호식(好衣好食)


<71쪽>

  * 깍쟁이 : 구두쇠, 수전노(守錢奴). 자린고비

    장재 첨지(장자) 같은 인색한 주인공 - 놀부(흥부전), 조의관(삼대), 윤직원(태평천하) 
     관련 속담 : 나그네 보내고 점심 먹는다. 고뿔도 남 안 준다.

  * '돼지, 돼지' : 장자의 성격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비유적 표현.

     (장자= 인색하고 자기 이익만 추구)

  * 그 불타산 ∼ 있는데 : 불타산의 지명유래. 문맥이 안 맞음

  * 우정 : 일부러

  * 불능불사(<-不農不商)하구, 댕기면서 얻어만 먹구 : =무위도식(無爲徒食)


<72쪽>

  * 소리를 ∼ 있으니까 : 장자가 마음을 돌릴 수 있는 기회를 좀더 주기 위함

  * 않구섬남 : 않고서

  * 지금은 ∼ 하나 : 생략 가능한 문장

  * 부삽 : 불+삽(ㄹ 탈락-ㄴ,ㄷ,ㅅ,ㅈ,ㅊ 앞에서)

    예) 소나무, 이부자리, 화살, 여닫이, 바느질 등

  * 옇단 : 넣었단의 방언

  * 바랑에다가 쇠똥을 옇단 말야 : 장자의 악행(惡行)을 부각함.

    (관련 속담) 동냥은 주지 못할망정 쪽박을 깬다.

  * 그 중은 조금두 낯색두 변하지 않구서 : 짐작하고 있었으므로. 의도적인 것이었으므로.

  * "당신 감 집에 ∼ 테니까" : 장자의 악행에 대한 중의 심판. 인과응보(因果應報)


<73쪽>

  * 명주 도토마리 ∼ 인지 : 생략 가능한 문장

  * 뇌성벽력 : 장자의 악행에 대한 하늘의 심판, 징벌.

  * 무슨 주의를 시켰다면 : '주의' = 금기(禁忌), 터부(taboo)

  * "당신, ∼ 안 된다" : 금기 제시, 신성성 부여

  * 깜짝 놀래서 인지 뒤를 돌아봤단 말야 : 며느리가 화석이 된 직접적 원인.

                (인간 세상에 대한 미련. 인간적 욕망의 표출. 인간적 한계가 나타남)

  * 그 사람이 그만 화석이 되구 말았다는 게야 : 비극적, 비현실적

  * '지금두', '상게두' " 전설의 신빙성 부여.

  * 상게두 : 아직도


<74쪽>

  * 그 집이 ∼ 됐단 말야 : 비현실적

  * 그 물 ∼ 끝 : 과장법


◎ 학습 활동

<71쪽>

  1. 이 이야기는 제보자가 말한 것을 채록한 것이다. 이 이야기를 처음, 중간, 끝의 3단계로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자.

  답>

◆ 처음 : 전설의 증거물(용소)의 위치, 전설 내용에 대한 개괄적 언급

  (용소는 장연읍에서 20리 남짓 되는, 몽금포 있는 곳에 있는데 그 용소와 관련된 전설이다.)

◆ 중간 : 전설 내용의 구체적 제시 (용소에 사는 인색한 부자, 장자가 시주를 온 스님에게 쇠똥을 시주하자 며느리가 대신 쌀을 시주했는데, 스님이 며느리에게 재앙을 예고하며 피할 것을 일러 주었다. 하지만 절대 뒤를 돌아보지 말라는 주의를 어겨 며느리는 화석이 되었다.)

◆ 끝 : 증거물 소개 및 전설의 증거물에 대한 부연 설명 (용소 근처의 불타산 아래에는 산으로 몸을 피할 때의 며느리 모습 같은 화석이 지금도 있으며, 장자가 살던 집터는 끝을 모를 정도로 깊고 넓은 큰 소(沼)가 되었다.)

 

  2. 한 문장씩 돌아가면서 말하여 이 이야기를 재구성해 보고, 다른 사람이 말한 내용에 따라 이야기를 이어나갈 때 접속어나 지시어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메모해 보자.

  답> 생략


<74쪽>

  1. 이 이야기의 내용 조직 방법을 알아보자.

  답> 용소와 며느리 바위에 얽힌 전설의 내용을 소개하는 이 이야기는 전체적으로 인과적 조직방법에 따라 원래  장지 첨지네 집터 자리였던 것이 왜 지금의 용소로 바뀌었는지 그에 얽힌 사연(이유)를 밝히고 있다. 이유에 해당하는 부분(글의 짜임상 중간  단계의 내용에 해당)은 이야기의 흐름이 시간의 순서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내용이 전개되었다.

  2. 이 이야기의 내용을 신문 기사로 쓸 경우, 기사의 내용을 어떻게 구성할 수 있는지 개요를 작성해  보자.

  답>


◆ 표제 : 인색함이 한 가족의 참화를 불러들여

◆ 부제 : 용소와 며느리바위에 얽힌 전설

◆ 전문 :

  * 언제 - 옛날 옛적에

  * 누가 - 장자 첨지 영감과 그 며느리가

  * 어디서 - 용소라는 곳에서

  * 무엇을 - 재앙을

  * 어떻게 - 받았다. 그리하여 첨지 영감의 집터는 지금의 용소가 되고 그 며느리는 화석이 되었다.

  * 왜 - 영감의 인색함 때문에 하늘이 내린 재앙이 그의 가족에게까지 화가 미쳤기 때문이다.

◆ 본문 : 전문 부연


  3. 예상되는 독자와 읽는 목적 등에 따라 기사의 내용이 어떻게 다르게 조직되었는지 서로 비교해 보고, 다르게 조직한 이유를 말해 보자.

  답> 소단원에 수록된 제재는 내용의 조직 방법을 학습하기 위한 제재로 '일반화-구체화'에 따른 '인과적 조직 방법'에 따라 이야기의 흐름이 순차적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점에 입각해서 내용을 조직한 것이라면, 위의 예시 기사문은 고등학생에게 인색함을 경계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원인과 결과가 분명히 드러나도록 인과적 조직 방법으로 내용을 구성한 것이다. 인과적 조직 방법은 권선징악의 교훈을 직접적이면서도 강하게 전달하기에 가장 적절한 조직 방법이기 때문이다. 즉, 그것은 전달 목적에 따른 전달 효과를 극대화하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최원혁
선생님 자료 감사히 보았습니다. 학교에서 뵙겠습니다.
박재형
선생님 감사해요...자료 잘 봤습니다...학교에서 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