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
유리(琉璃)에 차고 슬픈 것이 어른거린다.
열없이 붙어서서 입김을 흐리우니
길들은 양 언 날개를 파다거린다.
지우고 보고 지우고 보아도
새까만 밤이 밀려나가고 밀려와 부딪치고,
물먹은 별이 반짝, 보석처럼 박힌다.
밤에 홀로 유리를 닦는 것은
외로운 황홀한 심사이어니,
고운 폐혈관(肺血管)이 찢어진 채로
아아, 늬는 산(山)새처럼 날아 갔구나!
정지용
◎ 작품 이해
○ 갈래 : 자유시, 서정시
○ 성격 : 애상적, 감각적, 회화적, 주지적
○ 어조 : 자식을 잃은 아버지의 애상적 어조
○ 제재 : 유리창에 서린 입김
○ 주제 : 죽은 아이(자식)에 대한 그리움과 슬픔
○ 출전 : <조선지광>89호 1930.1
○ 특징 : ① 선명한 시각적 이미지, 감각적이고 세련된 시어의 선택과 감정의 대위법(對位法)을 통한 감정의 절제가 돋보임. 특히 이 시에서 시의 요소 중에서 이미지(심상)가 중요함
② 아들 잃은 슬픔을 절제된 감각적 이미지들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참고] <감정의 대위법>
: 이 시에서 시적 화자의 감정을 표현한 구절은 ‘차고 슬픈 것’과 ‘외로운 황홀한 심사’ 두 군데뿐인데, 슬픔과 외로운 감정이 차가운 감각과 활홀한 심사와 어우러져서 표현되고 있다. 이처럼 대비되는 감각이나 심사(마음)를 슬픈 감정과 대위(對位)시킴으로써 감정을 절제한 것이 감정의 대위법이다.
○ 구성 :
① 기 : 유리창에 어린 영상(1-3행)
② 승 : 창 밖의 밤의 영상(4-6행)
③ 전 : 외롭고 황홀한 심사(7-8행)
④ 결 : 죽은 아이에 대한 영상(9-10행)
◎ 시어 및 구절 풀이
* 유리창 : 이중적 의미를 지님, 즉 투시와 차단(단절 또는 벽)
① 투명한 유리를 통해 그 건너편을 바라볼 수 있게함, 즉 시적 자아의 그리움(죽은 자식)을 구현하는 소재의 역할
② 내부와 외부 사이에 가로 놓인 벽으로서, 시작 자아와 환각 속의 대상과의 정서적 거리를 설정한다. 그것은 삶과 죽음 사이의 거리이자 죽은 아들과 시적 자아 사이에 놓인 외로움의 크기다.
* 차고 슬픈 것 : 죽은 아이의 영혼. 슬픈 감정이 절제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감상에 함몰되지 않으면서 대상에 대한 지적인 표현이 가능
* 열없이 : 맥없이. 속절없이. 자식을 잃은 뒤의 허전하고 허망한 심리 상태
* 언 날개 : 입김 자국을 가냘픈 새에 비유. 죽은 아이의 영상
* 지우고 보고 지우고 보아도 : 죽은 아이에 대한 안타까움과 그리움이 나타남
* 새까만 밤 : 죽은 아이와의 거리감, 단절감을 나타냄, 실망감, 상실감을 줌
* 파다거린다 : 죽은 아이의 가냘픈 이미지를 함축한 시어
* 물먹은 별 : 시적 자아의 눈물 맺힌 눈에 비친 별빛을 의미. 별은 죽은 아이의 영상
* 반짝, 보석처럼 박힌다. : ‘반짝’ 다음에 ‘쉼표’를 사용함으로써, 별의 반짝임을 형태적으로 표현하는 효과를 얻는다.
* 외로운 황홀한 심사 : 상반되는 두 정서 즉, 자식을 잃은 슬프고 외로운 감정과 별을 통해 아들을 느끼는 황홀한 감정이 얽힌 것을 표현. 역설적 표현. 감정의 대위법.
* 고운 폐혈관이 찢어진 채로 : 구체적이고 선명한 심상을 통해 자식이 병에 시달리다 죽었음(죽은 원인)을 암시함과 동시에 작가가 지닌 극도의 비애를 드러냄.
* 늬는 : 너는
* 늬는 산(山)새처럼 날아 갔구나! : 잃어버린 자식을 나뭇가지에 잠시 머물다 날아가 버린 산새에 비유한 표현
* ‘차고 슬픈 것’, ‘언 날개’, ‘별’, ‘산새’ : 죽은 아이의 비유적 표현들
◎ 유리창이라는 소재의 의미와 암시성
이 시에서 가장 중요한 시어 ‘유리창’은 ‘벽’이나 ‘문’과는 달리 개방과 단절의 두 측면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벽’은 그 ‘벽’을 부수지 않는 한, 두 세계를 완전히 단절하는 이미지를 지니며, ‘문’은 열려지면 완전한 개방을, 닫히면 완전한 단절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유리창’은 투명한 유리의 속성으로 인하여 바깥 세계와 내부 세계를 단절시키는 동시에 연결시키고 있는 이중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 시에서는 유리창 밖의 어둠의 세계(즉 죽은 아이가 있는 죽음의 세계)와 우리창 내부의 밝음의 세계(시작 자아가 처한 현실 공간)를 서로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즉, 유리창은 시적 자아가 그리워하는 대상과 시작 자아를 격리시키면서 동시에 그것을 통하여 나타나는 영상(별, 새), 곧 죽은 아이의 영혼과의 교감을 가능케 한다. 그 때문에 시적 자아는 유리창을 열 수 없고 단지 ‘지우고 보거나’, ‘유리를 닦는’ 행위로 자신의 안타까운 심정을 표현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 정지용의 ‘유리창1’과 김현승의 '눈물'의 감정 처리에 있어서 화자의 태도
◇ 정지용의 ‘유리창1’ : 화자의 슬픈 감정을 절제함
◇ 김현승의 '눈물'은 신에 대한 신앙으로 슬픈 감정을 극복하고 있음
◎ 작품 설명
이 시는 죽은 아들을 환각으로 마주하고 있는 아버지를 시적 자아로 설정하고 있다. 그는 한밤중 흐린 유리창에 어른거리는 죽은 아들의 환각을 보고는 아들의 모습을 보다 또렷하게 확인하려고 유리를 닦는다. 그러나 유리를 닦고 나면 아들의 모습은 간데없고, 창 밖에는 오로지 새까만 밤만이 펼쳐져 있을 따름이다. 밀려드는 슬픔에 시적 자아의 눈에는 어느덧 눈물이 맺히고, 물기 어린 눈에는 죽은 아들인 듯 보석 같은 별이 비친다. 시적 자아는 슬픔을 접어 둔 채, 환각에서나마 아들을 만날 수 있을까 기대하며 다시금 입김을 흐린다. 이 순간 환각 속에서 아들을 마주한 흥분과 기대는 아들을 잃은 엄연한 현실을 확인하는 슬픔과 교차하고 있다. 그리고 이 역설의 장면을 뚫고, 슬픔과 비애의 절규가 치솟아 오른다.
이렇듯 이 시는 아들을 잃은 슬픔을 절제된 감정으로 담담하게 표현해내고 있다. 그렇기에 그 슬픔은 더욱더 애절하다. ‘외로운 황홀한 심사’라는 심오한 역설은 그와 같은 절제된 감정으로 인해 탄생할 수 있었던 것이지만, 그 뒤에는 더욱 큰 슬픔이 터질 듯 부풀어 있다.
김윤식 엮음 <김윤식의 시특강> (주)한국문학사
◎ 정지용(鄭芝溶, 1903. 5. 15 ~ 1950. ? )
시인. 충북 옥천(沃川) 출생. 1918년 휘문고등보통학교 재학 시절 박팔양 등과 동인지 <요람>을 발간하기도 했으며, 일본으로 건너가 도시샤[同志社]대학 영문과를 졸업했다. 귀국 후 1030년에는 문학동인지 <시문학>의 동인으로 활동했으며, 모교의 교사, 8․15광복 후 이화여자전문 교수와 경향신문사(京鄕新聞社) 편집국장을 지냈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 순수시인이었으나, 광복 후 좌익 문학단체에 관계하다가 전향, 보도연맹(輔導聯盟)에 가입하였으며, 6․25전쟁 때 북한공산군에 끌려간 후 사망했다. 1933년 <가톨릭 청년>의 편집고문으로 있을 때, 이상(李箱)의 시를 실어 그를 시단에 등장시켰으며, 39년 <문장(文章)>을 통해 조지훈(趙芝薰)․박두진(朴斗鎭)․박목월(朴木月)의 청록파(靑鹿派)를 등장시켰다.
그의 초기시는 감각적이며 서구 이미지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는 현실과 밀착되어 있으면서도 시각과 청각, 촉각은 물론 공감작적인 다양한 비유를 통해 특이한 감수성의 세계를 개척하였다. 아울러 ‘향수’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향토적인 서정을 보임으로써 포근한 향수의 미학을 발굴하고 고전적인 정서를 일깨웠다. 후기시에서 보여준 동양적 정신 세계의 침잠과 산문시의 시도는 초기의 감각적인 서정시로부터 한결 깊이있는 시 정신을 담고 있는 것이다. 시련을 극복하고자 하는 동양적 정신주의의 변모는 점차 암울해 가는 식민지 질서의 파행성을 극복하고자 하는 정신적 견인의 고투를 함축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작품으로, 시 ‘향수(鄕愁)’ ‘압천(鴨川)’ ‘이른봄 아침’ ‘바다’ 등과, 시집 <정지용 시집>1935, <백록담>1941, <지용 시선>1946 등이 있다.
This website is using a security service to protect itself from online attacks. The action you just performed triggered the security solution. There are several actions that could trigger this block including submitting a certain word or phrase, a SQL command or malformed data.
You can email the site owner to let them know you were blocked. Please include what you were doing when this page came up and the Cloudflare Ray ID found at the bottom of this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