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최고위과정

국어(하) 1. 국어가 걸어온 길 - 준비 학습

국어(하) 1. 국어가 걸어온 길
 

* 국어사 시대 구분

고대 국어(~ 통일신라) : 경주어

중세 국어(10C 고려 건국 ~ 16C 임진왜란) : 개성어

근대 국어(17C ~ 19C) : 한양어, 임진왜란 이후의 국어


* 국어사 연구 자료

① (하), 은, 주, 춘주전국, 진, 한 - 삼국(위, 촉, 오)...

   이 중 위나라의 역사 책 <삼국지 위지 동이전>

② 남조 - 오, 동진, 송, 제, 양, 진

   이 중 <양서 백제전>

③  설총 <삼대목>  * 원효대사와 요석공주

④  일연 <삼국유사> 중 향가 14수

⑤  <향약구급방>

⑥  <훈민정음> <용비어천가> < 동국정운> < 월인천강지곡>

가갸날 -> 한글날

조선어학회

국립국어연구원


-------------------------------------------------------------

 * 학습 동기 유발

   ① 오늘날 방영되고 있는 사극에서 인물들이 사용하는 말은 과연 당대의 언어와 흡사   할까를 생각해 보게 한 뒤 발표시킨다.

   ․ 학생들이 즐겨 보았던 사극(허준, 왕건, 여인천하 등)을 예로 들어 말하게 한다.

   ․ 옛스러운 느낌을 주는 말들을 사용하기는 하지만, 오늘날의 시청자들에게 의미 전     달이 어려운 당대의 말을 사용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말로 정리한다.

   ② 적절한 예를 들어 언어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사성을 지녔다는 점을 상기시킨다.

    ․ >  > 을 > 가을        ․셔 > 셔울 > 서울

    ․어리다(愚 → 幼) 등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도정
평가
1. 고대 국어의 모습을 알 수 있는 자료가 아닌 것은?
① 양서 백제전 : 오늘날의 언어와 복장은 대략 고구려와 같다.
② 삼국유사 : 향가 14수 수록/ 균여전 : 향가 11수 수록
③ 계림유사 : 고려 시대의 우리말 어휘 350개를 추려 한자로 그 음을 적어 놓음 x
④ 삼국지 위지 동이전 : 동이족의 옛말은 부여 말과 많은 부분이 같다.
⑤ 임신서기석 : 한자를 우리말식으로 표기하였다.

2.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언어가 변화하는 특성은? -> 역사성

3. 부여계 언어를 계승한 것은 고구려어이며, (신라어)를 계승한 것은 고려어이다.
권상호
*** 차자(借字), 음차(音借), 훈차(訓借) : 훈민정음 창제 이전에 우리말을 글로 옮기기  위해 했던 것이 차자(借字), 즉 한자를 빌려 쓴 것. - 한자는 음과 훈으로 나뉘어 있는 문자이다. 음을 차자한 것을 음차(音借)라 하고, 훈을 차자한 것을 훈차(訓借)라 한다.

예) 人 - ‘인’으로 읽으면 ‘음차’
        ‘사람’으로 읽으면 ‘훈차’

‘소나’를 표기하기 위해 ‘素那’라고 하면 ‘음차’한 것.
흴(소),  어찌(나)의 음을 그대로 따왔기 때문이다.

반면 ‘소나’를 ‘金川’이라고 적으면 ‘훈차’한 것.
쇠(금), 내(천) 에서 쇠=>소, 내=>나 로 빌려 써서 훈차가 되는 것이다.

素那(或云 金川) 白城郡蛇山人也.素那
소나(또는 금천이라고 한다)는 백성군 사산사람이다.

        소나 -> 素那----金川(쇠내->소나)
                음차    훈차

* 향가 ‘서동요’의 예

향찰이나 이두에서 대개 의미를 갖는 의미부는 훈차, 조사나 어미 같은 형태부는 음차 표기.

善化公主主隱(선화공주주은) 은 "선화 공주님은" 으로 해석되는데
선화공주(善化公主) 는 독음 그대로 음을 따왔기 때문에 음차인 것이고,
주(主)는 훈을 따와서 "님"으로 해석되었기 때문에 훈차인 것이다.
은(隱)역시 한자의 독음을 그대로 따와서 음차한 것이다.

@ 구별 방법..
원래 우리가 읽는 한자의 음과 동일하게 읽으면 음차이고,
"음"이 다르고 "훈"과 비슷하게 발음하면 훈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