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최고위과정

수준별 보충학습 - 수능 문학용어

 

* 수능 문학용어


1. 객관적 상관물 - 자신의 정서와 관련된 자연물

● 김수영 <풀>, <눈>=끈질긴 생명력

● 김광균 <설야> -

  ‘어느 머언 곳의 그리운 소식’, ‘서글픈 옛자취’, ‘머언 곳의 여인의 옷벗는 소리’, ‘어느 잃어진 추억의 조각’ 등의 묘사.

    ▶‘눈’=시적화자→그리움과 슬픔의 정조.

● 윤동주의 <별헤는 밤> -

딴은 밤을 세워 우는 벌레는

부끄러운 이름을 슬퍼하는 까닭입니다.

    ▶벌레=시적화자→슬픔

● 김소월 <진달래꽃>=축복과 만류의 상반된 이미지

● 서정주 <귀촉도>=돌아가신 임을 표상하는 동시에 임과 시적 화자를 연결해 주는 사랑의 매개체 구실

● 박완서 <나목>=전쟁으로 인해 정신적, 물질적으로 헐벗은 삶을 살 수밖에 없었던 우리 민족의 모습


  * 감정 이입 - 자신의 감정을 그대로 자연물에 이입


2. 관조적 성격 - 차분하고 절제 있게 바라봄 / 반성적이고 성찰적인 노래가 관조적이다.


3. 내재적 감상 - 작품 속에 파고 들어가 감상. 내재만 출제. 함축적 의미, 상징적 의미, 이미지, 음악성, 소재, 분위기, 인물, 사건, 배경, 서술방식 등 

4. 외재적 감상 - 작품 외부의 요소로 감상. 작가의 생애, 사회상, 던져주는 교훈.


5. 모티프 = 창작 동기. 이 작품을 왜 썼지?

● 정지용 <향수> - 그리움.

● 정지용 <유리창>, 서정주<귀촉도>, 김소월 <초혼>, 박목월 <하관>,<이별가> - 어떤 사람의 죽어서 썼다 -> 곧, 대상의 부재. 설화를 모티프로 하고 있다.


6. 변용(變容) - 소재를 작가의 주관과 의도에 따라 기존의 작품을 재해석.

● 서정주 <추천사> <- 고전 소설 <춘향전>의 변용

● 서정주 <신부> <- 설화의 변용

변용은 사물의 형태나 모습이 바뀐다는 뜻이다. 따라서 '문학적 변용'이란 문학적 발상이나 자유로운 상상력을 활용하여 작가가 객관적 사물을 자신의 주관에 맞게 변형시키는 것을 말한다.


7. 형상화 - 자신의 관념, 사상을 구체적인 사물로 표현/ 김춘수의 시 -> ‘꽃’으로 형상화. 충성 ->대나무


8. 서사적 - 시간의 흐름, 인물과 사건의 이야기


9. 내면화 - 외부의 대상을 자신의 정서로 흡수. 이육사 ‘교목’(자연물) -> 자신의 의지, 고은 ‘눈길’-> 마음의 평화, ‘중심 소재를 바탕으로 내면화했다’는 식으로 출제.


10. 미적 범주 - 관조미(깊은 달밤), 우아미, 비장미(아, 그대여), 숭고미(살신성인- 전쟁, 4.19등) 운율미(음악적 아름다움), 골계미(해학적 익살) - 판소리, 우화적 풍자소설, 인형극, 탈춤 대본


11. 개연성(蓋然性) -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 TV 드라마를 보라. 개연성을 확보해야 감동을 준다.


12. 심상(心象) - 감각에 의해 머리 속에 떠오름.

  공감각 - 한 문장 안에 두 감각 / 복합감각 - 여러 문장에 다양한 감각적 표현


13. 역동적 이미지 <-> 정적 이미지


14. 전기적(傳奇的) : 비현실적, 환타지 / 전기적(傳記的) : 이순신, 세종대왕 전기


15. 의식의 흐름 - 아, 나는 어떻게 할까.

● 오상원 <유예>- 전쟁 소설/ 서정인 <강>/ 선우휘 <불꽃>


16. 자동기술법 - 복잡한 내면 심리. 초현실주의시 / 이상의 <거울>, <오감도>, <꽃나무>

  자동기술법을 쓰면 저절로 의식의 흐름.


 

* 중요 성어:

안분지족(安分知足), 안빈낙도(安貧樂道), 빈이무원(貧而無願),

단표누항(簞瓢陋巷), 단사표음(簞食瓢飮) -고전문학


* 문학의 갈래

운문 문학 - 현대 시가, 고전 시가 - 음악적 리듬감

산문 문학 - 서사 문학

구비 문학 - 민요, 설화, 판소리


* 시상 전개 방법

수미상관 - 첫째 연이 마지막 연에 반복. 수미상응,

순행적 - 시간의 순서 대로

기승전결 - 전은 다른 각도에서

선경후정 - 고전 용어, 서경적 +서정적


* 시상 전환

시상의 집약 - 배경과 상황이 마지막에

시적 발상

시적 정황 - 배경과 상황

시적 진술 - 글쓰기 스타일, 문장표현, - 의지적, 관념적, 부드러움, 단조로움


* 시의 갈래

서정시 - 가장 흔함.
서사시
주지시 - 지적인 내용

이미지즘 시, 모더니즘 지 - 현대 물질문명, 도시 문명 -> 상실과 소외

현실 참여시 - 적극적인 태도. 사회적. 목적시

순수시 - 현실 참여적인 것 배제. 순수성과 예술적 아름다움

초현실주의 - 과학과 이성을 거부하고 인간의 복잡한 심리를 드러냄.

정형시 - 음악적 요소 두드러짐. 고전 시조. 김소월 <진달래 꽃>

풍자시 - 고전시. 양반의 수탈. 수사, 반어법


* 소설의 갈래

가족사 소설, 농민 소설, 농촌 소설, 농촌 계몽 소설.

성장 소설 - 정신적으로 미성숙한 주인공의 성장 과정 - 황순원 <별>, 신경숙 <외딴 방>

액자 소설 - 수능 미출

세태 소설 - 수능 미출


* 정서

●  긍정적 정서 - 현실 극복, 초극 의지, 미래 지향적, 종교적 승화, 달관적, 예찬적, 경외심(외경심) 소망, 희원, 기구, 비판적(옳고 그름을 따지기 때문), 풍자적(희화화 기법), 그리움, 향수, 속죄양 의식

●  부정적 정서 - 한이 맺힘, 회한, 비장감, 체념, 비애, 애상, 비탄(비애 + 애상, 두보의 절망의 노래), 고뇌와 번뇌, 내적 갈등, 상실감, 냉소적, 무상감(허무감과 덧없음), 자조적, 자책감, 자괴감, 질책, 힐난, 연민, 무기력함, 순응적, 현실 수용적, 소극적, 무기력함


* 문장 표현법 : 대표적 3가지 -> 비유법, 변화법, 강조법

대구법 - 짝과 대응을 이룰 때, 내용과 구성이 나란히 비슷할 때

대조법 - 차이가 나거나 상반됨


의인법 - 사람처럼(파초의 꿈은 가련하다)

활유법 - 생명체처럼

풍유법 - 속담. (귀신 씨나락-, 마파람 -)


과장법

억양법 : - 추켜세우다가 깎아 내림

  * 최고운전(작년), 청나라 궁궐 조롱, 왜 내 모자가 걸리지? 여수장우중문시.

변화법 - 도치, 설의, 대구, 반어, 역설, 돈호, 생략, 미화, 인용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