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최고위과정

5-(1) 관동별곡

5-(1) 관동별곡

* 송강-정철(鄭澈 1536∼1593)(중종 31∼선조 26) 
  조선 선조 때의 시인, 정치가. 호는 송강(松江) 담양군 창평면 성산으로 내려가 살았으며, 이 때 '성산별곡'을 지었고, 27세 때 문과에 장원급제. 45세 때 강원도 관찰사 재임 중 '관동별곡'과 단가인 '훈민가' 16수를 지었고, 50세에 퇴임하여 창평에 살면서 '사미인곡', '속미인곡'을 지었다. 54세에 우의정, 55세에 좌의정이 되었고, 58세에 강화에서 생을 마쳤다.

* 핵심정리 ---------------------

갈래 : 가사(양반가사, 기행가사, 정격가사)
연대 : 선조13년(1580년), 작자가 45세 때
문체 : 가사체, 운문체, 화려체
상 : 유교의 충의사상과 도교의 신선사상, 애민사상
운율 : 4음보 연속체, 3(4)·4조
표현 : 3(4).4조, 4음보의 연속체로 경쾌한 율격을 보여 준다. 
  섬세하고 화려한 문체로 작가의 낭만적이고 호방한 기상이 잘 드러난다. 
  영탄법, 감탄법, 대구법 생략법의 다양한 수사법의 구사로 뛰어난 문장력을 보여줌 
  경치를 객관적으로 묘사하는데 그치지 않고, 자연에 몰입하여 새로운 시경(詩景)과 시상(詩想)을 창조
  득의한 때의 작품인만큼 전체 분위기가 명쾌하고 화려하며, 호탕한 기상이 나타나 있다. 

사상 : 유교 사상, 도교 사상 
출전 : 송강가사 이선본 
영향 관계 : 경기체가 안축의 '관동별곡' → 가사 백광홍의 '관서별곡' → 가사 송순의 '면앙정가' → 정철의 '관동별곡'으로 이어짐 
의의 : 서정적인 기행가사로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승화시킨 작품
주제 : 관동 지방의 절경과 풍류
관동팔경 : 청간정, 경포대, 삼일포, 죽서루, 낙산사, 망양정, 총석정, 월송정 또는 시중대
구성 : 서사 ― 본사 ― 결사

* 참고자료
<가사(歌辭)> ------------------
정의 : 조선시대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창작되어 주로 사대부계층에서 널리 유행했던, 산문적 내용에 운문적 형식을 가진 장편의 노래
◆ 시조와 가사
운율이 유사함, 시조를 단가(短歌)라고 하고 가사를 장가(長歌)라부름
3·4조 또는 4·4조의 운율이 있는 구절이 연속된 정형시
가사의 끝과 시조의 종장이 동일함(3-5-4-3의 운율)

발생 : 경기체가의 쇠퇴와 확산되던 산문 정신의 영향으로 발생
전개 : 정극인의 '상춘곡'에서 시작⇒송강에서 절정⇒박인로⇒개화가사
특징 :
  운문에서 산문으로 넘어가는 과도적 형태의 갈래
  조선전기에는 유교적 이념에 근거한 연군, 자연찬미의 서정적 가사가 주류
  조선후기에는 실학 사상에 근거하여 생활에서 소재를 구한 서사적 가사가 주류 

* 내용 --------------------
1. 서사 
관찰사 배명과 부임 - 관내순력(巡歷) . 포부 
2. 본사
① 내금강 유람
만폭동 폭포의 장관과 금강대에서의 신선적 풍모 과시
진헐대에서의 조망과 망고대 혈망봉의 기개
개심대에서의 조망
화룡소에서의 감회와 십이 폭포의 장관 
② 관동팔경 유람
동해로 가는 감회와 총석정에서의 장관
삼일포에서의 회상과 의상대에서의 해돋이 구경
경포의 장관과 강릉의 미풍양속
죽서루에서의 객수(客愁)와 망양정에서의 조망 
3. 결사
작자의 풍류 - 망양정에서의 달맞이와 꿈속의 선연(仙緣) 
* 여정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