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최고위과정

고2 문학(하) 박타령(신재효 정리)

<박타령>

신재효가 정리한 판소리 여섯 마당 가운데 하나로, 형제 사이의 우애와 갈등을 통해 인간 내부에 잠재된 선악의 문제를 부각시킨 작품이다. 조선 후기의 사회상이 잘 드러나 있다.

1. 작가: 미상
2. 형성: 근원 설화 '방이설화' - 판소리 사설 '박타령(흥보가)' - 고전 소설 '흥보전' - 신소설 '연의각'
3. 성격: 풍자적, 해학적, 서민적, 교훈적
4. 배경: 시간적: 고종 때(1870년 경)
           공간적: 전라도 운봉과 경상도 함양 부근)/ 충청, 전라, 경상 3도가 맞닿은 어느 마을
5.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6. 사상: 인과응보(因果應報)의 생활원리 유교적 생활관
7. 판소리 계통: 동편제
8. 배경설화: 방이설화, 몽고의 '박 타는 처녀', 동물 보은 설화
9. 주제: 형제간의 우애(표면적), 권선 징악, 부농과 빈농 간의 갈등(이면적)
10. 의의:
① 춘향가, 심청가와 더불어 3대 판소리.
② 놀보와 흥보의 삶을 풍자와 해학으로 승화한 평민문학의 대표작.
③ ‘박타령-흥보가-흥보전-연의 각' 등으로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민중 문학, 적층 문학.

※ 특징
▶ 표현상 3.4조, 4.4조의 가락을 중심으로 리듬감 있게 표현함. 판소리 문체.
▶ 양반의 품격 있는 한문투와 서민들의 비속어 표현 공존
▶ 일상적 구어와 현재형 시제를 사용하여 사실적 표현이 두드러짐
▶ 판소리 중 서민적 취향이 가장 강한 작품으로 조선 후기 농민층의 분해상을 보여줌

※ 판소리 열두 마당 : 송만재의 '관우희'에는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타령', '배비장타령', '강릉매화전', '옹고집', '장끼타령', '왈자타령', '가짜신선타령' 등이 기록되어 있다. 마당이란 말은 판소리 한 편을 뜻하며, 한 마당의 판소리에는 광대에 따라서 다르게 부르는 여러 가지 창본이 있다.

※ 판소리: 창자(소리꾼) - 창, 아니리(말로 하는 대목)
               고수 - 장단, 추임새

※ 판소리 장단: 진양조(애연조로 춘향이 옥중에서 시름에 잠긴 대목에서 불린다.), 중모리(태연한 맛과 안정감을 준다.), 중중모리(흥취를 돋우고 우아한 맛을 준다.), 자진모리(섬세하면서 명랑하고, 차분하면서 상쾌하다.) 휘모리(흥분과 긴박감을 준다.)

▷구성 : 5단 구성
           ① 발단 : 놀보가 유산을 독차지하고 흥보를 내쫓음(배경, 인물 제시)
           ② 전개 : 흥보가 제비 다리를 치료해 줌.
           ③ 절정 : 제비의 보은으로 흥보가 부자가 됨.
           ④ 전환 : 놀보가 일부러 제비 다리를 부러뜨림.
           ⑤ 결말 : 흥보의 우애와 놀보의 개과천선(改過遷善).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