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최고위과정

해서, 행서 쓰는 법

1. 楷書 쓰는 법

 

* '한 일 자(一)' 기본 원리- 꺾으면 方筆이요 굴리면 圓筆이라.

(1) 橫竪(횡수별날) : 橫(가로획) 竪(세로획) 撇(삐침) 捺(파임) 

     - '+ ×'로 연습 

    起筆(逆入) - 行筆(平出) - 收筆(回鋒) * 왜 기필인가?

① 折筆(절필, 붓을 꺾음)과   轉筆(전필, 붓을 굴림)

② 藏鋒(장봉, 붓끝을 감춤)과 露鋒(노봉, 붓끝을 드러냄)

③ 頓筆(돈필, 붓을 멈춤)과   勒筆(늑필, 붓을 억누름)

 

(2) 懸針(현침) - 垂露(수로)

(3) 撇(별) <-> 挑(도)

(4) 平鉤(평구, 宀) - 豎鉤(수구, 刂 寸) - 斜鉤(사구, 戈 弋 代) - 右彎鉤(우만구, 儿 乙)

(5) 左點, 右點, 直點

 

結構(결구, 글자를 짜 모으는 요령)

(1) 均間(균간, 고른 간격) - 具, 勿, 安, 求

(2) 避就(피취, 피하는 양보하기, 서로 의지하여 붙기) - 鳩, 旭

(3) 覆載(복재, 덮는 것과 싣는 것) - 官, 雷, 圭, 昌, 要

(4) 向背(향배, 마주 봄과 등짐) - 妙, 幼

(5) 脈絡(맥락, 점획의 움직이는 길) - 之, 淸

(6) 接筆(이어쓰기) - 떨어져 있는 같기도 하고 이어져 있는 것 같기도 하다.

① 左肩(허접과 실접이 있다) - 口

② 右肩(오른쪽 어깨) - ㄱ

③ 左下角(왼편 아래의 모서리) - ㄴ

④ 右下角(오른편 아래의 모서리) - 口

(7) 變化 - 三, 食(두 개의 파임 중 하나는 長點 처리), 群과 羣, 峯과 峰, 嘆 과 歎

(8) 增減 - 辟(임금 벽; bì), 京, 達, 身, 節, 使, 得(淂), 懷, 陰, 學

(9) 中心 - 主, 同, 그러나 乃, 母

     

2. 行書 쓰는 법

해서의 법도와 초서의 부드러움과 아름다움을 두루 갖추고 있어서 예술성과 실용성이 매우 높다.

(1) 分解와 連續 - 점획의 시작과 끝이 모두 한숨에 이루어지길 요구 - 言

 

(2) 映帶 - 점획 사이가 자연스럽게 조응하는 관계, 해서의 영대는 함축되어 있지만 행서의 영대는 비교적 활달하게 드러남. - (갈고랑이 구), (휠 도), 牽絲(견사, 이어짐) 등이 드러나서 모든 글자는 분명히 피가 통하는 듯하고 기운이 생동하는 느낌이 든다. - 墓, 悟

 

(3) 虛實 - 실획은 실하게, 견사는 허하게 - 二와 工, 三과 之

 

(4) 行氣 - 글자와 글자가 이어진 맛, 위아래 글자간의 조응으로 마치 구슬을 꿴 것과 같다. - 與弟, 興寐

 

(5) 變化

① 획을 줄이거나 부분적으로 초서법을 원용하기도 한다. - 參, 大, 太, 追, 留

② 붓을 움직이는 속도가 조금 빠르고, 節奏感(절주감, 리듬감)이 많으므로 반드시 지나치게 붓을 먹물에 담그는 일은 하지 말아야 한다. 그러면 먹빛의 濃淡潤渴(진하고 옅고 윤기가 있고 빡빡함)의 변화를 적절히 사용하여 이른바 ‘帶燥方潤(띠는 빡빡하고, 모난 곳은 윤기가 있음)’와 ‘將濃遂枯(마땅히 진함에서 옅음에 이름)’는 해서에서는 표현할 수 없는 일종의 특수한 흥취를 만들 수 있다.

布棋(바둑판처럼 벌려 놓는 것)해서는 안 됨 - 魚에서 점을 줄임, 書의 8개 가로획의 변화 추구.

④ 동일한 부수를 가진 글자가 이어질 때의 변화 - 使仙傷, 進造近

⑤ 똑같은 글자가 한 작품에 나타날 때의 변화 - 난정서의 20개의 之자와 7개의 一자, 6개의 以자, 4개의 人자의 변화는 意趣無窮.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