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서예지도자과정

扇面 蛺蝶圖

<국립중앙박물관 >

선면협접도[扇面 蛺蝶圖]

김홍도(1745-1806이후) 조선 (1782) 

1782년 김홍도가 38세 되었을 때 그린 그림이다

풍속화뿐만 아니라 花鳥·영모화(翎毛畵)까지도 뛰어나 

모든 화목(畵目)에 다재다능했던 명성을 보여준다

왼쪽에 나비 세 마리를 그리고

오른쪽에 찔레꽃을 그려 넣었다

그림 왼편에 강세황이 평한 글에서 

그가 사실적인 모습을 바으로 나비와 꽃들을 그렸음을 알 수 있다

오른쪽 끝 부분에는 

임인년壬寅年(1782) 가을 사능士能이 그렸다壬寅秋士能寫고 적었다

그려준 사람의 이름이 원래는 적혀 있었는데, 지금은 지워진 상태다.

 

 

협접[蛺蝶]:[동물] 나비목의 곤충 가운데 낮에 활동하는 무리를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은 빛깔이 매우 아름답고 가늘며 촉각은 곤봉 모양으로 끝이 부풀어 있다

머리에 한 쌍의 촉각과 두 개의 겹눈이 있고

가슴에 큰 잎 모양의 두 쌍의 날개가 있다

긴 대롱처럼 생긴 입으로 꽃의 꿀을 빨아먹는다

앉을 때에는 대부분 날개를 세우며, 낮에 활동한다

애벌레는 대개 식물의 해충이다

전 세계에 2만여 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250여 종이 있다.

나비,호랑나비(나비() (유의어)나비,접아(蝶兒),호접 (胡蝶)

/ 그림이 그려진 후 제화시가 적힌 경우에 해당됨

 

 

壬寅秋士能爲□□□□ 

(임인추사능위□□□□)

蝶之斜翻張翅 (접지사번장시)

猶可彷彿(유가방불)

而色之得於天者 (이색지득어천자)

乃能狀之(내능상지)

神在筆端(신재필단)

 石樵 評(석초 평) 

 

 

栩栩然漆園老夢 (허허연칠원노몽)

胡爲乎幻出便面 (호위호환출편면)

생동감이 넘치는구나, 장자의 꿈이여.

어찌하여 기이하게 선면에 나타나 쉬고(便) 있는가.

史记》 卷六十三 老子列传》 附 庄周传》。

一般史书上提到漆园吏时即是指庄子

对此社会上有两种解释一说以漆园为古地名庄子曾在此作官

另一说为庄子曾在蒙邑中为吏主督漆事

 

 

蝶粉疑可粘手 (접분의가점수

人工之足奪天造 (인공지족탈천조)

乃至於是耶 (내지어시야

披覽驚歎 (피람경탄)

爲題一語 (위제일어

  豹翁評(표옹평)

(그림을 너무나 잘 그려) 나비의 가루가 손에 묻을 듯하니, 사람의 일이 하늘의 조화를 빼앗으면 이 정도에 이르는구나.

(부채를) 펼쳐 보고 놀라 감탄하며 화제로 말 한 마디 적는다. 표옹(표암)이 품평하다

 

 

*정안복[鄭顔復]: 이칭별칭 호석초(石蕉) /조선후기 남자화가 /출생 - 사망 (미상 ~ 미상)

호는 석초(石蕉). 대구에서 살았다

출신배경과 생애 등은 알려져 있지 않다

강위(姜瑋)에게 묵죽을 그린 부채를 선사하는 등의 교유가 있었다.

난초와 대나무를 잘 그렸으며

난초는 정판교(鄭板橋)의 난법을 즐겨 따랐다고 한다

유작으로 패교건려도(覇橋蹇驢圖)(개인 소장)가 전하는데

이 그림은 조선 초기적인 구도에 

남종문인화적(南宗文人畫的)인 필치와 담채로 참신한 분위기를 풍겨준다.

-참고문헌한국회화대관(韓國繪畵大觀)』 (유복렬 편, 문교원, 1969)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