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서예지도자과정

서예와 건강

서예와 건강

 

도정문자연구소

‘서예를 하면 건강해지고 장수한다’라는 명제(命題)는 사실인가?

붓이 내 몸이라면 운신(運身), 운필(運筆)은 어떻게 다른가?

운전(運轉)과 운필(運筆)의 상관관계는?

스쾃(squat)과 굴신(屈伸), 노젓기(櫓─)와 조정(漕艇)의 차이점은?

영자팔법(永字八法)은 점획의 모양인가, 표현 동작인가?

: 점을 잘 찍기 위해서는 때론 풀잎 끝에 맺힌 이슬처럼 가볍지만 신중해야 하고, 때론 무거운 바위를 들어 언덕 위에 올려놓듯이 급하면서도 집중해야 하는 동작 훈련이 필요하다. 획을 그을 때는 참으로 다양한 동작이 요구된다. 말을 타고 평원을 달리는 동작, 달리다가 낭떠러지를 만나 급정거하거나 허공에 떨어지다가 나뭇가지를 잡는 동작, 살얼음판을 걷는 동작, 양궁이나 사격에서 정확한 목표 조준을 위하여 숨을 멈추고 활과 총을 신중히 내리는 동작, 높이뛰기 멀리뛰기 창던지기 선수가 뛰거나 던지는 힘을 높이기 위하여 구름판까지 도움닫기 하는 동작, 스키를 타고 슬로프(slope)를 내려오며 균형을 잡는 동작, 자전거를 타고 느리게 가되 쓰러지지 않으려는 동작, 말몰이 회초리를 딱 하고 휘두르는 갑작스러운 동작, 사랑하는 연인에게 다가가 설렘으로 몰래 껴안는 동작, 호수 위의 새가 물을 박차고 비상하는 동작, 독수리처럼 허공을 날며 관조하다가 먹이를 발견하고 내리꽂히듯 몸을 던져 착지하는 동작, 비상하는 새가 날아가는 곤충을 낚아채는 동작, 닭이 모이를 쪼는 동작, 축구 야구 배구처럼 다가오는 공에 임팩트(impact)를 가하는 동작, 농구선수처럼 바스켓까지의 거리 조준하여 던지기, 그네뛰기 스케이트보드처럼 부드러우면서도 힘차게 스윙하여 차고 오르는 동작, 날다람쥐 같은 적확한 비상 동작, 파임과 같은 획에서는 언덕에서 돌 굴리기, 나뭇등걸 굴리기, 미끄럼틀 타기 등과 같은 동작이 필요하다. 그야말로 서예는 근대5종 이상의 다양한 인간 동작의 종합이자 자연의 모든 현상을 표현해야 하는 액션 아트(action art)이다. 그래서 필로(筆路)는 어렵고 힘든 길이라고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도전하고 즐길 가치가 있다고 본다. 더구나 건강에 좋고, 장수에 도움이 된다면야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 붓을 잡을 일이다.

무엇보다 서예는 정신운동과 육체운동이 가장 이상적으로 혼효(混淆)된 예술이다. 생각의 근육과 육신의 근육을 동시에 강인하게 해 주는 최고의 건강 예술이다.

CCTV 채널4 ‘문화여류(文化旅流, The Journey of Civilization)’라는 토크쇼- 베이징대학교 왕악천(王岳川) 교수가 출연, 건강과 장수를 위한 최고의 방편이 서법(書法)을 즐기는 일. 저명한 서예가의 평균 수명은 78.9세(우리식으로는 79.9세), 고대 저명한 고승(高僧)의 평균 수명은 66세, 진시황 이후 마지막 황제까지의 역대 황제 평균 수명은 39.2세

서동(舒同, 1905~1998) 94세

계공(啓功, 1912~2005) 94세

후한(後漢)의 서예가로 비백체(飛白體)를 창시한 채옹(蔡邕, 133∼192) 60세

진(晉)나라의 서예가로 서성(書聖)으로 불리는 왕희지(王羲之, 307~365) 59세

왕헌지(王獻之, 344~388) 45세

당나라 때 구성궁예천명(九成宮醴泉銘)의 비문을 쓴 구양순(歐陽詢, 557~641) 85세

공자묘당비(孔子廟堂碑)를 쓴 우세남(虞世南, 558~638) 82세

다보탑(多寶塔) 비문과 쟁좌위고(爭座位稿)를 쓴 안진경(顔眞卿, 709~785) 77세

현비탑비(玄秘塔碑) 비문을 쓴 유공권(柳公權, 778~865) 88세

성당시대(盛唐時代) 두보(杜甫, 712~770)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十古來稀)’ 59세

송(宋) 4대가. 채양(蔡襄, 1012~1067) 56세

미불(米芾, 1051~1107) 57세 /소식(蘇軾, 1037~1101) 65세

황정견(黃庭堅, 1045~1105) 61세

원(元) 4대가. 황공망(黃公望, 1269~1354)은 86세

오진(吳鎭, 1280~1354) 75세 /예찬(倪璨, 1301-1374) 74세

왕몽(王蒙, 1308?~1385) 78세

명나라 심주(沈周, 1427~1509) 83세 /문징명(文徵明, 1470~1559) 90세

청나라 때 서예가 팔대산인(八大山人) 주답(朱䐛, 1626~1705) 80세

청초 화승(畵僧) 석도(石濤, 1641~1720) 80세 /판교(板橋) 정섭(鄭燮, 1693~1765) 73세

근대 중국 오창석(吳昌碩, 1844~1927) 84세 / 제백석(齊白石, 1863~1957) 95세

황빈홍(黃賓虹, 1864∼1955) 92세 / 군청(群靑)의 대가 유해속(劉海粟, 1896~1994) 99세

세칭 남선북불(南仙北佛)- 상해의 서예가 소국선(蘇局仙, 1882~1991) 110세

북경의 손묵불(孫墨佛, 1884~1987) 104세

 

해동(海東)의 서성(書聖) 김생(金生, 711~791?) 81세

고려의 승려이자 서예가인 탄연(坦然, 1070~1159) 90세

동국(東國)의 조자앙(趙子昻)으로 불린 이암(李嵒, 1297~1364) 68세

조선 전기 양사언(楊士彦, 1517년~1584) 68세 /석봉(石峯) 한호(韓濩, 1543~1605) 63세

조선 후기 미수(眉叟) 허목(許穆, 1595~1682) 88세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 1606~1672) 67세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1607~1689) 83세 /원교(圓嶠) 이광사(李匡師, 1705~1777) 73세

서화비평가였던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 1713~1791) 79세

동기창체(董其昌體)를 따른 자하(紫霞) 신위(申緯, 1769~1845) 77세

초서에 능한 창암체(蒼巖體)를 이룩한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 1770~1845) 76세

눌인(訥人) 조광진(曺匡振, 1772~1840) 69세

예서체(隷書體)는 신합(神合)의 경지로 불린 이재(彝齋) 권돈인(權敦仁, 1783~1859) 77세

추사체(秋史體)를 완성한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 71세

난초를 잘 쳤던 석파(石坡) 이하응(李昰應, 1820~1898) 79세 

금(琴)·기(碁)·박(博)·의(醫)·변(辯) 팔능(八能) 석재(石齋) 서병오(徐丙五, 1862~1935) 74세

수전증(手顫症)을 악필(握筆)로 위기를 극복한 석전(石田) 황욱(黃旭, 1898~1993) 96세

소전체(素筌體)를 개발한 소전(素筌) 손재형(孫在馨, 1903~1981) 79세

원곡체(原谷體)를 개발한 원곡(原谷) 김기승(金基昇, 1909~2000) 91세

육조체(六朝體)의 검여(劍如) 유희강(柳熙綱, 1911~1976) 66세

일중(一中) 김충현(金忠顯, 1921~2006) 86세

월정(月汀) 정주상(鄭周相, 1926~2012) 87세

여초 김응현(金膺顯, 1928~2007) 80세. 이상 한국 대표 24명의 평균 수명 77.8세

글씨를 쓰는 일은 인간의 筋骨血肉(근골혈육), 마묵(磨墨)과 서사(書寫)는 심전경작(心田耕作)이자 심신수행(心身修行)의 과정을 넘어 장수(長壽)의 비결이다. 

다만 公募展(공모전)이나 남과의 비교를 통한 스트레스는 절대 禁物(금물)이다. <끝>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