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동정

History of Korean calligraphy (한국 서예사)

History of Korean calligraphy (한국 서예사)

* There may be many wrong translations, but I hope you'll forgive me as I'm practicing to promote Korean calligraphy. ^^

한국 서예의 흐름과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전통 문화에 대한 긍지를 높이고 주체 의식을 확고히 하며, 나아가 새로운 문화 창조에 이바지 한다. 한국의 서예는 한자 문화권에서 발달해 온 예술 형태의 하나로서 중국의 영향이 크다. 그러나 모든 예술이 그러하듯이 서예 역시 지리, 풍토와 민족성에 의하여 그 예술적 경향은 달리 나타난다. 특히 한국은 민족 고유의 문자인 한글이 있기 때문에 민족 미술로서 한글 서예가 발달해 온 것은 자랑스러운 일이다.

By understanding the flow and features of Korean calligraphy, it enhances pride in traditional culture, firmly establishes self-reliance consciousness, and further contributes to the creation of new culture. Korean calligraphy is one of the art forms that have developed 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and is greatly influenced by China. However, as with all art, calligraphy also shows different artistic trends by geography, climate and ethnicity. Especially, it is proud that Korean calligraphy has developed as a national art because Korea has Hangeul, the unique writing system of the nation.

① 고구려의 글씨는 대륙적인 기상이 나타나서 장엄, 웅건하며 생동감이 넘치는 서풍을 띠고 있으며, 주요 작품으로는 광개토왕릉비(고예-웅혼,장엄), 모두루묘지명(해서-생동감), 중원 고구려비(예서와 해서의 중간 형태) 등이 있다.

The writings of Goguryeo are characterized by its continental spirit, which is majestic, vigorous and lively, and its main works include King Gwanggaeto's tombstone, Moduru's tomb inscription, and Jungwon's Goguryeo monument.

② 백제의 글씨는 북위의 근엄,방정한 기품 속에 우아함과 유려함을 띤 서풍으로, 주요 작품으로는 무령왕릉 매지권(해서-우아,유려), 부여 사택지적당탑비(해서-근엄,방정) 등이 있다.

Baekje's writing is a calligraphy style with elegance and grace amid the majesty of the Wei Dynasty, and its main works include documents that Bought the Land-buying Document Stone in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Buyeo-area Sataekjijeok’s Tower Monument in Tang Dynasty.

③ 신라의 글씨는 통일 이전에는 중국 육조 서풍의 영향으로 방정하고 소박하며, 삼국 통일 이후는 왕희지의 행서와 구양 순의 해서 필법을 많이 따랐다. 주요 작품으로는 진흥왕 순수비(해서), 낭공대사비(해서,김생-왕희지 영향), 진감선사비(해서,최치원-구양 순체 영향) 등이 있다.

Silla's writings are frugal and simple under the influence of the Chinese Yukjo calligraphy style before unification, and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Wang Hui-ji semicursive style and Ouyang Xun's square style. Some of the major works include the King Jinheung's Sunsubi, the Big Monk Nanggong’s Monument, and Jingam Seonsa’s tombstone.

④ 고려 글씨는 신라의 서풍을 이어받아 해서는 구양 순의 필법을, 행서는 왕희지의 필법을 많이 따랐다. 후기에 와서는 원(元)과의 교류가 잦아짐에 따라 유려한 송설체(松雪體)가 크게 유행하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진정대사비(해서,장단열-고아,창윤), 문수원중수(행서,석탄연-안진경체), 문수사장경비(행서,이암-송설체) 등이 있다.

Goryeo writings followed the calligraphy style of Silla, and Wang Hui-ji's. In the latter part of the year, the elegant Songseol-style became very popular due to frequent exchanges with the Won dynasty. Some of the major works include Jinjeong monk’s Monument, Moonsuwon Jungsugi and Moonsusa Jangkyeongbi.

⑤ 조선의 글씨는 훈민정음 반포로 판본체가 성했으니 훈민정음과 동국정운은 전서를 닮아 원필이며,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석보상절 등은 예서의 필법이 있어 방필이다. 세조 이후에는 필사체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성종 때에는 기틀이 잡혔다. 조선 후기에는 궁중에서 내관과 상궁에게 우리 글씨를 전문적으로 쓰게 하였으니, 이로부터 궁체가 정립되어, 숙종 이후 계속 발전하여 정자, 흘림, 진흘림으로 발전하였다.

Since Joseon's writing was originally written by proclamation of Hunminjeongeum, Hunminjeongeum and Dongguk Jeongun are the original calligraphy resembling a preface, and Yongbieocheonga, Wolincheongangjigok, and Seokbosangjeol are the calligraphy works. After King Sejo, the handwriting began to appear and became common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jong.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the royal court had government official in the palace to write professionally, so the palace calligraphy style was established and continued to develop into regular style, cursive style, and real cursive style.

조선의 한문 서체는 초기에는 송설체, 중기에는 송설체와 석봉체, 그리고 후기에는 추사체가 유행하였다. 대표적인 서예가로는 초기의 이용(안평대군-전아한 조맹부체), 김구, 성수침, 양사언, 중기의 한호(왕희지,안진경,조맹부체 종합), 허목(기이한 전서), 윤순, 이광사, 강세황, 후기의 신위(詩書畵 三絶,동기창체), 조광진(안진경체), 정약용(실학, 청아한 행서), 김정희(금석학, 우리 나라와 중국의 고법을 예술적으로 승화한 추사체 이룩), 권돈인(추사체), 이하응(흥선대원군,추사체) 등이 유명하며, 근세에는 김옥균(행서), 김성근(행서), 윤용규(해서), 민영익(기품 있고 웅건함), 오세창(전서) 등이 유명하다.

The early typeface of Joseon Dynasty was popular in Songsul style, Songsul style and Seokbong style in the mid-term, and Chusa style in the later years. Some of the most famous calligraphers are Lee Yong(Anpyeongdaegun), Kim Gu, Seongsuchim, and Yang Saeon.

Famous calligraphers of the mid-term period include Han Ho, Heo Mok (an unusual seal style), Yun Soon, Lee Kwangsa, Kang Sehwang etc.

Among the calligraphers of the latter period are Shin Wi, Cho Kwangjin, Jeong Yakyong, Kim Junghee(epigraphy, studies in ancient monumental inscriptions, Chusa style), Kwon Donin and Lee Haeung.

In modern times, Kim Okkyun, Kim Sungkeun, Yoon Yongkyu, Min Youngik , and Oh Se-chang are famous.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