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동정

노자도덕경 강의(61~70장)

61章 大者宜爲下


大國者下流。

天下之交,天下之牝。*交:會集

牝常以靜勝牡,以靜爲下。


故大國以下小國,則取小國;*取(qǔ) 취할 취, 돕다, 받아들이다.

小國以下大國,則取大國。

故或下以取,或下而取。


大國不過欲兼畜人, *兼: 포용하다. 畜(chù,xù): 쌓을 축/기를 휵.

小國不過欲入事人,

夫兩者各得其所欲,

大者宜爲下。


큰 나라는 아래로 흘러가서(낮추고 넓힘으로)

천하가 교류하니, 천하의 암컷(품)이다.

암컷은 항상 고요함으로 수컷을 이기고, 고요함으로 아래가 된다(자신을 낮춘다).


그러므로 큰 나라는 작은 나라보다 아래가 됨으로써, 작은 나라를 받아들일(도울) 수 있고,

작은 나라는 큰 나라보다 아래가 됨으로써, 큰 나라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그러므로 혹은 낮춤으로써 취하기도 하고, 혹은 낮추어서 취해지기도 한다.


큰 나라는 (작은 나라) 사람들을 포용하여 기르고자 過慾해서는 안 되고,

작은 나라는 (큰 나라) 사람들에게 들어가 섬기고자 過慾해서는 안 된다.

무릇 양자가 각각 그 하고자하는 얻고자 하면,

큰 자는 마땅히 (자신을) 낮추어야 한다.


62章 貴此道


道者萬物之奧。*奧(ào) 깊을 오, 속, 깊숙한 안쪽.

善人之寶,不善人之所保。*保(bǎo) 保護.


美言可以巿,尊行可以加人。*加(jiā) 더할 가, 입다, 몸에 붙이다.

人之不善何棄之有!

故立天子,置三公,

雖有拱璧以先駟馬,不如坐進此道。 *拱(gǒng) 팔짱낄 공, 두르다, 璧(bì) 구슬 벽, 둥근 옥.


古之所以貴此道者何?

不曰求以得,有罪以免邪?

故爲天下貴。


도는 만물의 깊숙한 안쪽(근원, 씨앗)이다.

착한 사람(깨달은 사람)에게는 보배이지만, 착하지 않은 사람에게는 保護해주는 바가 된다.


아름다운 말은 시장바닥에서도 가능하고, 존귀한 행동은 사람 몸에 붙일 수 있다.

(그러니) 사람이 착하지 않더라도 어찌 버림이 있겠는가!(버려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천자를 세우고 삼공을 두는 것은, 

옥을 두르고 네 필의 말이 뜨는 수레를 앞세우더라도, 앉아서 이 도에 나아가는 것만 못하다.


예부터 이 도를 귀하게 여긴 까닭은 무엇인가?

(도가 있으면) 구하면 얻을 수 있고, 죄가 있어도 면할 수 있다고 말하지 않았는가?

그러므로 (도가) 천하에 귀한 것이 되는 것이다.


63章 聖人終不爲大故能成其大 聖人猶難之故終無難矣


爲無爲,

事無事,

味無味。

大小多少,報怨以德。


圖難於其易,

爲大於其細。

天下難事必作於易,

天下大事必作於細,

是以聖人終不爲大,故能成其大。


夫輕諾 必寡信,

多易 必多難,

是以聖人猶難之,故終無難矣。


무위로써 하고,(행하는 바 없이 행하고)

무사로써 일하며,(일하는 바 없이 일하며)

무미로써 맛보라.(맛보는 바 없이 맛보라)

크든 작든 많든 적든, 원한 갚기는 덕으로써 하라.


어려운 일은 쉬운 것에서부터 도모하고,

큰일은 세세한 것(작은 일)에서부터 하라.

천하의 어려운 일은 반드시 쉬운 일에서부터 시작되고,

천하의 큰일은 반드시 세세한 일에서부터 시작된다.

이런 까닭으로 성인은 끝내 큰일을 하지 않으므로 능히 큰 것을 이룬다.


무릇 가볍게 승낙하면 반드시 신의가 적고,

쉬움이 많으면 반드시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까닭으로 성인은 오히려 어렵게 여기므로 끝내 어려움이 없다.


64章 爲之於未有 治之於未亂


其安易持,其未兆易謀,

其脆易泮,其微易散。*脆(cuì) 軟할 취. 泮(pàn) 녹을 반, 풀리다, 물가.

爲之於未有,治之於未亂。


合抱之木,生於毫末;

九層之臺,起於累土;

千里之行,始於足下。


爲者敗之,執者失之。

是以聖人,無爲故無敗;無執故無失。


民之從事,常於幾成而敗之。

慎終如始,則無敗事。


是以聖人欲不欲,不貴難得之貨。

學不學,復衆人之所過。*復(fù) 회복할 복, 돌아가다.

以輔萬物之自然,而不敢爲。*輔(fǔ) 도울 보.


안정된 것은 維持하기 쉽고, 조짐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圖謀하기 쉽다.

연한 것은 풀리기 쉽고, 微細한 것은 흩어지기 쉽다.

일이 생겨나기 전에 하고, 어지러워지기 전에 다스려야 한다.


아름드리나무도 털끝만한 싹에서 자라나고,

구층 樓臺도 흙을 쌓음으로 일어나며,

천리 길도 발밑에서 시작된다.


(억지로, 인위적으로) 하는 자는 실패하고, (억지로) 잡으려는 자는 잃어버린다.

이런 까닭으로 성인은 (억지로) 하지 않으므로 실패하지 않고, (억지로) 잡으려 하지 않으므로 잃어버리지 않는다.


民(어리석은 사람)이 일을 하면 항상 거의 成功하려다 失敗하는데,

마지막에 愼重하기를 처음과 같이 한다면, 일에 失敗가 없게 된다.


이런 까닭에 성인은 욕심내지 않는 것을 욕심내고,

얻기 어려운 財貨를 귀하게 여기지 않으며,

배우지 않음을 배워서, 뭇 사람들이 지나치는 바로 돌아가고,

만물이 스스로 그러함을 輔弼하며, 감히 (억지로) 하지 않는다.


65章 常知稽式 是謂玄德


古之善爲道者,

非以明民,將以愚之。

民之難治,以其智多。


故以智治國,國之賊;*賊(zéi) 도둑 적, 해치다. 그르치다, 학대하다.

不以智治國,國之福。


知此兩者,亦稽式。*稽式=楷式, 法式. *稽(jī,qì) 상고할 계, 법식, 준칙.

常知稽式,是謂玄德。

玄德深矣,遠矣,與物反矣,

然後乃至大順。*乃(nǎi) 비로소.


옛날에 도를 잘 행하는 자는,

백성을 똑똑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장차 어리석게 만든다.

(→道로 다스리는 자 밑에 있는 백성은 아무것도 몰라도 사는데 어려움이 없었지만, 道로 다스리지 않는 자 밑에 있는 백성은 明哲해야(총명하고 사리에 밝아야) 살아갈 수 있었다.)

백성을 다스리기 어려운 것은 그들에게 智慧(잔 꾀)가 많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지혜(꾀)로써 나라를 다스리면, 나라의 학대가 되고,

지혜로써 나라를 다스리지 않으면, 나라의 복이 된다.


이 두 가지를 아는 것은 또한 바른 법(계식, 해식, 법식)이다.

항상 바른 법을 아는 것을 현덕(현묘한 덕)이라 한다.

현덕은 깊고도 멀기도 하여, 物(物象)과 상반된다.

그런 후에야 비로소 (백성이) 大順(크게 순응함)에 이른다.


66章 以其善下之 故能爲百谷王


江海所以能爲 百谷王者,

以其善下之,故能爲百谷王。

是以欲上民,必以言下之;

欲先民,必以身後之。


是以聖人處上而民不重,

處前而民不害,

是以天下樂推而不厭。

以其不爭,故天下莫能與之爭。


강과 바다가 百谷(모든 골짜기)의 왕이 될 수 있는 까닭은 

낮추기를 잘하기 때문이며, 그러므로 능히 百谷의 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까닭으로 백성 위에 서고자 하면, 반드시 낮추어 말하고,

백성 앞에 서고자 하면, 반드시 (자신의) 몸을 뒤에 둬야 한다.


이러한 까닭에 성인은 (백성) 위에 居處해도 백성은 무거워하지 않고,

(백성) 앞에 居處해도 백성은 해롭게 여기지 않는다.

이러한 까닭으로 천하 사람들이 즐겁게 推戴하며 싫어하지 않는다.

그가 다투지 않기 때문에, 그러므로 천하가 능히 그와 더불어 다툴 수 없다.


67章 我有三寶 能成器長


天下皆謂我道大,似不肖。

夫惟大,故似不肖。

若肖,久矣其細也夫。


我有三寶,持而寶之。*寶(bǎo) 보배로 여기다.

一曰慈,二曰儉,三曰不敢爲天下先。


慈故能勇;儉故能廣;

不敢爲天下先,故能成器長。* 器長: 그릇의 으뜸(인격의 완성).


今捨慈且勇,捨儉且廣,

捨其後且先,死矣!


夫慈,以戰則勝,以守則固,

天將救之,以慈衛之。


천하 사람들이 모두 이르기를 ‘나의 도는 커서 닮지 않은 것 같다’라고 한다.

무릇 오직 크기 때문에 그러므로 닮지 않은 것 같다.

만약 닮았다면, 오래전에 작아졌을 것이다.


나에겐 세 가지 보배가 있어서, 지니며 보배로 여기는데,

첫째는 자애, 둘째는 검소, 셋째는 천하 앞에 감히 나서지 않음이다.


자애롭기에 능히 용감할 수 있고, 검소하기에 능히 넉넉해질 수 있으며, 

감히 천하보다 앞서지 않기에, 그러므로 능히 그릇의 으뜸(인격의 완성)을 이룰 수 있다.


이제 자애를 버리고 將次 용감해지려 하고, 검소함을 버리고 將次 넉넉해지려 하며,

물러남을 버리고 將次 앞에 나서려고 하면, 결국 죽음뿐이다.


무릇 자애로움으로 싸우면 곧 勝利하고, 守備하면 堅固하다.

하늘이 將次 救援(救濟)하고자 하면, 자애로움으로써 지켜주는 것이다.


68章 不爭之德


善爲士者不武,*士者: 勇士.

善戰者不怒,

善勝敵者不與, *與=爭.

善用人者爲之下。


是謂不爭之德,

是謂用人之力,

是謂配天,

古之極. *‘古之極’을 생략한 本도 있다.


훌륭한 용사는 무력을 쓰지 않고,

잘 싸우는 자는 성내지 않으며,

적을 잘 이기는 자는 다투지 않고,

사람을 잘 부리는 자는 자신을 낮춘다.


이를 일러 다투지 않는 덕이라 하고,

이를 일러 사람 부리는 힘이라 하며,

이를 일러 하늘과 짝할 만하다(道에 부합한다)고 하니,

예부터 내려오는 지극함이다.


69章 抗兵相加 哀者勝矣


用兵有言,

吾不敢爲主而爲客,

不敢進寸而退尺。

是謂行無行,攘無臂, *攘(rǎng) 물리칠 양. 臂(bì) 팔 비, 쇠뇌.

執無兵,扔無敵。*執(zhí) 지킬 집. 扔(rēng) 쳐부술 잉, 깨뜨리다 /王弼本에는 앞뒤 구절이 바뀌어 있으나 내용이나 韻으로 볼 때 잘못된 듯.


禍莫大於輕敵,

輕敵幾喪吾寶。

故抗兵相加,哀者勝矣。*抗(kàng) 겨룰 항, 막다, 저지하다 *加(jiā) 더할 가, 치다 *哀(āi)=愛(ài): 三寶의 하나인 慈.


병법에 이런 말이 있다.

나는 감히 主人(싸움을 거는 주체)이 되지 않고, 客(마지못해 싸우는 손님)이 되고,

감히 한 치 進擊하기보다 한 자 退步한다.

이를 일러 행함이 없는 행함, 팔(쇠뇌) 없이 물리침,

병기 없이 지켜냄(잡음), 對敵함 없이 쳐부숨이라 한다.


禍는 적을 가벼이 여기는 것보다 큰 것이 없고,

적을 가벼이 여기면 거의(아마도) 내 보물(목숨)을 잃을 것이다.

그러므로 병사와 겨루며 서로 칠 때, (살생을) 슬퍼하는 자(慈愛, 慈悲로운 자)가 승리한다.


70章 聖人被褐而懷玉


吾言甚易知,甚易行。

天下莫能知,莫能行。


言有宗,事有君。*宗, 君 둘 다 道를 가리킨다.

夫唯無知,是以不我知。


知我者希,則我者貴,

是以聖人被褐而懷玉。


내 말은 참으로 알기도 쉽고, 참으로 행하기도 쉽다.

(그러나) 천하 사람들은 능히 알지도 못하고, 능히 행하지도 못한다.


말에는 宗旨(根本)가 있고, 일에는 주권자가 있다.

(그러나) 무릇 오직 (이를) 알지 못하니, 이런 까닭으로 나를 알지 못한다.


나를 아는 자가 드물므로, 곧 나라는 자는 귀한 것이다.

이런 까닭으로 성인은 (거친) 베옷을 입고 있으나, (속에는) 구슬(도)을 품고 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Comments

권상호
댓글내용 확인
권상호
댓글내용 확인
권상호
댓글내용 확인